이종택
1.국내외 노출콘크리트 건물의 역사
노출콘크리트는 1950년대 중반 영국의 건축가 스미슨 부부가 건축물의 솔직한 표현으로 윤리성과 진실성을 찾고자 하는 브루탈리즘 건축을 제창하면서 시작되었다. 이들 건축가는 건축에 있어서 공간적, 구조적, 재료적 개념을 발견하여 그 개념이 뚜렷이 나타나고 기억 될 수 있도록 재료 및 구조의 솔직한 표현을 시도하였으며, 이러한 시도는 후기 브루탈리즘 건축의 대표적 건축가인 르꼬르뷔제에 의해 콘크리트 자체를 구조재인 동시에 마감재로 사용되는 건축물로서 등장하게 되었다.
그는 철근콘크리트의 조소성에 대한 가능성을 연구 하여 인도의 샹디갈주 의사당(1951년), 마르세이유 아파트(1952년), 롱샹교회(1955년)에서 노출콘크리트의 미적 특질들과 조형성을 표출하였다. 미국에서는 2세기 건축가라 일컬어지는 루이스 칸(Louis Kahn)의 작품에 노출콘크리트 공법이 자주 나타나고 있으며, 루이스 칸과 동시대의 건축가인 폴 루돌프(Paul Rudolph)는 예일대학 건축예술학과동(Art and Architecture Building, Yale Univ., 1958) 크리스천 사이언스 빌딩(Christian Science Organization Building, 1962) 등에 노출콘크리트를 적용하고있다.
한편 프랑스에서는 진동에 의한 외장재 탈락가능성이 높은 공항 및 고속철도역사에 노출콘크리트를 적용한 사례가 많은데, 그 대표적인 예로는 유럽 최대규모인 샤를드골 공항(Charles de Gaulle Airport, 1974)과 도버해협의 해저를 가로지르는 대공사로 요명한 도버해협 터널(English Channel Tunnel, 1994) 역사 등이 있다.
또한 일본에서도 노출콘크리트 공법의 적용이 활발한데 1995년 프리츠커상(Pritzker Prize)을 수상한 안도타다오(Ando Tadao)는 자신의 작품 대부분을 노출콘크리트 건축물로 구상하고 있다. 그의 대표적인 작품으로서는 로코하우징 I(Rokko Housing I, 1983), 물의 교회(Church on the water, 1988), 나오시마 현대미술관(Naoshima Contemporary Art Museum, 1995) 등이 있으며 이미 건축물의 규모, 용도에 구애됨이 없이 대규모 집합주택단지, 교육기관, 종교시설, 상업시설 등 다방면에 걸쳐 노출콘크리트 건물이 설계/시공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르꼬르뷔제 제자인 김중업씨가 서강대본관(1958)에 최초로 노출콘크리트를 적용한 이래 많은 작품을 남겼고, 김수근씨도 자유센타(1963년)외 노출콘크리트를 적용한 브루탈리즘적 건축물을 다수 설계하였다. 이후 여러 건축가들이 노출 콘크리트건물을 설계하였으나 시공 및 유지관리 기술 부족으로 인해 노출콘크리트 건물은 퇴색하였으며, 그 대신 산뜻하고 유지관리가 쉬운 타일, 금속 패널, 유리, 철과 같은 마감재료에 밀려 시대적 변화에 따라 노출콘크리트 적용이 유행의 뒷자리에서 간신히 명맥만 유지해오고 있던 중 1990년대 들어 안도 다다오의 노출콘크리트작품이 우리의 이목을 끌게되어 국내에서도 다시금 노출콘크리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다.
현재, 국내에서는 설계자 및 시공기술자 들을 중심으로 노출콘크리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노출콘크리트를 생각하는 모임 등 자생적인 연구단체가 활동을 시작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주택뿐만 아니라 사무소 건물에 이르기까지 훌륭한 노출콘크리트 건축물이 지어지고 있어 앞으로 노출콘크리트 건축물의 건설은 더욱더 활기를 띨 것으로 보인다.
2. 노출콘크리트 설계요소
2.1 노출콘크리트 적용 이유
현대의 복잡한 사회구조 속에서 사회적 상황은 시시각각 변하고 있다. 가진자는 강하고 없는자는 약할 수밖에 없는 현실들, 강해야만 살아남는 현실 속에서 굴절된 진실과 도덕성의 부재, 자기방어를 위한 많은 장치들, 값비싼 치장과 허세로 인해 도대체 알 수 없는 정체와 의혹들, 나중에 알게된 진실 뒤의 허탈함, 이것이 오늘날 우리의 현주소는 아닌지?
사회 현상이 그렇듯이 우리 건축 모습이 허황되고 가식적이며 진실이 은폐된 일은 없었는지 현시점에서 우리를 되돌아 볼 필요가 있다. 쉽게 상업자가 되어 이익 앞에서 진실을 외면하며 현실에만 치중하여 건축가로서 소임을 다 하지 못하는 지금, 건축에 있어서도 진실과 도덕성의 회복이 절실하다고 하겠다. 이러한 배경 하에 우리에게 도덕적이고 진실한 건축 실현을 위해 존재하는 것, 위선과 부도덕의 껍질을 벗고 싶은 건축가의 바램이 노출콘크리트에 투영되어 있다고 판단된다.
표1. 주된 노출 콘크리트 적용 건물
적용 유형 |
적용 건물 |
검소하고, 차분한 이미지 요구건물 |
교육기관, 연구소 |
예술적 용도에 맞는 이미지 건물 |
공연장, 극장, 박물관, 미술관 |
주변 진동으로 마감재 탈락 가능성이 높은 건물 |
고속전철, 지하철역사 및 부속동 |
정중하고 엄숙한 이미지 요구건물 |
성당, 교회, 사원 |
2.2 노출콘크리트 성격
① 순수성 : 둥근 거푸집에서는 둥글게, 모난 거푸집에서는 모나게, 표면이 거친 거푸집에서는 거친 콘크리트 표면이, 매끈한 표면의 거푸집에서는 매끈한 콘크리트 표면이 나타나는 것이 노출 콘크리트이다. 또한, 노출콘크리트는 구조체 자체이며 마감이므로 더함도 덜함도 없는 진실함 그대로 설계자의 능력 및 시공자의 기술성이 그대로 나타난다.
② 조소성 : 노출콘크리트는 조소성이 우수하여 원하는 모든 형태를 만들 수 있으므로 조형적인 건축물 에 아주 적합하다. 작은 형태뿐만 아니라 커다란 형태를 이음 없이 하나로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듬직한 모습으로 때로는 날렵한 모습으로 건축가가 디자인한대로 원하는 모습을 나타낼 수 있다. 이렇듯, 노출콘크리트는 건축가의 뜻에 따라 진실 되게 순종하여 원하는 대로 그 형태가 실현되므로 건축가는 노출콘크리트를 선택하지 않을 수 없는 동시에 노출콘크리트는 건축가의 시험 대상 인 것이다.
③ 안전성 : 노출콘크리트는 구조재 이면서 마감재로서 적절한 유지관리가 수행된다면 내구성이 뛰어난 재료이므로 차분하고 듬직하며 방어적이고 평안함을 내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④ 감각성 : 노출콘크리트는 무거움, 두터움, 듬직함과 방어, 보호, 안전감, 평화로움의 느낌을 주나 때로는 무표정, 차가움의 비인간적인 느낌을 주는 긴장과 날카로움으로 카리스마 성격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노출콘크리트의 성격을 살리고 싶은 건축가들은 <표 2>와 같이 건축 프로젝트 계획 결정요소와 명 건축의 조건에서 타협을 실시하며 노출콘크리트 건물을 설계하는 갈등을 가지고 있다.
표 2 명 건축계획 결정요소와 명 건축물 조건
건축 계획 결정 요소 |
명 건축물 조건 | ||
항 목 |
내 용 |
항 목 |
내 용 |
Scope |
양 (규모) |
Commodity |
용도 (기능) |
Quality |
질 (품질) |
Durability |
안전 (건전) |
Cost |
가치 (공사 비용) |
Beauty |
미 (환희) |
2.3 노출콘크리트 디자인 4요소
노출콘크리트 건축물 설계에서 설계자가 이용할 수 있으나, 노출콘크리트 건축물 성패를 좌우하는 노출디자인 4요소에는 콘구멍에 의한 점(点, dot), 각종 줄눈에 의한 선(線, line), 콘크리트의 다양한 표면질감에 의한 면(面, face), 중후한 멋을 살릴 수 있는 콘크리트 자체의 양(量, mass)이 있으며 그 성패는 디자인 4요소가 얼마나 절제 있고, 조화롭게 적용했는지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① 점(点, dot) : 일정한 간격을 통해 배치된 폼타이에 의해 생성되는 콘 구멍은 자칫 지나치게 무겁고, 단순해 질 수 있는 노출콘크리트 면에 생동감 있는 표정을 연출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일반적으로 노출면의 기본 모듈은 합판 한 장의 크기 900mm×1800mm(3′×6′)또는 1200mm×2400mm (4′×8′)를 기본으로 하여 6개 또는 8개씩의 콘 구멍을 설치하고 있으며 부재의 종류 및 규격에 따라 전부를 구조용 폼타이 구멍으로 하거나 또는 일부는 구조용 폼타이 구멍 나머지는 치장용 콘으로 처리하기도 한다. 구조용 폼타이는 관통형과 매립형 2가지로 현장의 여건에 따라 선정하여 사용하며 콘 구멍의 마감은 모르터 및 기성제품(PVC, STN)을 사용하여 처리하는데, 균열 및 부착불량으로 인한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② 선(線, line) : 노출콘크리트의 절제된 미를 표현하는 중요한 요소중의 하나인 선은 수평, 수직 이어치기 줄눈, 균열을 집중시키기 위한 균열유발 줄눈 및 치장 줄눈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줄눈은 디자인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기능상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계획시부터 필히 고려하여야 한다.
③ 면(面, face) : 사용자 및 일반인에게 자칫 회색 및 콘크리트 덩어리로 거부감을 유발할 지도 모를 노출콘크리트 건물에 친밀감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색상, 질감의 변화를 통한 다양한 콘크리트 면처리 기법의 적용이 필요하다. 이러한 면처리 기법에서는 콘크리트의 배합설계에 관한 기술과 다양한 면처리 시공법의 계획 및 철저한 사전준비가 필요하다.
④ 양(量, mass) : 노출콘크리트의 조형적인 중후한 아름다움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디자인 요소는 노출부위의 양적 설계이다. 외부에서 볼 때 기능상 필요한 부재만을 노출로 설계한 건축물의 외관은 그다지 성공한 노출콘크리트의 설계라 할 수 없을 것이다. 기능 이상으로 또는 단지 조형적인 필요에 의해서라도 노출콘크리트의 진정한 멋이 살아나기 위해서는 적절한 중량감이 있는 Massive한 표현의 연출이 가능한 부재의 계획 및 설계가 필요하다.
3. 노출콘크리트 표현 및 적용
노출콘크리트는 탈형 후 콘크리트면을 단순 노출시키거나 또는 거푸집의 나뭇결 무늬를 콘크리트 표면에 표출시키는 방법 이외에도 골재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방법, 콘크리트 표면에 양각/음각의 문양을 새기는 방법 및 표면의 색상/광택을 표현하는 방법, 다른 재료 및 주위 자연환경과 조화시키는 방법에 의하여 총체적인 표정을 나타낼 수 있다.
(합판 거푸집) (소폭판 거푸집) (쪼아 내기) (샌드브라스트)
(음, 양각표출) (골재노출) (광택 노출 콘크리트) (칼라 노출 콘크리트)
<그림 2> 나뭇결 무늬 전사노출콘크리트 기둥 <그림 6> 유리, 돌, 노출콘크리트가 조화된 계단
<그림 3> 샌드블라스트처리 노출콘크리트 벽체<그림 7> 돌과 매시브한 노출콘크리트와의 조화
<그림 4> 실내 목재와 노출콘크리트 조화 <그림 8> 빛에 의한 노출콘크리트의 표정 변화
<그림 5> 노출콘크리트와 물의 조화 <그림 9> 돌붙임 벽체와 노출콘크리트 인방
4. 노출콘크리트 건축사례 및 디자인 개념
작 품 명 |
디 자 인 개 념 |
작 품 사 진 | ||||
스위스 시멘트관 (로버트 (1939) |
|
| ||||
제2 괴테아룸 (루돌프 (1928년) |
|
| ||||
롱샹교회 (르꼬르 (1955년) |
|
| ||||
라트레투 수녀원 (르꼬르 (1959년)
상디가르 고등재판소 (르꼬르 (1951년) |
|
|
|
| ||
로우 하우스 (안도 다다오) (1976년) |
|
| ||||
용인 주택 (안재원) |
|
| ||||
빈이네집 (김재관) |
|
| ||||
목죽헌 (김병윤) |
|
| ||||
두베스트 (고, 차운기) |
|
| ||||
강원도 국제전시 영상관 |
|
|
표 3 사례로 본 노출콘크리트 건축물의 디지안 개념
용인 주택 (안재원) *일체성, 중량감, 간결성 일체성의 간결한 노출콘크리트의 매스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의 중량감과 간결성을 강조하고 있음 |
빈이네집 (김재관) *덩어리의 질서, 강인함 노출콘크리트의 반복은 덩어리의 질서를 부여하고 반복적 강조는 작가의 강인함을 나타냄 |
강정교회 (김재관) *자연스런 아름다움 가식과 허황, 필요 없는 치장을 배제한 가장 자연스런 아름다움이 노출콘크리트의 속성에 의해 나타나고 있음 |
나무와 벽돌(장기동) *자연스러움, 무딤, 듬직함 노출콘크리트가 갖는 무감각함이 아니라 자연스러움에서 베어 나오는 재료 자체의 무딤이 듬직함을 보여주고 있음 |
아현동 3세대를 위한 주택 (김헌) *두터움의 두께 작가는 주택에 노출콘크리트를 적용하여, 쉬 속살이 비치지 않는 수줍고 말없는 듯한 표정으로 그만의 두께를 건축물에 입히고 있음 |
에글로프 주택 (비트 콘소니) *일체성 외부 바닥과 외벽 및 지붕을 포함한 건물 전체를 노출 콘크리트로 구성하여 주택의 일체성과 함께 가족의 일체성을 강조하고 있음 |
목죽헌 (김병윤) *투박함 결코 매끄러움도 얄팍함도 허용하지 않고 사뭇 거칠고 투박한 요소들로만 구성된 노출 콘크리트면은 서민적이고 친근함이 마치 우리 뚝배기의 투박함을 보여주어 친근감과 함께 고향의 맛을 느낄 수 있음
|
두베스트 사옥 (고,차운기) *거친 자연미 다듬지 않은 노출콘크리트 면과 거푸집 널 사이로 비집고 나온 수평 줄눈은 거친 자연미를 나타낸다. 여기에는 노출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진솔하게 나타내고자 하는 작가의 의지가 배어있다. 여기서는 노출콘크리트의 중량적 위압감을 목재 널 패턴으로 커버하고 콘크리트 고유의 질량감을 느낄 수 있음 |
강원도 국제 전시 영상관 *조형, 예리함 보면 볼수록 깊게 빠져 들어가는 수정의 영롱함과 파도의 소용돌이 같은 자연의 환희들이 노출콘크리트의 예리한 매스와 유리의 조화를 통해 새로운 경험으로 보여지며, 강원도 청초호의 고유한 존재적 가치와 함께 그 속으로 동화되고 있다. 노출콘크리트가 갖고있는 조소성과 다양함을 일체화된 노출콘크리트 매스로 실현한 작품 임 |
5. 결 언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노출콘크리트는 발주자 및 설계자가 의도하는 바에 따라 다양한 건축형태 및 이미지를 구성할 수 있으며, 매스의 크기, 분절의 방법, 조합의 형식에 따라 건축물이 갖는 조형성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노출면의 마감은 재료뿐만 아니라 주로 거푸집의 형상이나 재질에 따라 색채 및 질감이 다르게 나타나므로 이에 대한 충분한 계획과 함께 사전 협의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판단된다.
한편, 현장에서 노출콘크리트를 설계하는 설계자로서 노출콘크리트와 관련된 제고사항을 개략적으로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① 노출콘크리트는 골조공사이면서 마감공사라는 자세로 계획 부터 완공까지 공사 전체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② 의도된 노출콘크리트 건축물을 계획하기 위해서는 노출콘크리트 품셈의 조기 제정과 함께 표준화 작업이 필요하다.
③ 노출콘크리트의 성격을 살릴 수 있는 다양한 디자인 요소 및 디테일의 개발과 함께 이종 건축재료 및 자연과의 조화를 통하여 노출콘크리트의 단조로움을 극복 할 필요가 있다.
④ 노출콘크리트 공사는 콘크리트 공사 중에서 가장 하이테크의 기술이 필요하므로 건축물 계획, 시공, 보수, 유지관리 면에서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현실화하는 시공기술 지침서 또는 매뉴얼 등의 정비가 요구된다.
⑤ 노출콘크리트 건축물은 모든 설계자가 설계해 보고 싶은 대상이나 현장 구현 시공기술과 관련 연구자료가 매우 부족하므로 자생적인 노출콘크리트 관련 연구단체의 활성화뿐만 아니라 체계적인 산․학․연 연구가 필요하다.
노출콘크리트가 갖는 매력과 장점은 누구나 다 알 고 있으나 국내 노출콘크리를 대표할 작품이 언뜻 떠오르지 않는 것은 내 자신만의 당돌한 생각인가? 이번 특집을 기회로 노출콘크리트에 대한 인식제고와 함께 설계자, 재료 및 시공기술자들의 장인정신 함양에 기대를 걸어보며, 노출콘크리트의 솔직한 표현을 통해 우리 시대의 도덕성 회복과 진실을 탐구하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참고문헌
1. 건축과 환경
2. 공간
3. 건축20세기 (신건축)
4. 서양건축사 (대우출판사)
5. 콘크리트 학회지 2001년 7월호
출처:hyuksung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Site Collection :: 건축관련 사이트 모음 (0) | 2007.03.05 |
---|---|
[스크랩] 건축정보 :: 대한민국 국보 100가지 (0) | 2007.03.05 |
[스크랩] 건축학 :: 현재 살고있는집이 명당인지 아닌지 알수있는 법 (0) | 2007.03.05 |
[스크랩] 건축학 :: 건축구조의 종류와 특징 (0) | 2007.03.05 |
[스크랩] 건축학 :: 토목공학이란?? (0) | 2007.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