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구조학] 구조체의 종류와 재료의 특징 | |
주구조체의 재료에 의한 분류 철근 콘크리트 구조(Reinforced Concrete) 철골 구조(Steel structure)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Steel framed Reinforced Concrete) 벽돌구조 (Brick Construction) 블록구조 : ALC블록구조 돌구조 목구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 주구조체의 구성방식 및 형태에 의한 분류 시공방식에 의한 분류 방재상의 분류 | |
| |
주구조체의 재료에 의한 분류 철근 콘크리트 구조(Reinforced Concrete) 장점 : 1.내화·내식적 : 콘크리트로 철근을 피복하므로 2.직접가설비가 많이 들지만 다양한 형태와 치수의 구조물을 만들 수 있다. 3.공비가 저렴하고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4.조형성이 좋다.: 부재의 형상 및 치수·의장이 자유롭다. 5.방음, 방도등 보안적 6.내구·내진적 : 콘크리트와 철근이 일체적으로 되어.. 7.재료구입 용이 단점 : 1.자중이 크다. : 철근콘크리트의 중량은 2.2~2.4t/㎥이고, 구조체의 중량이 1.0~1.5t/㎡으로 건물전체 중량의 80~90% 정도가 자체 중량이다. 2.파괴와 철거가 곤란하다. 3.구조물의 추후 보강과 개조가 어렵다. 4.콘크리트의 인장강도가 낮다. 5.거푸집과 지주의 사용이다. 6.건조수축과 균열발생 7.전체 재료중에서 시공기간이 길다. : 습식의 경우가 대부분이며, 양생기간이 충분히 필요하기 때문에 공사기간이 길어진다. 8.재료의 재사용 및 균일한 시공이 곤란한다. : 철근의 가공·조립, 거푸집의 제작·조립·해체, 콘크리트이 타설, 양생 등 공정이 복잡하며 시공의 정밀성을 유지하기 어렵다. 9.전음도가 크고, 재료의 한계성으로 인한 부분적인 파손이 발생한다. 10.강도계산이 복잡하다. 특성 : 1.철근과 콘크리트의 부착강도가 크다. 부착강도를 좌우하는 요소에는 콘크리트 자체의 압축강도, 철근의 주장, 철근의 표면상태 또는 철근의 배근위치 등에 따라 달라진다. 2.철근과 콘크리트의 선팽창계수가 거의 같다. 3.콘크리트는 철근의 산화를 막아 주며, 내화의 역할도 해준다. | |
출처 : http://www.happycampus.com 中 일부 |

출처 : sabmithrnbh의 블로그
글쓴이 : 서공석 원글보기
메모 :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도면약어 (0) | 2007.03.08 |
---|---|
[스크랩] [캐드] CAD란? (0) | 2007.03.06 |
[스크랩] 구조 몇 문제 올립니다. 그림이나 수식이 다소 깨질 수도 있군요. (0) | 2007.03.05 |
[스크랩] 전단마찰계수 (0) | 2007.03.05 |
[스크랩] 기본서 예제 풀어보기(RC) 중립축 위치, 등가응력블럭 깊이 등 (0) | 2007.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