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스크랩] 실내건축재료

김프로님 2007. 3. 9. 20:26
 
 
1.총론 
1) 20C 건축 발달에 이바지한 3대 건축재료- 판유리, 강철, 시멘트 (고층화에 이바지) 
2) 재료의 강도 단위- Kg/cm2 
2.나무 
1)목재의 비중: 1.54 
2)목재의 벌목시기: 가을이나 겨울 
3)목재의 특징: ①건조하면 강도가 커진다. ③비중이 큰 수종이 강도도 크다. ③섬유방향의 인장강도는 압축강도보다 크다. 
4)목재의 강도: 인장강도>압축강도>휨강도>전단강도 (인장강도가 가장 높고 전단강도가 가장 낮다) 
5)목재의 인공 건조법 ①단시간내에 건조할 수 있다. ②시설비용이 많이 든다. ③자연건조에 비해 변형이 적다. ④1∼3개월 자연건조 후 인공건조가 바람직하다. 
6)목재의 공극율 산출공식: V=(1-W/1.54) ×100, W=전건비중(수분이 0%일 때 비중) 
7)①침엽수-소나무, 삼나무, 전나무, 낙엽송, 편백나무 ②활엽수-너도밤나무, 느티나무, 참나무, 박달나무, 벚나무, 단풍나무, 사시나무 
8) 단단한(무거운)나무- 떡갈나무(0.95), 참나무, 느티나무(0.62) -압축강도가 크다. 수축이 크다. 연한나무 - 오동나무(0.3), 삼나무(0.38), 회나무(0.41) 
9)심재와 변재의 구별이 명확하지 않은 나무- 오동나무 (가벼운 나무와 열대지역의 나무는 나이테의 구별이 명확치 않다) 
10) 도관: 활엽수에만 있는 것으로 줄기방향으로 배치되어 주로 양분과 수분의 통로가 되며 나무의 종류를 구별하는데 사용 
11)입피(껍질박이)- 수목이 성장하는 도중 나무 껍질이 상처가 아물 때 목질부 속으로 밀려 들어가 굳은 것. 
12) 생나무를 건조하면 강도가 증가하기 시작하는 점- 함수율 30%에서부터 
13) 목재의 기건상태 함수율- 15% ⊙기건상태: 목재가 공기 중에서 오래 건조되어 대기중의 습도와 균형을 이룬 상태 
⊙전건상태: 목재를 가열건조시켜 함수율이 0%인 상태, 가장 강도가 높다.  
14)가구재의 함수율: 10% 정도 
15) 목재의 ①인화점(180°) - 목재 가스에 불이 붙는점 
착화점(260∼270°) - 목질부에 불이 붙는점(화재위험 온도)  
발화점(400∼450°) - 불을 붙이지 않아도 자연 발화한다. 
16)목재의 정척재- 6자(180cm), 9자, 12자 (정적재는 제제소에서 일정하게 제재하는 치수로 값이 싸다) 
17) 목재의 방부재 
①크레오소트: 방부력은 우수하나 냄새가 강하여 실내 사용이 곤란 
②P.C.P(펜타클로로 페놀): 거의 무색 무취 제품이며 방부력 우수하고 그 위에 페인트를 칠할 수 있다. 
③황산동, 황산 아연: 방부력이 있으나 철을 부식 시킨다. 
④생리적 주입법: 벌목전에 나무 뿌리에 약을 주입하는 것으로 별로 효과는 없다. 
18)①유용성(유성)방부재는?- 크레오소트, 콜타르, 아스팔트, PCP(펜타클로로 페놀) 
②수용성 방부재- 황산구리 용액, 염화아연 용액, 염화제이수은 용액, 플르오르화 나트륨 용액 
19)집성목재: 목재를 붙여 크게 만든 목재 ①아치와 같은 굽은 용재도 만들 수 있다. 
②목재의 강도를 인공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③길고 단면이 큰 부재를 간단히 만들 수 있다. 
④응력에 따라 필요한 단면을 만들 수 있다. 
20)섬유판(fiber board): 조각낸 목재, 톱밥, 대패밥, 볏집, 나무부스러기 등 식물성 
재료를 펄프로 만든 다음 접착재, 방부재를 첨가하고 가압하여 만든 판 
21)코펜하겐 리브? ①강당, 극장 등의 내벽에 붙인다. 음향조절 효과와 장식효과가 있다.
 ②5x10cm의 두꺼운 판에다 표면을 자유곡선으로 파내어 리브를 만든다. 
22)합판의 제조 방법 ①슬라이드 베니어- 상하 또는 수평으로 이동하는 나비가 넓은 대팻날로 얇게 
절단한 것으로서, 곧은 결 등의 아름다운 무늬를 이용할 수 있다 
로우터리 베니어- 회전시키며 얇고 넓은 단판을 만들고, 여러 겹 접착하여 만듬(가장 많이 쓰는 방법) 
23)합판의 종류 ㉮화장합판: 겉면을 예뿐 무늬목으로 처리한 무늬목 합판을 말한다. 
㉯멜라민 화장합판: 표면에 엷은 무늬목이나 프린트 된 종이를 붙이고 멜라민 수지를 입혀 가공 
㉰염화비닐 합판: 표면에 인쇄 가공한 비닐쉬트를 접착한 합판. 
㉱도장합판: 표면을 투명하게 도장하거나 채색하여 가공한 합판. 
24)듀벨(다웰)- 목재를 이음 할 때 목재와 목재 사이에 끼워서 전단에 대한 저항을 하는 철물   
3.석재 
1) 석재의 인장강도는?- 압축강도의 1/10∼1/20이다.(콘크리트의 인장강도-압축강도의1/10-1/15) 
2) 석재의 압축강도 순서- 화강암>대리석>안산암>사암 (화강암이 제일 강하나 내화도는 가장 낮음) 
3)석재의 종류①화성암계 - 화강암, 안산암, 현무암 
②수성암계 - 응회암, 사암, 석회암 ③변성암계 - 점판암, 대리석, 트레버틴, 사문암 
㉮ 점판암- 판상 형태로 생산되어 지붕의 재료로 사용 
㉯ 대리석- ①주성분은 탄산석회(CaCo3)이다. ② 치밀 견고하고 색체, 무늬가 다양하다. 
③열과 산에 약하다. 
㉰ 트레버틴- 대리석의 일종, 다공질이며 갈색무늬, 갈면 광택이 나며 실내장식 재료 
◈화강암- 마그마가 굳은 화성암의 일종으로 압축강도가 대단히 크다. 열에는 대단히 취약하다. 
◈석회암- 치밀하지 못하여 사용할 곳이 거의 없고, 시멘트의 원료로 사용 
◈응회암- 화산재가 퇴적되어 만들어진 암석. 매우 연하여 조각용. 내화력 우수 
4)용도 ①실내용- 사문암, 대리석, 트레버틴(대리석의 일종, 다공질이며 갈색무늬) 
②실외용- 화강암 5) 다듬 순서: 혹두기(쇠메나 망치)-정다듬(정)-도드락다듬(도드락망치)-
잔다듬(날망치)-물갈기 
◈석재 가공시 잔다듬에 사용하는 공구?- 날망치 6) 석재 가공품 ①암면이란- 현무암, 
안산암 등을 녹여 분출하여 실로 뽑은 것, 단열재, 흡음재. 내화력이 뛰어남. 암면제품에는 암면 펠트, 
암면판, 흡음판 등이 있다.(불연재료) ②질석: 운모암계와 사문암계의 광석을 800∼1000도로 
가열하여 부피를 5∼6배 팽창시킨 다공질 경석. ③퍼얼라이트- 진주석, 흑요석을 분쇄하여 가루로 
만든다음 가열팽창시켜 만든 백색의 다공질의 경석 
④인조석 바름의 종류- ①바름면 갈기, ②바름면 씻어내기, ③바름면 잔다듬(바름면 메우기가 오답) 
테라죠- 백시멘트, 대리석, 종석, 안료 등을 사용하여 표면을 물갈기한 인조 대리석 
7)①석재 면의 보양 재료- <종이> ②타일 면의 보양- <톱밥> 
4.벽돌 
1) 벽돌 쌓기: ①영식 쌓기-이오토막, ②화란식(=네덜란드식)- 칠오토막
2) 적벽돌 1종의 압축강도- 210kg/㎠이상 
3)벽돌의 재질시험- 흡수율 및 압축시험을 한다 
4) 줄눈의 명칭 
5) 벽돌치수=190X90X57mm(표준형) 
6) 1.0B 공간벽의 벽두께: 90+50+90=230mm 1.5B 
공간벽의 벽두께: 90+50+190=330mm (1.5B 벽두께=90+10+190=290mm) 
7) 블록의 치수=390X190X(100,150,190 3종류) 길이X높이X두께  
(즉 390X190X100, 390X190X150,390X190X190, 3종류가 있다.- (오류 확인 중) 
8) 블록의 형식 중 가장 많이 사용하는 형식?- BI형 
9) 다공질 벽돌①벽돌의 크기는 보통 벽돌의 크기와 같다.(내화벽돌이 보통벽돌 보다 크다) 
②점토에 30-50%의 분탄, 톱밥 등을 혼합하여 소성한다.(굽는다) 
③비중은 1.2-1.7 정도이다(단열 및 방음성) 
④톱질과 못박음이 가능하다. 
10) 과소품 벽돌- 벽돌을 지나치게 구워 흡수율이 매우 적고, 압축강도는 매우 크나 
모양이 바르지 않아 기 초 쌓기나 특수 장식용으로 이용하는 벽돌 
11) 내화 벽돌 중 굴뚝이나 베치카용 벽돌의 소성온도- SK26∼SK29 (SK는 소성온도) 
①내화벽돌의 크기: 230 X 114 X 65mm 
②내화점토- 내화벽돌을 쌓는데 사용되는 재료 
12) 속빈 공중 벽돌의 용도: 단열벽, 보온벽, 방음벽(벽돌은 단단하므로 흡음벽으로는 사용불가) 
13) 이형 벽돌- 특수한 용도와 모양으로 처음부터 만들어진 벽돌 
14) 검정벽돌- 불완전 연소로 소성하여 빛깔이 검게된 벽돌(흑색안료를 혼합하지는 않는다)   
5.시멘트 및 콘크리트 <시멘트> 
1)시멘트의 비중- 3.05∼3.15 
2)단위용적 중량- 1500kg/m3 ◈시멘트 1포의 무게-40kg 
3)시멘트의 원료- 석회석(CaO), 점토, 석고 (석회석이 주성분(65%)이다.) 
⊙석회석(CaO)이 주성분이 되며, 석고는 경화를 늦추는 재료로 소량 첨가한다. 
4)포틀렌드 시멘트의 발명시기 - 19C초 영국인 애습딘 
5)시멘트의 경화 촉진제- 염화 칼슘(CaCl2) (철근의 부식시키므로 무근콘크리트에 만 사용) 
6)시멘트의 응결시간- 1시간이후부터 굳기 시작하여 10시간 이내에 끝난다. 
7)분말도가 높은 시멘트의 특징- ①시공연도가 좋다. ②재료의 분리현상이 감소 
③수화반응이 빠르다. ④조기강도가 높다. ⑤풍화되기 쉽다. ⑥수축균열이 크다. 
⊙시공연도(Workability)란?: 시공하기에 적당한 콘크리트의 묽기를 말한다. 
8)시멘트의 분류 
①포오틀랜드 시멘트- 보통 포오틀랜드시멘트, 중용열 포오틀랜드시멘트,
조강 포오틀랜드시멘트 
②혼합 포오틀랜드 시멘트- 고로 시멘트, 실리카 시멘트(=포촐란시멘트), 
알루미나 시멘트 (용광로 슬랙 혼합) (화산재,규조토 혼합) (산화알루미늄 혼합) 
9)고로시멘트- 발열량이 적고 염분에 대한 저항성이 커 댐, 해안공사에 사용 
특징- 
①댐공사에 좋다. ②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보다 비중이 작다 
③바닷물에 대한 저항이 크다. ④콘크리트에서 블리딩이 적어진다. 
10)중용열 시멘트- 발열량이 적고 방사선 차단 효과가 있는 시멘트 안정성이 제일 좋은 
콘크리트를 만들 수 있다. 
11)알루미나 시멘트- 조기강도가 큰 시멘트(알루민산 삼석회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물을 가한 후 24시간 이내에 보통 포틀렌드 시멘트의 4주 강도가 된다. 
12)시멘트의 저장 방법 ① 시멘트는 방습적인 구조로 된 사일(silo) 또는 창고에 저장한다. 
② 포대 시멘트는 지상 30cm 이상 되는 마루 위에 (통풍이 잘되지 않는 곳)에 보관한다. 
③ 포대의 올려 쌓기는 13포대 이하로 하고 장시일 저장할 때는 7포대 이상 
올려 쌓지 말아야 한다. 
④ 조금이라도 굳은 시멘트는 사용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검사나 반출이 편리하도록 
배치하여 저장한다.  
 <콘크리트> 인장강도가 작아 인장력에 강한 철근으로 보완한다. 
1)단위용적 중량-
①무근 콘크리트-2.3t/m3 ②철근 콘크리트-2.4t/m3 
2)골재의 품질-
①골재의 강도는 시멘트 풀의 강도 이상 ②거칠고 구형에 가까운 것이 좋다. 
③잔 것과 굵은 것이 적당히 혼합된 것이 좋다. 
입도란?- 골재의 크기가 고르게 크고 작은 것들이 섞여 있는 정도. 
⊙체가름 시험- 골재의 입도를 측정하기 위한 시험 
⊙잔 골재(모래): 5mm채를 85% 이상 통과하는 것 
⊙굵은 골재(자갈): 5mm체에 85% 이상 남는 것 
3) 콘크리트의 인장 강도- 압축강도의 1/10 이하 
4) 콘크리트의 강도에 가장 영향을 주는 것은- 물시멘트비(W/C) 
5) 콘크리트 보양 시 가장 중요한 것은- 온도와 습도 
보양이란?- 콘크리트를 부어넣고 알맞은 온도에서 충분한 수분을 공급하고 진동을 
예방하는 작업 
6) 크리프 현상이란?- 콘크리트 구조물이 하중의 증가 없이도 시간이 지나면 
변형이 증가하는 현상 (즉 미세한 갈라짐이 증가하는 현상) 
7) 슬럼프 테스트를 하는 이유- 시공연도(워커빌리티)를 측정  
(슬럼프시험을 가장 많이 사용한다) 
8) 물.시멘트비(W/C)란- 물과 시멘트의 중량비로, 클수록 강도는 낮아진다. 
(콘크리트의 강도에 가장큰 영향을 미친다) 
9) AE제- 
①콘크리트를 비빌 때 사용하는 혼화재료, 미세한 기포를 만든다. 
②워커빌리티 개선 ③많이 사용하면 강도 저하현상이 일어난다. 
10) AE콘크리트의 특성 
①워커빌리티(시공연도)가 좋아진다. ②단위수량이 감소한다. 
③수밀성, 내구성이 증가한다. ④공기 기포가 증가함에 따라 강도가 떨어진다.
(공기량 1%에 대하여 압축강도는 3∼5% 떨어진다) 
11) 염분이 석인 모래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문제점: 철근의 부식 
(함유량 0.01% 이하로 규정) 
12) 경화 촉진재: 염화칼슘(CaCl2), 동절기 공사에 유리하나 철근을 부식시킨다. 
13)①프리펙트 콘크리트- 거푸집에 미리 자갈을 넣고 골재 사이에 모르타르를 
압입시켜 만드는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장에서 콘크리트 부재를 생산하고 그것을 현장으로 
운반하여 조립하는 콘크리트. 
③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고강도 강재나 피아노 선을 사용하여 재축방향에
 미리 압축력을 준 콘크리트 
14) 블리딩(Bleeding)이 생기는 원인- 부적당한 골재나 지나치게 큰 자갈을 
사용할 때 일어난다. 
블리딩(Bleeding)이란?- 콘크리트를 부어 넣을 때 골재와 시멘트 죽이 
서로 갈라지는 현상   
6.유리 
1) 유리의 주원료- 천연규사(SiO2) 
2) 보통 유리의 연화점- 740℃ 
3) 유리 강도의 측정기준- 휨강도 
4) 분류
①박판유리- 두께 6mm이하, 채광용 판유리 
후판유리- 두께 6mm이상, 실내 차단용 벽, 스크린 등의 특수용의 
유리 표면을 아주 평활 하게 마감한 것으로 반사나 굴절이 적어 진열장 창에 많이 이용 
5) 유리의 종류 
①소다석회유리- 건축물의 창유리로 가장 많이 쓰이는 유리, 자외선의 투과율이 적다. 
②열선 흡수 유리- 단열유리라고 불리는 유리로 철, 니켈, 크롬을 가하여만든다. 엷은 청색 
③망입 유리- 철망이 들어 있는 유리로 도난방지와 파손 시 파편을 막아주는 유리 
④강화유리- 보통유리를 열처리한 것으로 파손 시 모래알처럼 부서진다. 
열처리한 다음에 가공 절단이 불가능하다. 
⊙강화유리의 강도는: 3∼5배 
⊙충격강도: 7∼8배 
⑤기포유리(foam glass)- 미세한 기포가 들어있다. 보온성, 방음성 우수하나 
탄성과 투광률은 낮다. 
⑥착색유리- H자형 단면의 납 끈에 끼워 모양을 내는 스테인드 그래스에 사용. 
성당의 창, 상업 장식 
⑦복층유리- 2장, 3장의 판유리를 일정한 간격으로 띄우고 기밀한 금속 테두리를 한 유리. 
방음, 단열성이 크고 결로 방지용 
⑧서리유리: 우유 빛으로 빛을 차단 시키며 투시성이 적어 외부의 시선을 차단하는 유리 
6) 건축의 창유리 종류- 소다석회 유리 
7) 자외선 투과율이 적은 유리- 소다석회 유리(산화제이철(Fe2O3) 성분이 
자외선을 차단시킨다) 
8) 보통 창유리의 특징 
①일반적으로 열전도율이 작다.(콘크리트의 1/2) 
②열팽창계수가 큰 편이다. 
③보통 강도라 함은 휨강도를 말한다. 
④자외선의 투과율이 낮은 편이다. 
9) X선 차단유리에 포함된 성분은?- 납 
10) 투명한 유리의 투과율: 90% 정도(88%∼95%)   
7.점토제품 
1) 종류 
토기-기와, 벽돌  ②석기-크링커 타일, 항아리 
③도기-위생도기(세면기,양변기) ④자기- 자기질 타일 (가장 고온에서 소성) 
2) ①크링커 타일- 타일중 요철 무늬를 넣어 바닥 등에 붙이는 저급품의 타일은 
②모자익 타일- 화장실의 바닥 등에 붙이는 자기질 타일 
③보더 타일- 타일 치수에서 길이가 폭의 3배 이상의 긴 타일 
3) 소성된 점토 제품의 색깔에 영향을 주는 성분- 산화철은 적색석회 성분은 
황색을 띄게 한다 
4) 흡수율이 가장 작은 타일- 자기질 타일 
(흡수율: 자기<석기<도기<토기 )  흡수율이 가장 높은 점토제품- 토기질 타일 
◈ 자기질 타일의 흡수율: 3% 이하 
5)테라코타: 
①입체타일로 석재보다 색이 자유롭다. 
②일반석재 보다 가볍고, 압축강도는 화강암의 1/2정도 
③화강암보다 내화력이 강하고 대리석보다 풍화에 강하므로 외장에 적당하다. 
④한 개의 크기는 제조와 취급상 0.5m3 이하로 한다. 
6) 제게르추: 점토제품의 소성온도 측정 
7) 내화점토- 내화벽돌을 쌓는데 필요한 재료 
8) 굴뚝,베치카용 내화벽돌의 소성온도: SK26 (SK는 소성온도) 
9)내화벽돌의 크기: 230 ×114 ×65   
8.금속 및 기타 <금속> 
1)금속성질 
①취성- 건축재료 중 적은 변형이 생기더라도 파괴되는 성질 
②연성- 재료가 잘 늘어나는 성질 
③전성- 재료가 얇게 퍼지는 성질 
2)철재  
① 강재의 강도가 가장 큰 온도: 250℃ (캐드에서는 200∼300℃으로 출제) 
② 철강을 선철, 강철, 순철로 구별하는데 무엇의 함유량에 의해서 하는가?- 탄소(C) 
③ 철강의 열처리법- 불림, 풀림, 담금질, 뜨임 # 인발- 철사나 못과같이 5mm 
이하의 철선을 만드는방법으로 형틀을 통해 뽑아내어 가공한다. 
④ 광명단의 사용 용도?- 금속의 부식방지용 페인트 
3)철재의 부식 방지 방법 
①철재의 표면에 아스팔트나 콜-탈을 바른다. 
②시멘트액 피막을 만든다. 
③사산화철(Fe3O4) 등의 금속 산화물 피막을 만든다.
(AE제는 콘크리트 혼화제이므로 틀린답) 
4)납(=연鉛)- 금속 중에서 비중이 가장 크고 연하며, 주조 가공성 및 단조성이 풍부. 
X선 차단 성능이 가장 큰 금속 
5)알루미늄의 성질 
①전기나 열의 전도율이 높다. 
②전성, 연성이 풍부하며 가공이 용이하다. 
③산알카리에 약하다. 
④공기 중에서 표면에 산화막이 생겨 내식성이 크다. 
6)①두랄루민- 알루미늄의 대표적 합금 알루미늄, 구리, 마그네슘, 
망간의 합금으로 비행기나 자동차에 이용 
②양은(화이트 브론즈): 색이 아름답고 내산 내알카리성이 있고 마멸에 강하여 문장식, 
전기기구에 사용(구리+니켈+아연 합금) 
③포금: 주석에 아연, 납,구리를 합금 한 것. 강도, 경도가 크다. 기어, 톱니 등을 만듬 
④황동= 구리+아연(주로 창호철물) 
⑤청동= 구리+주석(주로 장식철물로 사용) 
7)①양철판- 철판에 주석 도금,스틸캔에 사용  
②함석판- 철판에 아연 도금- 지붕,홈통 
8)창호철물 
⊙자유경첩- 안팎으로 개패 된다. 용수철의 힘으로 자동 닫힘 
플로어 힌지- 바닥에 힌지 장치를 한 무거운 자재문에 설치 
도어체크(도어클로저)- 문 위에 설치하여 문이 자동으로 닫힘 
크리센트- 창의 간단한 잠금장치(오르내리창의 잠금 장치로 개발) 
도어 행거- 주름문, 접이문, 아코디온문 등에서 문을 매달 때 바퀴 사용 
⊙실린더 -여닫이 문의 손잡이 
레버토리 힌지: 공중변소, 문이 자동으로 닫힐 때 완전히 닫히지 않게 한다. 
⊙도어스톱: 까치발처럼 열린 문을 고정하는 철물 
◈여닫이 문에서 사용하는 철물: 플로어 힌지, 도어 클로저, 실린터 
9) 인서트- 콘크리트 슬랩에 묻어 천장 달대를 고정시키는 철물은(경량철골 천정틀용이다) 
10) 코너 비드- 기둥의 모서리 및 벽 모서리에 미장을 쉽게하고 모서리를 
보호할 목적으로 설치하는 것 
11) 메탈라스: 얇은 철판에 많은 절목(節目)을 넣어 이를 옆으로 늘여서 
만든 것으로 도벽 바탕에 쓰이 는 금속재료 
12) 펀칭메탈- 박강판(얇은철판)을 여러 가지 무늬로 뚫어 환기구멍, 
방열기 덮개로 사용한다.   
<아스팔트> 
1)아스팔트의 종류 
①스트레이트 아스팔트- 점성, 신축성, 침투성이 크나 증발성분이 많고 
온도에 의한 강도, 연성, 유연성의 변화가 큰 것으로 아스팔트 펠트나 
루핑의 바탕재료(지하실 방수) 
②부라운 아스팔트- 뜨거운 공기를 불어넣어 만든 아스팔트로 온도에 
의한 변화가 적으며 안정성이 크다.(지붕, 옥상 방수) 
2)아스팔트 8층 방수에서 아스팔트지(펠트, 루핑)는 몇 겹- 3겹 
3)①아스팔트 방수에서 제일 먼저 시공하는 재료는- 아스팔트 플라이머 
(플라이머는 아스팔트를 휘발유, 솔벤트 등에 녹여 부착이 잘되도록 
콘크리트 면에 뿌리는 것이다) 
②아스팔트의 품질검사- 신도(伸度), 침입도(侵入度), 감온비(感溫比) 
(압축강도가 틀린 답) 
4)아스팔트 가공제품 
①아스팔트 루핑- 펠트의 양면에 스트레이트(블로운) 아스팔트를 피복하고 
활석 분말 등을 부착하여 만든 제품 
②아스팔트 싱글- 특수하게 개량한 아스팔트 사이에 강인한 글래스 
매트나 다공질의 원지를 심재로 하고 표면은 채색된 돌 입자로 코팅한 아스팔트 제품 
③아스팔트 타일- 아스팔트와 쿠마론 인덴수지, 염화 비닐 수지에 석면, 
돌가루 등을 혼합한 다음 높은 열과 높은 압력으로 녹여 얇은 판으로 만든 
것을 알맞은 크기로 자른 것   
<합성수지> 
1)①열경화성수지(열을 받으면 단단해지는)- 페놀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멜라민 수지, 실리콘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FRP판을 만들어 물탱크 등에 사용한다. 
페놀수지: 전기통신 재료로 60%이상 사용되고 기타 화장판류, 도료, 
접착재 등으로 쓰이는 수지 
②열가소성 수지(열을 받으면 녹는)- 염화비닐수지, 폴리에틸렌수지, 
폴리프로필렌수지, 아크릴수지 
2)가공법 
①열가소성 수지- 사출 성형법(떡가래 뽑듯이 뽑아내는 가공법) 
②열경화성 수지- 압축 성형법(분말형의 재료를 가열 가압하여 경화시키는 방법) 
3)①비닐 시트- 모노륨, 골드륨, 옥장판, 깔끄미와 같은 합성수지 바닥 마감재료 
②레저- 인조가죽 또는 합성 피혁, 가구에 많이 쓰이고 PVC 필름에 면포나 
섬유상 재료를 덧 대에 보강한 시트 
4)접착재 
①페놀수지- 무색투명하며 내수성, 내약품성, 내열성이 가장 우수한 접착재. 내수합판 
요소수지- 접착할 때 경화제로 염화암모늄을 사용하며 가격이 싸고 접착력이 
우수하고, 상온에서 경화되어 합판, 집성목재, 파티클 보드, 가구 등에 널리 
쓰이는 합성 수지계 접착제  
③에폭시수지- 내산,내알카리,내수성이 좋으며, 특히 금속의 접착에 적당하여 
항공기의 접착에 사용 
◈참고- 목재의 접착 등에는 페놀수지가 우수하나 유리나 금속의 접착에는 불리하다. 
유리나 금속은 에폭시 수지가 우수하다. 
<도료(페인트)> 
1)재료
①안료- 물, 기름 기타 용제에 녹지 않는 착색 분말 
②전색제(展色濟): 도료가 액체 상태에 있을 때 안료를 분산 현탁시키고 있는 매질 부분 
③건조제- 도료의 건조를 촉진시키는 재료 
④용제(희석재,조용제)- 도료의 점도를 조절하고 증발속도를 조절하는 휘발성 재료, 
신너를 사용 
2)신너의 종류 
①미네럴 스플릿- 유성페인트, 유성 바니쉬, 에나멜 페인트용 신너 
②벤졸, 알코올, 질산에스테르- 래커용 신너 
3) 페인트의 종류 
┌①유성페인트 : 안료와 건조성 지방유를 혼합. 불투명 피막형성 
└②수성페인트 : 소석고, 안료, 접착제를 혼합. 물로 녹여 사용 
┌③니스(바니쉬) : 수지 또는 섬유소에 휘발성 용제를 혼합한 것. 
◈ 투명하나 느린 건조 
│④에나멜 페인트: 니스에 안료(물감)를 석은 것 
└⑤래커(락카) : 합성수지에 휘발성 용제(신나)를 혼합. 
◈ 투명하고 빠르게 건조 
⑥에멀션 페인트- 물에 아스팔트,유성페인트,수지성 페인트 등을 현탁시킨 
유화 액상 페인트 (수성에가깝다) 
◈ 안료와 유성니스를 반죽한 페인트- 에나멜 페인트 
◈ 목재의 바탕 무늬를 살리기 위한 페인트- 클리어 래커(건조가 빠르다) 
4) 유성페인트와 비교한 합성수지 도료(래커 등)의 특징 
①건조가 빠르다. ②도막이 단단하다. 광택이 있다. 
내산,내알칼리성이다. ④방화성이 크다. 
⑤값이 싸다.(목재의 도장에 사용) 
◈래커(합성수지도료)의 약점: 도막이 얇고, 부착력이 떨어지며, 
습기에 약해 백화현상이 일어난다. 
5) 각종 도료의 특징 
①유성페인트는 바탕의 재질을 감춘다. 
②바니쉬는 바탕의 재질을 그대로 나타 낸다.
광명단은 철재의 부식을 방지한다. 
④에나멜페인트는 도막이 견고하고 광택이 좋다. 
6)오일스테인- 목재의 채색을 위한 착색재이다. 
7)감즙- 탄닌을 5% 정도 포함하고 있으며 목재, 종이, 실 등에 발라 방수, 
내수성을 높이는 재료 
8) 옷칠의 특성 
①온도와 습도가 있는 상태에서 잘 굳는다. 
②화학적으로 안정상태이며 내산 내구적이다. 
③내열성이 보통페인트나 바니쉬에 비해 우수하다. 
④공정이 복잡하고, 칠하기 어렵다.   
<미장재료> 
1)기경성 미장재료- 진흙, 회반죽, 돌로마이트 플라스터(공기중의 
이산화탄소(CO2)와 결합하여 굳는다) 
2)수경성 미장재료- 시멘트 모르타르, 석고 플라스터 (물과 결합하여 굳는다) 
3)모르타르의 종류 
①질석 모르타르- 균열 방지용 및 단열용 
②바라이트 모르타르- 방사선 차단용 
③석면모르타르- 화기에 강한 내열성 모르타르 
4) 회반죽이 공기 중에서 굳을 때 필요한 물질- 탄산가스(CO2),(☆기경성 이다) 
◈ 회반죽에 여물을 넣는 이유: 균열을 방지한다. 
5)돌로마이트 석회(돌로마이트 플라스터) 
① 석회의 일종으로 소석회보다 비중의 크고 굳으면 강도가 크다. 
② 점성이 좋아 풀(해초풀)을 넣을 필요가 없다. 
③ 건조 수축이 커서 균열이 나기 쉬우며 물에 약한 결점이 있다. 
④ 냄새 곰팡이가 없고 변색될 염려가 없다. ⑤ 기경성이다.  
 <기와 및 지붕> 
1)지붕의 물매(작은 재료일수록 경사가 급하다) 
소형 슬레이트- 5/10 기와 지붕 - 4/10 
③대형 슬레이트- 3/10 ④아스팔트 루핑- 3/10 
금속판 기와 가락- 2.5/10 
2)시멘트기와의 크기: 340 ×300 ×15 
3) 옥상의 빗물처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철제품은?- 루프 드레인   
<벽지> 
1) 갈포(葛布)- 칡넝쿨의 줄기나 잎, 갈대 줄기 등을 씨실로 하여 짠것으로 
자연미가 있는 벽지 
2) 발포벽지- 표면을 발포성 비닐로 만들어 물로 닦을 수 있으며 탄력성, 
활동성, 질감등이 우수 


 

출처 : KIM 쌤 인테리어
글쓴이 : 칼리버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