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재료

[스크랩] 실내건축재료용어. 1

김프로님 2007. 3. 23. 00:12
 

■ CHAPTER 1. 기본용어(基本用語)

 

● 무기재료(無機材料)  

주로 광물계에 해당되는 것으로 탄소를 함유하지 않는 물질을 가리킨다. 금속과 비금속재료로 분류할 수 있으며, 금속재료(金屬材料)로는 철, 알루미늄, 동, 아연, 합금류 및 가공품이, 비금속재료(非金屬材料)로는 석재, 벽돌, 시멘트, 유리, 콘크리트, 타일 등이 있다.


무기광물질(無機鑛物質)

암석, 점토, 타일, 유리, 시멘트 등을 총칭한 것으로, 이들 모두는 금속원소(Ca, Mg, Mn, Al, Fe 등)와 반금속원소(Si, C, Ge, P 등), 비금속원소(N, O, S, H 등) 중 2종 이상의 원소가 결합하여 유리질이나 결정질로 되어 고용체(固溶體) 또는 집합체를 구성하고 있다. 무기광물질의 결합은 일단 결합이 끊어지게 되면 재결합이 될 수 없기 때문에 금속과 같이 큰 소성변형에 견딜 수 없으며, 원자간의 결합력이 크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압축강도가 크나 인장강도는 작다. 또한 전반적으로 융점(融點)이 높고 내열성, 내구성, 내약품성이 큰 특징을 갖고 있다.


● 유기재료(有機材料)

재료 내에 탄소를 함유하지 않는 것으로 천연재료와 합성수지로 대별할 수 있다. 천연재료(天然材料)  로는 목재, 아스팔트, 섬유류, 섬유판 등이, 합성수지(合成樹脂)로는 플라스틱재, 도장재, 접착제, 시일제 등이 있다.


유기물질(有機物質)

실내건축재료로서의 유기물질은 목재 및 합성수지가 대표적이다. 유기물질은 일반적으로 가소성이 풍부하여 큰 소성변화에도 잘 견디며, 가공성, 내약품성이 우수하고 인장강도도 큰 편이나 내열성, 내구성 등이 부족하고 또한 연소시 가스를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다.


● 구조재료(構造材料)

기둥, 보, 벽체 등 주로 건축물의 골조를 구성하는데 사용하는 재료로 구조적인 강도를 필요로 하는 재료이다. 목재, 철재, 석재, 콘크리트 등이 있다.


● 수장재료(修裝材料)

실내외 마감과 장식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재료로 마감재료라고도 한다. 타일, 도료, 유리, 금속판, 섬유판, 석고보드, 코르크판, 합판 등의 내외장 마감재료와 목재, 금속재, 플라스틱재 창호 등의 창호재료가 있다.


● 차단재료(遮斷材料)

방수, 방습, 차음, 단열 등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재료로 아스팔트, 페어글라스, 유리섬유, 암면 등이 대표적인 재료이다.


● 방화 및 내화재료

화재의 연소방지 및 내화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재료로 방화문, 방화셔터, 석면시멘트판, 규산칼슘판, 암면 등이 있다.


● 설비재료(設備材料)

인간생활의 쾌적함을 추구하기 위한 온도, 열, 습기, 공기환경, 빛환경 등을 인위적으로 조성하는데 사용되는 재료로 급배수(給排水), 냉난방(冷煖房), 위생설비(衛生設備), 공기조화설비(空氣調和設備), 가스설비, 전기(電氣) 및 조명설비(照明設備) 등이 있다.


● 용체(溶體)

두 종 이상의 원자 또는 분자가 용합(溶合)된 상태의 물질을 용체라고 하며, 이 중에서 알코올, 에멀젼 페인트 등 액상의 것을 용액(溶液)이라 한다. 또한 합금속, 세라믹 등에 있어서 결정 또는 비결정질 중에 다른 원소가 원자 또는 분자의 상태로 용액체와 같이 분산되어 고체를 형성하고 있는 경우, 이를 고용체(固溶體)라고 한다.

 

● 집합체(集合體)

고체재료 중 조성구조에 관계없이 원자나 분자가 집합하여 균일한 고체물질을 구성하고 있는 것을 집합체 또는 단일재료라고 한다.


● 복합체(複合體 : 복합재료)

① 복합집합체 : 골재를 시멘트풀(페이스트)로 결합한 콘크리트나 시멘트 페이스트를 석면으로 보강한 것 등의 재료로, 골재와 결합재로 구성된 것을 말한다.

② 적층체(積層體 : 적층재료) : 재료를 층상으로 적층하여 접착제 등으로 결합한 것으로 합판, 하니컴 구조 등이 있다.

③ 혼합체(混合體) : 입상(粒狀), 분상(粉狀), 섬유상(纖維狀)의 재료 등을 결합시키지 않고 사용하는 것.


금속(金屬)

무기질재료의 일종으로 대부분 결정구조를 하고 있다. 금속은 가소성이 있어 소성변형이 가능하며, 강도가 크고 열전도율, 전기전도율이 높다. 그러나 일부 금속은 부식성이 크고 열에 약한 단점이 있다.


마이크로(micro) 조직

원자 종류, 결합상태, 결정의 배열 등에 따라 구조가 결정되며, 결정구조와 비결정구조가 있다. 육안으로는 조직을 볼 수 없고, 현미경으로 확대해야만 볼수 있어 미세조직 또는 현미경 조직이라고도 한다.


● 마크로 조직

입자가 큰 조직으로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조직을 말하며 단일조직과 복합조직으로 분류된다.


단일조직(單一組織)

재료를 마크로적으로 보았을 때 단일로 구성된 조직으로 기포나 섬유 등을 포함하지 않은 금속 및 합금, 유리, 플라스틱 등이 이에 속하며, 조밀조직과 단섬유조직으로 구분할 수 있다.


● 조밀조직(稠密組織)

물질의 구조상 또는 외관상 조밀한 조직으로 철재, 석재 등이 대표적이다.


● 단섬유조직(單纖維組織)

지름이나 폭이 수마이크로(μ)부터 수십마이크로 사이에 있는 것으로 지름에 비하여 길이가 긴 조직을 말한다. 천연섬유(석면, 식물섬유, 동물섬유)와 인공섬유(금속섬유, 광물섬유, 합성섬유)가 대표적이다.  


복합조직(複合組織)

재료를 마크로적으로 보았을 때 두 종류 이상의 조직이 집합(集合), 적층(積層), 혼합(混合), 일체화한 조직을 말하며, 콘크리트, 합판, FRP(강화플라스틱) 등이 대표적이다.


● 섬유집합조직(纖維集合組織)

한 종류 또는 여러 종류의 섬유가 집합되어 구성된 조직으로 섬유내에 공극(空隙)이 들어 있는 것을 말하며, 펠트, 매트, 카펫, 섬유판 등이 대표적이다. 흡음성이 우수하고, 열전도율이 낮으며, 경량이라 취급이나 시공이 용이하다. 또한 무기질을 사용한 조직은 내열성 및 내화성능이 우수하여 단열재 및 내화재로 사용한다.


● 복합집합조직(複合集合組織)

섬유, 분말, 골재 등의 여러 가지 재료와 결합재로 구성된 것을 복합집합조직이라 한다. 구성재료에 따라 무기질과  유기질로 대별되며 강화플라스틱, 콘크리트, 섬유판, 인조석 등이 대표적이다.


● 다공조직(多孔組織)

독립 또는 연속된 기공(氣孔)이 균질하게 포함된 조직으로, 기포유리, 폴리스티렌 폼, 인공경량골재(질석, 퍼얼라이트)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열전도율, 전기전도율이 작아 차단재로 사용하며 경량이고 시공성이 좋은 장점이 있는 반면에 투기성, 투수성, 흡수성이 커 사용에 주의를 해야한다. 


적층조직(積層組織)

재료를 층상(層狀)으로 적층하고 접착제 또는 기타의 방법으로 결합하여 일체화한 조직이다. 합판과 같이 동일의 재료를 적층 한 것과 석고보드와 같이 다른 재료를 적층 한 것 등이 있으며, 적층조직의 일반적 성질 및 특징은 다음과 같다.

① 방향에 따른 강도 및 용적의 변화가 적은 균질의 재를 만들 수 있다.

② 경량이면서도 휨강성이 큰 재료를 얻을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곡면이나 대형재로 만들 수 있다.

③ 심재(心材)로 열전도율이 적은 재료를 이용하면 단열성이 큰 재료를 만들 수 있으며 표면재(表面材)로 미관, 내수성, 내식성, 내마모성, 흡음성 등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 탄성(彈性 : elasticity)

재료에 외력(外力)이 작용하면 순간적으로는 변형이 생기지만, 외력을 제거하면 원래의 모양 및 크기로 되돌아가는 성질.


소성(塑性 : plasticity)

재료에 가해진 외력을 제거해도 원상(原狀)으로 돌아가지 않고 변형된 그대로 남아 있는 성질. 즉, 재료에 작용하는 외력이 어느 한도에 도달하면 외력의 증감(增減)이 없어도 변형만이 증대하는 성질.


점성(粘性 : viscosity)

유체가 유동하고 있을 때 유체의 내부에 흐름을 저지하려고 하는 내부마찰저항이 발생하는데 이를 점성이라 한다.


● 응력(應力 : stress)

재료에 외력이 작용할 때, 재료의 내부에서 반발하는 외력에 저항하는 힘.


● 강도(强度 : strength)

재료가 외력을 받았을 때, 절단이나 좌굴 등의 이형적(異形的)인 변형을 일으키지 않고 이에 저항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척도.


● 경도(硬度 : hardness)

재료의 단단한 정도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표면의 경도를 의미한다.


● 강성(剛性 : rigidity, stiffness)

재료가 외력을 받아도 쉽게 변형되지 않는 성질을 말하며, 강성은 탄성계수와는 밀접한 관계가 있으나 강도와는 직접적인 관계는 없다.


● 연성(延性 : ductility)

탄성한계 이상의 힘을 받아도 파괴되지 않고 가늘고 길게 늘어나는 성질.


● 취성(脆性 : brittleness)

재료가 외력을 받았을 때 극히 작은 변형만으로도 파괴되는 성질을 취성이라 하며, 충격에 약한 유리, 석재 등이 대표적이다.


● 인성(靭性 : toughness)

재료가 외력을 받았을 때 변형되면서도 파괴되지 않고 견디는 성질을 인성이라 하며, 일반적으로 연신율이 큰 재료가 인성이 크다.


● 전성(展性 : malleability)

압력이나 타격에 의해서 파괴되지 않고 박판형상으로 되는 성질로 금, 알루미늄, 납, 동 등이 전성이 큰 대표적인 재료이다.


● 내구성(耐久性 : durability)

사용된 재료가 파손이나 노후, 부식, 부패, 균열, 마모 등의 변함이 없이 재료의 사용연한이 길게 유지될 수 있는 성질로 주로 구조재에 필요한 요구성능 이다.


● 내피로성(耐疲勞性)

재료에 반복응력(교통기관에 의한 진동, 동력기계에 의한 진동)을 작용시키면 그 재료의 항복점 응력보다 낮은 응력에도 재료가 파괴되는데, 이 성질을 피로성(fatiguness)이라 하며, 이러한 반복응력에도 쉽게 파괴되지 않는 성질. 


● 함수율(含水率)

재료 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의 중량을 그 재료의 건조시의 중량으로 나눈 값.


● 비중(比重 : specific gravity)

재료의 중량을 그와 동일한 체적의 4℃인 물의 중량으로 나눈 값으로 단위는 kg/m³로 표시된다. 일반적인 건축재료의 비중은 겉보기 비중으로 표시한다.


● 흡음률(吸音率 : absorption coefficent)

음파가 재료에 부딪치면 입사음의 에너지 일부가 여러 가지 흡음재료나 기구에 의해 다른 에너지로 변환되고 흡수된다. 이것을 흡음이라고 하며, 음의 에너지를 흡수하는 효율을 흡음률이라 한다.


● 열전도율(熱傳導率)

재료의 열전도 특성을 나타내는 비례정수로 단위길이 당 1℃의 온도차가 있을 때 단위시간 동안 단위면적을 통과하는 열량을 열전도율이라 하며, 단위는 Kcal/m.h.℃로 표시한다. 은, 동, 알루미늄 등 금속의 열전도율은 일반적으로 크고, 유리면, 암면 등의 단열재료의 열전도율은 작다.

 

● 역학적 성능(力學的 性能)

강도, 변형, 탄성계수, 크리이프, 인성, 연성, 전성, 피로강도 등 구성재료에 가해지는 외력에 관계되는 성능으로 건축물의 구성방식 및 구성재료의 선정에 큰 영향을 준다.


● 물리적 성능(物理的 性能)

비중, 경도, 수축, 음, 열, 빛, 수분의 투과(透過)와 반사(反射) 등 재료의 조직 및 구성성분에 따라 나타나는 성능으로 주로 환경적인 요소에 영향을 주는 성능.


● 내구 성능(耐久 性能)

산화(酸化), 변질(變質), 풍화(風化), 충해(蟲害), 부후(腐朽) 등, 구성재료의 내구성에 영을 미치는 성능으로 건축물의 수명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 화학적 성능(化學的 性能)

산, 알칼리 및 약품에 의한 재료의 변질, 부식, 용해성 등 화학물질에 의한 재료의 변질 및 내구성 저하에 관계되는 성능으로 재료의 외관에 큰 영향을 준다.


● 방화(防火) 및 내화성능(耐火性能)

연소성, 인화성, 발연성, 용융성, 유독성 가스의 발생여부 등 화재(火災)발생시 건축물의 및 실내 거주자의 안전에 관계하는 성능.


● 감각적 성능(感覺的 性能)

재료의 색채, 밝기정도(명도), 질감, 오염성 등 주로 정서적인 면에 영향을 미치는 성능.


● 생산 성능(生産性能)

생산성, 가공성, 시공성, 공해, 운반의 용이성, 재이용 등 주로 환경, 시공의 용이성, 경제성에 영향을 주는 성능.

출처 : ** 대박쟁이 **
글쓴이 : 대박기원 원글보기
메모 :

'건축재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삼각함수 기초  (0) 2007.04.01
[스크랩] 슬럼프  (0) 2007.03.23
[스크랩] 철근콘크리트 공사 개념정리  (0) 2007.03.22
[스크랩] 레미콘  (0) 2007.03.22
[스크랩] 콘크리트 배합설계  (0) 2007.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