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적

[스크랩] 벽돌 특성 및 시방

김프로님 2007. 4. 19. 23:51

# 벽돌의 크기

- 기존 벽돌(시멘트 벽돌) : 210 (길이) X 100 (너비) X 60 (높이)
- 표준벽돌(적벽돌) : 190 (길이)X 90 (너비)X 57 (높이)
 


# 벽체의 종류

- 0.5B : 표준벽돌의 너비길이
- 1.0B : 기존벽돌의 길이
- 1.0B 공간쌓기 : 90 X 50 X 90
- 1.5B 공간쌓기 : 90 X 50 X 190
 

 

1. 벽돌이란?
고대로부터 이어져온 벽돌은 목재와 더불어 구조재,치장재의 양기능을 수용하는 건축 재료로서 동서를 막론하고 유구한 역사속에 사용되어 왔으며, 앞으로도 영원히 사용되어질 것이다. 이는 다른 건축 재료가 따를 수 없는 특유의 장점과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2. 벽돌의 특성
  • 흙의 질감과 색감이 순수하고 친밀감이 있어 세월이 지나도 싫증이 나지 않는다.
  • 조그마한 개체로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다양한 디자인이 가능하다.
  • 구조재 겸 치장재의 양 기능을 갖고 있다.
  • 불연재로서 내구성이 강하며 영구적이다.
  • 타일 등과 같은 타 재료에 비해 유지관리가 필요없다.
  • 벽돌 자체의 기동성으로 인해 방음, 방습, 단열효과가 있다.
  • 수분을 흡수하였다가 배출함으로서(Breathing효과)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조절이 이루어진다.
  • 적벽돌은 건조 및 소성시 수축이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부피 팽창률이나 수축이 적어 벽체에서 벽돌 자체의 균열이 아주 적다.
3. 벽돌의 선택조건
  • 적당한 흡수율(5~8%)을 가져야 한다. 기공율이 극히 적은(흡수율 4%이하) 벽돌은 조적시 시공 연도가 불량할 뿐만 아니라 쌓을 때 부착 강도가 떨어질 우려가 있다. 또한 불투과성으로 인한 벽체 내부에 수분이 고여 실내에 습기가 차는 경우가 있다. 흡수율이 너무 높으면 동파되거나 내부로 비가 스며들 수도 있다.
  • 벽돌면에 물을 주었을때 일부는 급속히 그 후는 서서히 스며드는 벽돌이 좋다.
  • 벽돌의 크기 편차가 적어야 한다. 크기 편차가 적은 벽돌(KS규정±5mm이하)로 조적시 줄눈 일치를 쉽게 이룰 수 있으며 외관상 미려함이 돋보여진다.
  • 타음이 맑은 것이 좋다.
  • 갈라짐, 휘거나 뒤틀림이 없거나 적어야 하며, 요철이 없고 표면이 편평하되 보드라운 것이어야 한다.
4. 벽돌 조적시 주의사항
  • 부동 침하가 없도록 기초를 튼튼히 한다.
  • 벽돌 운반 및 취급에 있어서 깨어지거나 모서리가 파손되지 않도록 하며, 특히 미장 벽돌을 던지거나 쏟아 내리는 일이 없도록 해야한다.
  • 조적전에 벽돌 나누기를 하는 것이 좋다.
  • 가로, 세로의 기준틀 제작시 조적할 벽돌에 따라 1장의 길이와 1켜의 높이를 정확히 결정해야 한다. 표준형 벽돌(190x90x57mm) 조적시 줄눈의 폭은 10mm로 하는 것이 옳으나 실제적으로는 1켜를 67-72mm로 하며, 1장의 길이도 200-205mm로서 줄눈폭이 10-15mm로 행해지고 있다.
  • 치장재로서 벽돌을 사용시 세로로 7켜(50cm 이내),가로로 90cm이내마다 내력벽체와 긴결철물 혹은 연결 벽돌을 설치해야한다.
  • 벽돌 조적은 특수한 의장 쌓기를 제외하고는 막힌 줄눈으로 쌓아야 하며, 통줄눈으로 쌓을 때는 긴결철물로서 보강작업을 해야한다.
  • 몰탈의 경제성 및 부착강도, 점성, 시공연도의 증진을 고려해서 부분적으로 적당량의 석회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벽돌쌓기는 가급적 건물 전체를 균일한 높이로 쌓아 돌아가고 하루 쌓는 높이는 1.2m(17-18켜)로 하는 것이 표준이지만 최고 1.5m(21-23켜) 이하까지 쌓도록 해야한다.
  • 조적후 양성될 때까지 충격, 진동, 압력 등을 가해서는 절대로 안된다.
  • 세로 줄눈의 몰탈은 발라 쌓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특기시방에 따르거나 감독원의 승인을 받아 사춤으로 할 수도 있다.

5. 모르타르
  • 모래는 평평한 장소에 저장하고 주위의 흙, 대패밥 등의 불순물이 혼합되지 않도록 한다.
  • 쌓기 및 치장줄눈용 몰탈의 배합은 도면 또는 특기 시방에 따른다. 그 정함이 없을때는 다음 표에 따른다. 백시멘트, 색모래 및 안료 등을 사용할 때 그 재료 및 배합에 대하여는 도면 또는 시방에 따른다.
<표> 모르타르의 배합비(용적비)
등 급 시멘트 모르타르
(시멘트:모래)
시멘트 석회 모르타르
(시멘트:소석회:모래)
사용소개
1

1호 1 : 1 1 : 0.2 : 1 치장줄눈용
2호 1 : 2 1 : 0.2 : 2.5 아아치 쌓기용 및 특수구조용
3호 1 : 2.5 1 : 0.2 : 2.8 특수조적조의 일반쌓기용
2

1호 1 : 3 1 : 0.5 : 3.5 중요조적조의 일반쌓기용
2호 1 : 4 1 : 2.0 : 5.0 일반쌓기용
3호 1 : 5 1 : 2.0 : 7 일반쌓기용
3 급 1 : 7 1 : 2.0 : 9 중요한구조물쌓기용

6. 치장줄눈
  • 치장줄눈은 줄눈모양 뿐만 아니라 색에 대해서도 주의깊게 결정하여햐 된다.
  • 일반적으로 백색, 회색, 흑색으로 사용되어지지만 특수한 경우에는 적색과 같은 다양한 색이 가능하다.
  • 치장줄눈은 가급적 밝은 날을 택하여 짧은 시일내에 해야한다.
  • 조적몰탈 혹은 치장줄눈 부위가 밀실치 못하여 그 부위로 수분이 침투되는 경우 백화가 발생될 소지가 크므로 이에 대한 대책으로서 줄눈제 분말 발수제를 첨가 혼합한 치장줄눈용 몰탈을 사용함으로서 백화 발생을 줄일 수 있다.

< 각종 치장줄눈 >


7. 일위대가표
 1.벽두께 0.5B일때 (한면 치장할때)                                      (1,000매당)
품 명 규 격 단 위 수 량 단 가 금 액 비 고
벽 돌 190x90x57 1,000      
시멘트   kg 127.5      
모 래   m3 0.275      
시멘트 (치장줄눈용) kg 38.26      
모 래 (치장줄눈용) m3 0.0273      
벽돌공   2.7      
인 부   1.5      
인 부 (몰탈닦기) 0.3      
인 부 (몰탈비빔) 0.25      
인 부 (소운반) 0.5      
줄눈공 (치장줄눈) 0.9      
인 부 (줄눈용몰탈비빔) 0.035      


 2.벽두께 1.0B일때 (한면 치장할때)                                      (1,000매당)
품 명 규 격 단 위 수 량 단 가 금 액 비 고
벽 돌 190x90x57 1,000      
시멘트   kg 168.3      
모 래   m3 0.363      
시멘트 (치장줄눈용) kg 20.77      
모 래 (치장줄눈용) m3 0.0148      
벽돌공   2.3      
인 부   1.3      
인 부 (몰탈닦기) 0.15      
인 부 (몰탈비빔) 0.33      
인 부 (소운반) 0.5      
줄눈공 (치장줄눈) 0.45      
인 부 (줄눈용몰탈비빔) 0.019      


  • 벽돌이 3.6~6.0m일때는 품(몰탈닦기 인부 제외)을 20%, 6.0m 이상인때는 품을 30% 가산할 수 있다.
  • 본표는 벽돌 10,000매 이상일 때를 기준으로 한 것이며 5,000매 미만인 때는 품(몰탈닦기 인부제외)을 15%, 5,000매 이상 10,000매 미만인 때는 품(몰탈닦기 인부제외)을 10% 가산한다.
  • 몰탈 할증율 및 몰탈 소운반 품이 포함된 것이다.
  • 치장 줄눈에 색소를 포함시키고자 할 때는 소요재료를 별도 가산한다.
  • 본표의 소운반품은 1층인 경우일때이며 2층 이상일 때는 다음표에 의한다.
                      층수별
구 분
1 층 2 층 3 층 4 층
인 부(인) 0.5 0.6 0.8 1.0
  • 줄눈나비는 10mm일때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 양면 치장할때는 치장줄눈 몰탈 및 줄눈공을 가산하면 된다.
  • 모르타르 배합비는 1:3이다.

8. 벽돌쌓기 기준량

< 벽돌쌓기 기준량 >
                      벽두께
벽돌규격(cm)
0.5B 1.0B
190x90x57(표준형) 75 149
210x100x60(기존형) 65 130

  • 본 표는 정량을 표시한 것이며 벽돌(미장벽돌)의 할증율은 3%로 한다.
  • 본 표는 줄눈나비 10mm일 때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출처 : 스프의 스틸하우스 세상
글쓴이 : 김준걸(스프) 원글보기
메모 :

'조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조적공사  (0) 2007.05.23
[스크랩] 점토  (0) 2007.04.19
[스크랩] 단열공사  (0) 2007.04.16
[스크랩] 바로나 경량인방  (0) 2007.03.30
[스크랩] ** 조적구조..  (0) 2007.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