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팔트 포장의 시기별 파손형태
아스팔트포장 시공후 1년~3년사이
소성변형(Rutting) : 골재, 공극, 아스팔트등의 조합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되는 혼합물의 전단 파괴
원 인 : 아스팔트 - 낮은 고온 전단(유동)저항성, 침입도 규격 고온성능 평가 불가능
혼합물 - 낮은 공극율, 골재합성입도(밀입도), 아스팔트 함량 과다
시공 및 품질관리 - 아스콘 혼합 불량/ 형식적인 배합설계, 양생시간 부족, 다짐불량/ 택코팅과다
해결방안 : 고온에서의 전단저항성이 우수한 개질아스팔트 사용, 침입도 규격 개정, 기존 AP-3을 AP-5 사용
적정 공극율 4% 유지 (교량 : 4~6%, 도로 6~8%), 굵은 골재 증대, 자연모래 사용제한, 아스팔트 배합비 하향조정
플랜트 Q/C 관리 - 혼합물 현장확인, 배합설계 현장실사로 확인, 교통개방 표면온도 40도 이하 유지
피니셔 속도제한(8m/분 이내), 다짐 온도/장비 준수, 택코팅 충분히 양생, 정확한 교통량예측, 골재(#78을 #67로)
패임(Pothole) : 혼합물 불량, 부적절한 포장 두께, 택코팅 불량에 의한 층분리, 수분 침투에 의한 박리 발생
밀림(Shoving, Corrugation)
블리딩(Bleeding)
바퀴눌림자국(Punching Shear Load Mark)
아스팔트포장 시공후 3년 이상
피로균열 : 반복되는 하중에 의해 하부로부터 발생된 균열이 상부로 진전되어 발생
부적절한 아스팔트 유형 (낮은 노화저항성), 과다한 반복 중하중 및 포장수명 경과, 포장 구조적문제, 배수불량
저온균열 : 겨울철 주야간 기온변화에 따라 포장 상부층의 반복되는 신축현상에 의해 발생
부적절한 아스팔트 유형 (저온에서의 높은 스티프니스), 과다한 기온격차 (일교차 등) 및 다짐불량 (저온 다짐) 등
접속부(Joint) 균열
마모 (Polishing) : Soft 골재사용, Heavy Traffic
라벨링 : 아스팔트의 급속한 노화, 골재 분리, 다짐 불량, 골재불량(토분과다 함유)
격자(Block) 균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