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적

[스크랩] 벽돌공사

김프로님 2007. 5. 23. 15:10

[시멘트 벽돌 공사]

1. 너비 1.8m X 높이 1.2m 로 하며 몰탈과 부속재, 신축줄눈, 개구부, 방수, 습기제거제를 포함한다.
2. 견본시공 부위는 감리자의 승인을 득할 경우 시공물의 일부분으로 할 수 있다.

 

 운송, 보관 및 취급

운반 및 취급시에 부분적인 파손등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벽돌의 저장은 형상, 품질, 용도별로 구분하여 쌓아두어야 하며 1.6m 이하가 되도록 한다.
강우, 강설 또는 지표수에 젖지 않고 오물 또는 흙이나 기타 재료와 혼합되지 않도록 저장한다.
일정장소에 자재를 보관할 때는 자중에 따른 이상응력이나 소성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현장 작업조건
진행중인 공사 또는 완성된 공사에 지장을 주는 강우▪강설이 예상이 확인될 경우 시공해서는 안된다.

일 최저기온이 4℃미만일 때와 평균기온이 37℃이상이고 상대습도가 50%이하로 예상될 경우 한냉기와 혹서기로서 작업중지를 해야하며 필요할 경우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감리자의 승인 후에 공사를 진행한다.

 

[자  재]

 

콘크리트 벽돌

시멘트벽돌의 종류는
A형 무공 210X100X60    허용차는 +3
B형 무공 190X90X57              -2
C형 유공 190X90X90


KS F 4004 에 규정한것으로 하며 규격 및 형상,색상등은 설계도면에 따르며 압축강도는 82㎏f/㎠ 이상이어야 한다.

몰 탈
09240 시멘트 몰탈공사 해당절에 따른다.
2.1.3 매입 앵커볼트 및 기타볼트
KS B 1002,1004 규정에 합격한 것으로서 전기아연도금 된 것을 사용한다.

긴결철선
#8(4.2㎜)의 구운 철선을 사용한다.
 신축줄눈용 실링재

 

 배합
쌓기용 몰탈은 시멘트와 모래의 배합비를 1:3(용적비)로 한다.

 

시험
1. 콘크리트 벽돌 시험은 KS F 4004 의 시험규정에 따르며, 시험빈도는 10,000매마다 실시하여야 한다.
2. 시료에 대한 검사의 판정은 1개의 시료라도 불합격이라면 그 시료가 대표하는 무더기 전부를 불합격으로 한다.


자재검수
1. 현장반입시 자재업자명, 제품명, 제작년월일, 유효기간에 대하여 감리자의 입회검수를 받고 현장에 반입 하여야한다
2. 제품자료에 의한 비교, 확인하며 외관에 대한 육안검사시 이상이없어야 한다

 

[시   공]

 

작업준비

 쌓기준비


1. 세로기준틀은 뒤틀리지 아니한 건조한 직선재를 대패질하여 사용하거나 구조체가 라멘조의 경우에는 구조체에 창문 높이나 벽돌켜수 등 기타사항을 정확히 표시하고,기준틀의 위치는 각 모서리 및 돌출부위마다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쌓아야 할 바탕 부분은 깨끗이 청소한 후 공작도와 일치한 정확한 먹매김을하고 고르지 못한면은 수평지게 몰탈을 바른후 그 몰탈이 굳은 다음 쌓기 시작한다.

 

 시 공

 쌓기 일반


1. 벽돌에 부착된 오물을 제거하고 충분히 물 축이기를 하여 쌓는다.
2. 몰탈은 건 비빔으로 하여 사용시에 물을 가하여 사용하되 굳기 시작한것은 사용하지 않는다.
3. 쌓기방법은 영식 쌓기로 하며 줄눈폭은 가로,세로 모두 10mm 로하되 세로줄 눈은 막힌 줄눈으로 한다.
4. 세로 및 가로줄눈은 몰탈로 충진하여 공극이 없어야 한다.
5. 하루 쌓기 높이는 1.2m를 표준으로 하며 최고 1.5m 이내로 한다.
6. 벽돌이 교차되는 부분은 물려쌓기나 #8철선을 사용하여 벽돌 3단마다 연결시켜 쌓는다.
7. 신축줄눈, 배관 및 배선이 있는 부분은 #8철선을 사용하여 3단마다 연결시켜 쌓고 배관 및 배선등으로 공극이 생긴부위는 몰탈로 벽돌면과 같은 두께로 매끈하게 충진한다.
8. 연속되는 벽면의 일부를 트이게 하여 나중쌓기로 할 때에는 그 부분을 층단 떼어쌓기로 한다.
9. 직각으로 오는 벽체의 한편을 나중 쌓을 때에는 층단 떼어쌓기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부득이 할때는 감리자의 승인을 받아 층단으로 켜걸음 들여쌓기로 하거나 이음 보강철물을 사용한다.
10. 구조체에 접한 부위는 앵커철물을 세로벽돌 6켜마다 본절의 2.1.3 에서 승인된 앵커등으로 고정시켜야 한다.

 

 다시쌓기


1. 먼저 쌓은 벽돌이 움직일때는 이를 철거하고 청소한 후 새로 쌓는다.
2. 물려 쌓을 때에는 이 부분의 몰탈은 빈틈없이 다져넣고 사춤몰탈도 매 켜마다 충분히 부어 넣는다.

공간쌓기


1. 공간쌓기의 공간 폭은 설계도면에 의하며, 긴결철선을 벽돌의 세로 7켜 가로 900mm마다 연결한다.
2. 다른경우 중 바깥쌓기가 치장쌓기거나 공간사이에 단열재를 넣고 쌓을 때는 너비는 600㎜ 높이는 450㎜ 간격으로 서로 엇갈리게 배치하여 긴결한다.
3. 쌓기순서는 바깥 켜 쌓기를 먼저하고 최소 3일이상 경화후 단열재 설치와 안켜 쌓기를 한다.

방수층보호 누름벽돌 쌓기


방수층보호 누름벽돌 쌓기에 있어서는 먼저 시공한 방수층을 손상하지 아니하도록 주의하여 쌓아야 하며 벽돌과 방수층과의 사이에는 몰탈을 빈틈없이 채워 넣는다.

 인방보
1. 시멘트 벽돌면에 위치하는 개구부폭 900mm이상의 개구부의 인방보는 기성콘크리트 인방보의 설치로 하며 형상,치수,품질 및 배근 등은 설계도면 또는 감리자의 지시에 따른다.
2. 인방보는 좌우가 벽에 200mm이상 겹쳐져야 한다.
3. 공간 쌓기층이 있을 때는 몰탈등이 떨어지지 않도록 벽돌 또는 철판

신축줄눈의 설치장소


다음장소에는 반드시 너비 10mm의 신축줄눈을 설치하여야 한다.
1. 벽돌벽 자체만의 길이가 12m를 넘는 곳
2. 벽면상의 벽높이가 달라 지는 곳
3. 동일선상에서 벽 두께가 달라지는 곳
4. 내력벽과 비내력벽의 접합부위


 

[시험]

1. 줄눈의 일직선, 너비 검사
2. 매입철물의 녹막이 칠검사, 나무벽돌 설치 검사
3. 1일 쌓기 높이 검사
4. 허용오차 검사
5. 개구부의 크기와 위치에 대한 검사
6. 창호 고정철물과의 관계 검사
7. 줄눈,치장,충진몰탈 상태 검사

[시공 허용 오차]


1. 단위재와 인접한 단위재의 최대허용오차는 1.5 mm 이다
2. 연속되는벽의 최대 허용오차는 6mm/3m, 13mm/6m 이다.
3. 배부름의 최대허용오차는 6mm/1층, 13mm /2층 이다
4. 교차벽의 최대허용오차는 6mm 이다

 

 

 

한국산업규격(KS)
1. KS B 1002 -1986 6각 볼트
2. KS B 1004 -1990 4각 볼트
3. KS F 4004 -1997 콘크리트 벽돌

 

출처: 심폴

출처 : 올지기
글쓴이 : 올지기 원글보기
메모 :

'조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재료-아이소핑크  (0) 2007.08.08
[스크랩] 결로의 원인과대책  (0) 2007.08.08
[스크랩] 조적공사  (0) 2007.05.23
[스크랩] 점토  (0) 2007.04.19
[스크랩] 벽돌 특성 및 시방  (0) 2007.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