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재료

구조 죠인트이야기(3)

김프로님 2007. 8. 1. 17:57

구조이야기 스물 넷,  구조 죠인트 이야기(3)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은 액상화 상태의 콘크리트를 부어 넣어 콘크리트가 굳게 되어 만들어  지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수축에 의한 균열의 소지는 항상 있게 마련이다.
따라서 구조적으로 문제가 없는 곳에서는 이 성질을 이용하면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균열이 우려되는 곳에 의도적으로 단면을 약하게 하여 수축에 의한 균열을 미리 준비 한 곳에 일어나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것을
control joint (이후부터 CJ라 함)라 한다.
이것의 구조적 용도는 건조 수축이나 온도 변화에 의해 발생되는 인장응력을 완화되거나 감소하는 역할을 한다.

CJ를 설치하기 위해서 필요한 규칙이 몇 가지가 있다.
1) 보통 연속적으로 부재의 길이가 긴 slab on grade나 옹벽에 많이 설치 함
2) 간격은 4.5m-7.5m가 적절함
3) 죠인트의 홈 깊이는 슬래브나 옹벽 두께의 1/4-1/5가 적절함
4) 죠인트의 폭은 3mm-4mm가 적절함
5) 구조 안전상 죠인트로 인한 부재의 분리를 막기 위해 적당한 연결 철근(tie bar)을 넣으며  상황에 따라 부분적이거나 완전하게 철근을 절단시킨다.
6) 옹벽의
CJ의 설치 간격은 보통 6.0-7.5m가 적당하나 옹벽의 높이가 3m이하 일 때는 옹벽의 높이와 비슷하게 3m의 간격으로 설치 해 주는 것이 좋으며 ,옹벽의 높이가 3m이상에서 6m이하 일 경우에는 6m이하 정도로 해 주는 것이 좋을 것이다.
옹벽의 크기가 그 이상이 될 경우에는 옹벽의 높이와 비슷하게
CJ를 두는 것이 좋으며 어떠한 경우라도 10m가 넘지 않는 것이 좋을 것이다.
또한 30m 정도마다 expan sion joint를 두어 구조물을 완전히 분리시키는 것이 좋다.
7) slab on grade에서는 일반적인 스팬인 경우에서는 기둥 간격마다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장스팬일 경우는 7.5m내외로 조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slab on grade에서는  
control joint와 병행하여 하루의 콘크리트 타설량에 따라 construction joint를 설치하는 것이 좋으며 ,그 상세 디테일은 일반적인 슬래브와 달리 땅에 접하고 구조상으로도 하중을 땅에 직접 전달하는 구조체이고 철근배근 상태도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신축에 의한 최소 철근만 배근 하므로 특별한 디테일이 필요하다.(후에 slab on grade 이야기에서 상세하게 설명 할 예정임)

 

 

'건축재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옹벽이야기  (0) 2007.08.01
지진이야기(3)  (0) 2007.08.01
접합이야기(1)  (0) 2007.08.01
강재이야기(2)  (0) 2007.08.01
단위이야기  (0) 2007.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