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재료

[스크랩] 동결선

김프로님 2007. 8. 8. 18:51

 
 
동결선이란   동절기 땅이 어는 깊이를 지칭한다.
기초가 동결선에 준하여   시공되지 않으면  
겨울에 기초 지반에 스며든  수분이 얼어 건물을 들어올린다
어떤 시공자는  그 무거운 건물이   왜 뜨냐 의아하게 생각하는데 
 냉장고의 맥주병이 얼어 터지듯 토양속의 수분은 동결과 함께 팽창하며  건물을 들어올리는 충분한 힘을 갖게 된다.
 
다소 성격이 다른 이야기 이지만
지하 10여층을 파고 든  고층건물의 경우 지하 집수정의 배수 펌프가 고장나면
비상사태에 돌입하는데  
기초주변의 토양에 모인 지하수의 부력으로  건물이 뜨거나 도는 일이 발생하고 심한경우 기울고 전도되는  최악의 사태도 발생할수 있기   때문이다.
 
동절기의 Frost heaving이 문제가 되는 이유는  
 기초부의 토양이 균일하게  부침하는 것이아니라
외곽부는  얼어 상승하되 상대적으로 따듯한 기초 중앙부분은 상승폭이 적다는 것이다.
이처럼 부동침하가   해빙기와 동절기를 거처 반복하다보면 기초부는 금이가게 되고
 나아가 건물전체로  균열이  진행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통상  대구 등지의 남쪽지방은  55~60cm 까지를 동결선으로 하고
강원산간 및 이북지역은  90~100까지 인정하는데
 
중부 일원과 서울 경기,지역의 경우 통상   평균치인 700~800 까지를 동결선으로 한다.
 
간혹   균열등과 별 연관이 없는  창고 건물류를 짓는 경우에는
땅을 파지않고 기초를 타설하곤 하는데
주거용 건물을  이렇게 짓는 다면  주택수명을 장담하기 어렵다.  
 
 
사진의 이곳 현장은 경기도 남양주 지역이고  지면으로 부터 800을 버림콘크리트선으로 하였다. 
 

출처 : 서라건원 (徐羅建院)
글쓴이 : 羅星 원글보기
메모 :

'건축재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원목 사이계산법  (0) 2007.08.08
[스크랩] 설계도를 알아야 집이 보인다!  (0) 2007.08.08
[스크랩] 철골-stud bolt  (0) 2007.08.08
건강한 건물을 지으려면  (0) 2007.08.01
단면 가정 이야기(3)  (0) 2007.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