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가옥

[스크랩] 전통건축 - 1

김프로님 2007. 10. 9. 12:50

구조적 특징
 구조적 특징은 목조 가구식 구조를 들 수 있다. 우리나라의 건축물들은 자연 환경상 풍부한 목재를 기본적 구조체로 한 목조 가구식 구조를 기본 형식으로 하였으며, 육중한 지붕의 하중을 기둥에 안정적으로 전달 분배하고, 외부로 돌출된 처마를 지지하는 공포(주심포식, 다포식, 익공식)구조를 도입하였다.

목조 가구식 구조의 개념

가구라고 하는 것은 기둥 위나 공포 위에 얹혀 내부공간을 형성한 여러 부재를 총칭하여 부르는 것으로 가구재에는 보와 도리, 대공이 기본 부재가 된다. 우리나라 건축에서는 가구 내용을 외관상 두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하나는 가구재를 의장재로 취급하여 아름다움의 효과를 얻으려 한 것과 또 하나는 천정을 설치하여 가구재를 은폐시켜 단순히 가구재로만 취급한 경우이다. 전자는 대들보로부터 종도리에 이르기까지 각기 부재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고 후자는 구조재로서의 기능에만 충실하려 노력한 흔적이 보인다.

※ 가구식 구조 : 가늘고 긴 부재(部材)를 짜맞추어 지은 구조.

가구의 종류(자세한 내용은 세부구조에서 다루었습니다.)
 
가구법으로는 삼량, 평사량, 오량, 칠량, 구량이 있으며 보의 종류로는 대들보, 퇴보, 중보, 종보, 맞보, 충량, 우미량, 귓보, 항아리보, 구형보 등이 있으며 도리의 종류로는 납도리, 굴도리, 주심도리, 내목도리, 외목도리, 중도리, 종도리 등이 있으며 장혀의 종류로는 통장혀, 단장혀, 뜬장혀 등이 있고 대공의 종류로는 동자대공, 판대공, 파련대공, 포대공, 화반대공, 인자대공 등이 있다.

공포의 사용(자세한 내용은 세부구조에서 다루었습니다.)
 우리나라의 전통 건축물은  육중한 지붕 하중을 기둥에 합리적으로 전달,분배하기 위하여 공포를 사용하였다.

공포의 원리 : 공포를 만드는 것은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바깥쪽으로 길게 뻗어 나온 처마의 하중을 받들게 한 것이다.

            
         [공포의 원리]                                            [공포의 사용 예,다포식]

공포의 종류 : 중국의 영향으로 주심포식과 다포식을 사용하였으며, 조선시대에는 익공식을 독자적으로 개발하여 함께 사용하였다.


[주심포식]


[다포식]


[초익공식]


[이익공식]

조형 의장적 특징
⊙ 조형 의장적 특징은 풍수지리설의 영향으로 자연미를 그대로 살린 '자연과의 조화'와, 친근감을 유발할 수 있는 '인간적 척도'를 들 수 있다.

자연과의 조화
우리 전통 건축은 건축계획적인 측면에서 인위적인 기교를 절제하고 자연미를 그대로 살리도록 건축하였다. 자연 지세와 환경을 잘 분석, 활용하여 인간 생활의복리를 잘 도모하였다.풍수 지리설의 영향을 받아 건축하였음에도 과학적으로 보면 자연의 이치에 순응하는 건축을 하였다.

            

           

※ 풍수지리설(風水地理說) : 산세(山勢) 지세(地勢) 수세(水勢) 등을 판단하여 이것을 인간의 길흉화복(吉凶禍福)에 연결시키는 설.

인간적 척도
 
대부분의 건축물이 지나치게 장대하거나 위화감을 주지 않은 규모로 축조하여 미관이 아담하고 순박하여, 인간적인 친화감을 준다. 우리나라의 전통가옥은 자연을 거스르지 않고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삶에 중심을 둔 주거 공간이다. 따라서 집의 구조에서부터 만드는 재료에 이르기까지 자연을 느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공간적 특징

 옛날에는 마을공동체 단위의 생활을 했기 때문에 방은 개인을 위한 공간으로, 대청은 모두를 위한 열린공간으로 마당은 마당대로 큰일을 치루는 공간으로 쓰였다. 따라서 우리의 전통가옥은 '개방적인 공간구조'를 지닌다. 우리나라의 공간적 특성으로는 '비대칭성','위계성','연속성'을 들 수 있다.

비대칭성        
우리나라는 평지 보다는 경사지형이 많은 관계로 자연 지형에 따라 주요 건물과 부속 건물을 비대칭적으로 배치함으로써 다양한 외부 공간을 연출하였다.

   
           [합천 해인사의 배치]                                       [덕수궁의 배치]                

     
[화엄사 가람 배치]
대칭으로 배치되는 가람은 대체로 대웅전을 중심으로
좌우로 배치되는데  본 가람은 산지 형태에 따른 자연스런 가람배치이다.

 


연속성      
주공간과 부공간들을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시켜, 주변환경과 융합시키는 문, 루, 처마, 마루 등의 매개공간이 발달했다. 방과 마루, 기단, 마당은 하나의 연속된 공간으로 이어진다. 방과 마루, 마당은 혼례나 잔치, 각종 가사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합천 해인사 배치도]                                        [주택의 배치도]

 


위계성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들은 각각의 기능과 용도에 의해서 위계성을 지니며, 회랑, 담장 등의 건축물이나 지붕의크기, 지형의 고저차 등을 이용하여 위계를 표현했다.


[지형의 고저차에 의한 위계성]

[안공간과 밖공간에 의한 위계성]

출처 : 전통건축과 단청
글쓴이 : 숲을이루리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