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스크랩] 시공공정--외벽마감

김프로님 2007. 11. 30. 19:05


비늘판(siding)


건축업자들과 건축주들은 외주벽을 마감할 때,목질 판상 재료나 벽돌 화장붙임,금속 또는플라스틱제 판 등 다양한 선택을 할 수 있다. 다양한 형태의 비늘판(siding)이 있으며, 재면 상태 그대로 또는 착색하거나 페인트로 마감할 수 있다. 목재 싱글,합판 및 섬유판은 목재 및 목질 비늘판(siding)재의 또 다른 형태이다. 수년 동안 재도장의 필요성이 없도록 바탕재료 위나 바탕재료 자체(비닐 등)에 도포하거나 필름을 사용한다. 비늘판(siding)을 설치할 때 아연도금.스테인리스 스틸,알루미늄 못이 사용된다.

목재 비늘판(siding)

    1) 목재 비늘판(siding)의 요구성능은 도장성이 양호하고 작업이 쉬우며,틀어짐이 없는 재질을 갖춰야 한다는 것이다.
    2) 전나무,이스턴 화이트 파인(eastern white pine),슈가 파인(sugar pine),삼나무(cedar), 레드우드(redwood)는 매우 우수한 재질을 갖고 있으며,헴록(hemlock),폰테로사 파인,예로우 파인(yellow pine) 및 가문비나무(spruce)는 우수한 재질을,미송,웨스턴 라치,남부 소나무는 보통의 재질을 지닌다.
    3) 페인트칠이되는 옥외 비늘판(siding)은 등급이 높고 옹이,수지낭 및 둥근모가 없어야 한다. 웨스턴 레드 시다(western red cedar)와 레드우드(redwood)와 같은 수종의 정목판과 혼합 목리판(일부는 정목판이며 다른 일부는 판목판)이 사용된다.
    4) 목재판은 함수율 변화에 의하여 수축.팽창하므로 판목판보다는 정목판을 주로 쓴다. 비늘판(siding)이 페인트칠될 때, 정목판의 경우 페인트 수명이 길게 된다.
    5) 목재 비늘판(siding)의 함수율은 보통 10~12% 정도이며 건조한 지역에서는 8~9%정도이다.


 

  • 목재 가로 비늘판(siding)

    1) 베벨 사이딩(bevel siding): 경사진 널이라는 의미 그대로 베벨 사이딩의 마무리 폭은 공칭치수보다 보통1.3cm정도 작다. 이 사이딩의 한면은 평삭면이고 다른 면은 제재된 거친 면을 가지고 있다. 착색할 경우, 거친 제재면에 착색하는데 이는 도료가 거친면에 보다 많이 침입하여 색이 오래 유지되기 때문이다
    2) 반턱경사 비늘판(siding) : 제혀쪽매 또는 반턱에지를 가지는 이 비늘판(siding)은 2.5cmx15.2cm와2.5cmx20.3cm크기의 것이 있다. 창고나 차고와 같은 건물에 덮개재료 없이 사용된다.
    3) 섬유판랩 비늘판(siding): 이 비늘판(siding)은 도장전처리된 상태로 사용되며, 다양한 폭으로 설치할 수 있다, 간격,못박기,도장 등은 제조자의 설치방법에 따라 설치된다.
    4) 합판 및 플레이크 보드:합판 및 플레이크 보드가 두께 1.3~1.6cm,폭 15.2cm,20.3cm,30.5cm의 수평 랩 비늘판(siding)으로 사용될 수 있다

 

 

  • 베벨 사이딩 설치

    1) 비늘판(siding)간의 겹친 부분은 2.5cm이상으로 한다.
    2) 평균 노출거리는 창문 토대의 하부로부터 창문 상부의 비흘림까지의 거리에 의하여 결정된다.
    3) 내후성 및 외관을 위해 창 위의 비늘판(siding)의 첫 열의 두꺼운 후면은 창문 비흘림의 꼭대기와 일치하여야 한다.
    4) 비늘판(siding)재료의 하단과 창문 토대의 하단을 일치시키는 것도 권장할 만하다. 하지만 이는 창문 높이와 형태가 다양하므로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니다.
    5) 창문의 상단과 하단을 비늘판(siding)과 거의 일치하도록 비늘판(siding)의 폭을 결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a) 창틀의 총 높이를 비늘판(siding)의 대략적인 권장 노출거리로 나눈다.<15.2cm(6")비늘판(siding)은 10.2cm(4"), 20.3cm(8")은 15.2cm(6"), 30.5cm(12")비늘판(siding)은 25.4cm(10")>
    b) 이 값은 창문의 위와 아래 사이에 설치되는 비늘판(siding)의 배열수를 나타낸다.
    c) 비흘림 최상부에서 토대 밑면까지의 창문 총 높이가 1.55m(61")이고, 30.5cm(12")비늘판(siding)을 사용한다고 하면 배열수는 61/10=6.1로 배열수가 6개보다 약간 많게 된다.
    d) 정확한 노출거리를 산정하기 위하여 61을 6으로 나누면 10과 1/6 인치가 된다.
    e) 그 다음 창문 토대 하붕에서 기초벽 상부 바로 아래까지의 노출 거리를 결정한다.
    f) 만일 이 길이가 31"라면 10-1/3"의 열이 3개가 사용되며, 창문 위와 아래의노출거리는 거의 비슷하게 된다.
    g) 이 방법을 사용하였을 때, 두 부분의 노출거리 차이가 커서 외관이 보기좋지 않다면 벽 총 높이에 대해 같은 노출거리를 사용해야 하며, 창문 토대의 비늘판(siding)에는 파냄을 한다. 이때 수분의 침투를 막기 위하여 꼭 맞게 파낸다.
    h) 설치는 밑의 열부터 시작한다.비늘판(siding)의 상부 두께와 같은 띠장을 댄다.
    i) 비늘판(siding)은 각 샛기둥(stud)에 최소 38mm 깊이로 못을 박아 설치된다.
    j) 비늘판(siding)의 틈새는 3.2mm로 한다. 이 틈새는 할렬을 발생치 않고 수분의 변화에 의한 비늘판(siding)의 미세한 움직임을 허용하는 치수이다. 이 허용치는 20.3cm(8"),30.5cm(12")까지의 넓은 비늘판(siding)재에 특히 중요하다.
    k) 가능한 한 맞댐작업을 하지 않은 것이 좋다. 비늘판(siding)의 긴 부분은 창문 아래 등에 사용된다. 맞댐접합을 할 경우, 샛기둥(stud) 위에서 접합이 되도록 하고 가능한 한 배치열 사이에서 서로 엇갈리게 되도록 하여야 한다.
    l) 비늘판(siding)은 창틀,문틀 및 맞댐접합부에서 우수한 접합이 되도록 사각형으로 절단되어야 한다. 열린 접합부는 수분의 침투를 허용하며 페인트칠의 열화를 일으킨다. 비늘판(siding)을 못으로 설치하기 전에 절단된 횡단면에 발수성 보존제를 칠하거나 침지시키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 모서리부의 처리

    1) 가로 비늘판(siding) 각 열의 연귀맞춤부에는 알루미늄제 모서리판을 댈 수 있는데,틈이 생기지 않도록 설치되어야 하며, 덮개나 샛기둥(stud)에 못질한다.
    2) 이 외에도 일반 판재로 모서리부를 처리할 수 있다.(corner board)
    3) 비늘판(siding)이 지붕면과 만날 때는 지붕창에서와 마찬가지로 약 50mm 의 틈새를 두어야 한다. 비가 온 후, 수분이 스며들어 칠이 벗겨지는 것을 막기 위해 싱글에 비늘판(siding)이 꼭 맞도록 설치되어야 한다.지붕선에 설치되는 비늘판(siding)의 황단면에는 발수성 보존재가 사용되어야 한다.
    4) 내부 모서리 부분에는 비늘판(siding)의 두께에 따라 공칭치수 32mm 또는 35mm인 사각형 모서리 판재에 맞댐접합된다.

 

  • 목재 세로 비늘판(siding)

    1) 건축미적 표현을 위한 형태로서 세로 비늘판(siding)을 사용한다.
    2)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배열되는 부재를 사용한다.
    3) 이는 샛기둥(stud) 사이에 2x4 가로 버팀목을 대고 세로 비늘판(siding)을  못질한다.

 

 


비늘판(siding)용 판상재료

    1) 다양한 수종의 합판과 종이 오버레이 합판 및 섬유판이 비늘판(siding)용 판상재료로 사용되는데 설치전에 반드시 증기지연재(tyvek 등의 증기침투 방지재)로 단열벽의 바깥쪽을 보호해야 한다.
    2) 합판 또는 종이 오버레이 합판은 덮개없이 사용된다.
    3) 외장용 파티클 보드 및 웨이퍼 보드도 비늘판(siding)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4) 크기는 1.2mx2.4m(4'x8')이며 더 큰 것도 있다.
    5) 이 합판은 표면에 골을 내거나 연마된 상태 또는 거친 재면 상태로 사용되어 각종 착색제로 도색된다.
    6) 반턱이나 맞춤접합이 사용되지 않으면 일정 형태의 방수접합이 반드시 사용되어야 한다. 이 방수접합은 각 접합부에 기밀편을 사용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다른 방법으로는 접합부를 따라 Z형 비흘림을 설치하는 방법이 있다.(비흘림 참조)
    7) 발수성 보존재로 측면을 처리하는 것은 수분흡수를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8) 합판을 사용할 때 가로 및 세로 방향에 최소 1.6mm정도의 간격이 허용되어야 한다.
    9) 종이 오버레이 합판은 페인트칠에 대해 아주 우수한 바탕이 된다. 중밀도 오버레이 합판이 보통 사용된다.
    10) 섬유판은 합판과 같은 형태로 사용된다. 설치에 관한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야 한다.

     

     

    1) 지붕 마감재로 사용되는 목재 싱글 및 너와는 다양한 형태의 주택용 비늘판(siding)재로 사용될 수 있다.
    2) 등급 및 수종: 보통 웨스턴 레드 시다(western red cedar),노던 화이트 시다(northern white cedar),볼드 사이프레스(bold cypress:삼나무의 일종),레드우드(redwood)가 싱글용으로 사용되는데, 이 수종들의 심재는 본래 부후저항성이 강하며 페인트칠이나 착색이 안된 경우,이러한 성질은 더욱 뚜렷하다.
    3) 웨스턴 레드 시다에는 3가지 등급이 있다.

      a) 1등급은 모두 심재로 구성되며 정목판이고 옹이가 없다. 이 싱글은 원래 지붕용이나, 재면의 많은 부분이 노출되는 이중 코스 측벽에도 사용된다.
      b) 2등급은 싱글 길이의 3/4정도는 결점이 없어야 한다. 이 등급은 2.5cm폭의 변재와 정목과 판목이 혼합된 것이 허용된다. 주로 측벽의 단일 코스에 사용된다.
      c) 3등급은 끝에서 15.2cm까지는 결점이 없어야 한다. 판목과 보다 넓은 변재폭이 허용된다. 이 등급은 1,2등급보다 어느 정도 얇다. 이들은 부속건물 등에 사용되면 때로는 이중 코스의 바탕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4) 목재 싱글에는 3가지 표준 길이가 있다. -40.6cm,45.7cm,61.0cm-이 싱글은 20코스가 1 묶음으로 4묶음으로 벽이나 지붕의 9.3㎡의 면적을 덮을 수 있다.
    5) 너와는 여러 형태가 있으며 가장 보편적인 형태는 쪼개져서 제재된 것이다.제재된 면은 뒷판으로 이용된다. 후면 두께는 1.9cm에서 3.8cm까지 다양하다
    1.86㎡의 묶음으로 포장되므로 5개의 번들(bundle:묶음)은 1스퀘어(약 9㎡)를 덮는다.
    6) 목재 싱글 및 너와는 목재나 합판덮개위에 단열 또는 복열로 설치된다.
    7) 덮개가 9mm합판인 경우 나사못이 사용되어야 한다.
    8) 비목질 덮개인 경우, 밑판재료로 1x3,1x4 못박기용 띠장이 사용된다.

  •  목재 싱글이나 너와(shake)의 단열 배치법
  • 1) 싱글의 맞댐부분의 1/2 또는 그 이상이 노출되므로 2등급재도 사용 가능하다.
    2) 비오는 날의 팽창에 대비하여 인접 싱글간에 약 3.2mm~6.4mm가량의 틈을 두고 설치한다.

  • 목재 싱글 또는 너와(shake)의 복열 배치법
  • 1) 아랫 열은 벽에 부착되며 윗 열은 아랫 열의 밑둥 아래로 6.4mm에서 12.7mm가량 돌출시킨채 아랫 열에 못치기한다.
    2) 아랫 열의 싱글은 3등급 또는 그 이하의 등급으로도 가능하다.
    3) 윗 열은 반드시 1급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재료

길이(cm)

최대 노출 거리(cm)

 

 

단열배치

복열배치

 

1급

2급

싱글

40.6

19.1

30.5

25.4

45.7

21.6

35.6

27.9

61.0

29.2

40.6

35.6

너와(shake):수작업 및 제재작업한 것

45.7

21.6

35.8

-

61.0

29.2

50.8

-

82.3

38.1

-

-

    4) 싱글과 너와는 후면의 부재나 덮개에 방청못으로 충분히 깊이 못질되어 설치된다.
    5) 단열 배치에서는 3d나 4d의 아연도금못이 사용되고, 복열 배치의 경우에는 못이 노출되는 곳에서는 5d 아연도금된 작은 납작머리못이 사용되며,아랫 열에는 3d,4d의 못이 사용되어야 한다.


 

    비목질 재료 비늘판(siding)

    1) 비닐 및 금속판과 같은 비목질 재료가 많이 개발되어 시장에 출하되고 있다.
    2) 스타코 또는 시멘트 플라스터도 사용된다.
    3) 두 재료의 외관을 증대시킬 목적으로 벽돌 화장붙임을 목재 비늘판(siding)과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출처 : 농목수의 목조건축 이야기
글쓴이 : 농목수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