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온글 입니다.
▒ 조적공사 - (벽돌쌓기)
1.조적공사
조적공사란 - 시멘트+물+벽돌 (시멘트벽돌,붉은벽돌,내화벽돌,블럭등) 로서 내력및 비내력 벽체를 조성 하는
공사로서 건축공사및 실내건축 공사에 많이 쓰이는 공사입니다.
시멘트벽돌 - 시멘트와 모래를 배합하여 일정 크기로 만들며,가장 널리 쓰이는 건축재로서
시공 방법이나 마감상태에 따라 구조용 벽체,또는 치장용으로도 활용 됨.
(size - 표준형 190mm*90mm*57mm , 기존형 210mm*100mm*60mm )
※ 여기서 말하는 치장용이란 시멘트 벽돌,붉은벽돌,내화벽돌,블럭 기타 등등을 이용하여 마감상태로
보여 주는 것을 말합니다..
건설공사 표준 품셈 벽돌 쌓기 기준량 -표준형 기준 ( M2 기준 ) 줄눈 가로,세로 10MM 기준임
▒ 0.5 B 쌓기 - 75 매
▒ 1.0 B 쌓기 - 149 매
▒ 1.5 B 쌓기 - 224 매
▒ 2.0 B 쌓기 - 298 매
▒ 2.5 B 쌓기 - 373 매
▒ 3.0 B 쌓기 - 447 매
상기 물량이 맞는지 역산을 해보시기 바라며,붉은 벽돌 일때 3%, 시멘트 벽돌 일때 5%
의 할증 이 포함된것입니다.( 0.5B 기준 0.2*0.07 = 0.014M2 1M2÷0.014 = 71.4 * 1.05% = 74.97 매)
상기는 표준량의 벽돌 수량으로, 임의 면적과 금액으로 수량을 산출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 수량산출 - 예) 길이 12M ,높이 3.4M 의 벽체 시멘트 벽돌의 수량 산출은 < 0.5B 벽돌 쌓기 >
. 시멘트 벽돌 - 1장당 70원
. 시멘트 - 1포 (40kg) 4,500원
. 모래 - 1M3 은 25,000원
. 기공 1인 - 120,000원
. 조공 1인 - 70,000원
상기 금액을 임의 금액으로 정하여 물량과 금액을 산출 한다면
◈ 0.5B 쌓기 - 1장 쌓기의 벽돌소요량 은 M2당 약 75매소요 ◈ - 건설공사 표준 품셈 참조
.벽돌 - 40.8M2 * 75매 = 3,060 매 * 70원 = 214,200원
.시멘트 127.5 KG * 3.06 = 8.67 포 ( 벽돌 1,000 매당 127.5kg 소요 ) = 9 포 * 4,500 = 40,500원
.모래 = 0.275 ㎥ * 3.06 = 0.84㎥ * 25,000원 = 21,000원
.조적공 = 3,060/1000 * 1.8 인 = 5.5인 * 120,000원 = 660,000원
.보통인부 = 3,060/1000 * 1.0 인 = 3.06인 * 70,000원 = 214,200원
(( 상기와 같이 40.8M2 0.5B 쌓기 자재,노임의 합은 ₩ 1,149,900원이 소요되며,작업 사항이나
현장 여건에 따라 가설재및 경비(공과잡비- %) 비율을 감안하여 준다.))
※.시공임은 기공 1인에 조공 1인 이 배치되며, 기공 1인당 벽돌 쌓기의 매수를
알면, 비교적 쉽게 시공임을 산출 할수가 있으며,기공 1인이 시멘트 벽돌 일반
쌓기를 할때 약 1,000 ∼ 2,000 장의 벽돌 을 쌓는 다고 가정 하면,
3,060 ÷ 1,500 하면 기공품 2.14 품이 산출 되며,현 시가의 금액을 산정 하면
벽돌 쌓기의 기공 노임이 산출 된다.
.조공(보통인부) 의 품은 기공 2.14 × 1.0 = 2.14 인 이 산출되며,
.시멘트+모래의 양도 1,000매당 얼마의 양이 필요한지는 여러분이 기술자의 조언을
얻어 정리 하시면 자재비의 금액 산출도 한층 쉬울것입니다.
< ※ 현장 여건과 벽돌 쌓기 난이도에 따라 벽돌 쌓기 수량에 차이가 납니다. >
-조적공사를 하면서-
벽돌현장 반입시 벽돌을 검수하여 품질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간혹 규격이 3~4mm정도 차이가 생겨 시공 품질저하를 초래할수 있으며, 긴결철물 확인 및 세로줄눈을 발라 쌓는것 (일명 스께도리)를 원칙으로 시공을 하여야 합니다.
'조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단가 비교 (ALC BLOCK와 시멘트 벽돌) (0) | 2009.09.22 |
---|---|
[스크랩] ALC블록 시공기법 사진 (0) | 2009.09.22 |
[스크랩] 파벽돌 관련정보 (0) | 2008.09.02 |
[스크랩] 내벽재료- 비교표(조적마감/석고보드마감/경량칸막이/ALC) (0) | 2008.09.02 |
[스크랩] 단열재 (0) | 2008.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