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건축 용어 Ⅰ
1. 건 물 명-일반
l 살림집 : 가족이 살림 하는 집. 여엄집. 주가. ↔영업집.
l 모임집 : 한 채의 집의 네 귀에 추녀를 달아 용마루까지 올려서 지붕의 4면으로 빗물이 흐르게 된 집. 우진각집.
l 우진각집(隅進閣家) : 모임집.
l 합각집(合閣家) : 처마 끝은 모임 지붕처럼 되고, 지붕마루 부분에 삼각형의 벽을 꾸며 까치박공을 달은 집. 팔작집(八作家).
l 팔작집(八作家) : 한 채의 집의 네 귀에 추녀를 달고, 위는 합각을 낸 집. →합각집. 팔각가.
l 박공집(朴工家) : 건물의 측면 좌우 끝에 박공을 달아 벽면 상부가 삼각형으로 된 집. 맞배집. 뱃집. 뱃집은 배 위에 집을 지을 때 간단히 박공집으로 한 데서 온 말.
l 맞배집 : 박공집.
l 뱃집 : ①박공집. ②배 위에 간단히 지은 집. 대개 지붕 모양을 박공집 형식으로 함.
l 삿갓집 : 지붕을 삿갓 모양으로 꾸민 집. 방형집(方形家). 네모집.
l 사모집 : 평면이 정방형으로 되고, 추녀 마루만이 지붕 중앙에 모이게 된 집.
l 폿집 : 포살미(包山彌)을 짜서 꾸민 집.
l 다포간: 공포의 기둥 위와 기둥과 기둥 사이에도 꾸며 놓은 집. 갖은포집. 조선조 이후의 건축에 많이 쓰이었음.
l 주심포집(柱心包家) : 공포가 기둥 위에만 배치된 집.
l 갖은포집 : 공포 여러 개를 써서 꾸민 집.
l 하앙집(下昂家) : 경사포재(傾斜包材)로 꾸민 폿집.
l 익공집(翼工家) : 기둥 위에 익공쇠서를 놓아 꾸민 집.
l 무익공집(無翼工家) : ①익공이 없고 소로만으로 장식하여 꾸민 집. ②물익공집의 딴말. 물익공집.
l 일익공집(一翼工家) : 기둥 위에 익공쇠서 하나만을 끼우고 중간에는 소로장식을 꾸민 집.
l 이익공집(二翼工家) : 익공쇠서를 사하에 두 개를 써서 꾸민 집.
l 물익공집(勿翼工家) : 익공쇠서의 끝이 두리 뭉실한 초엽무늬를 새겨 만든 것을 쓴 익공집. 무익공집.
l 삼량집(三梁家) : 전후 처마도리와 용마루도리 셋으로 구성된 지붕틀로 꾸민 집. 곧 도리 세 개로 짜인 집. →세마루집.
l 세마루집 : 삼량집.
l 사량집(四梁家) : ①한 간 또는 한 간 반의 간 사이에서 전면은 오량집처럼 도리를 걸고, 후면은 세마루처럼 꾸민 집. ②마루도리를 걸지 아니하고 전후도리를 가깝게 걸고 서까래를 수평으로 걸며 용마루는 적심 또는 알매흙으로 채워 꾸민 집. →평사량집.
l 평사량집(平四梁家) : 마루대 없이 전후중도리에 서까래를 수평으로 걸고 지붕마루는 적심이나 흙을 채워 꾸민 집.
l 오량집(五梁家) : 지붕 전후면에 처마도리와 중도리를 걸고 중앙에 용마루도리를 걸어 지붕틀을 꾸민 집.
l 칠량집(七梁家) : 2간 반 또는 3간 이상이 되는 간 사이에 전후 처마도리와 중도리 및 용마루도리 7개를 걸어서 꾸민 집.
l 엇치량집 : 전면은 칠량, 후면은 오량 형식으로 지붕틀을 짜서 지은집. 지붕틀을 엇치량으로 꾸민 집.
l 엇마루집 : 지붕마루가 집채의 중간에 있지 아니하고, 한쪽으로 치우쳐 있어 전후 지붕면의 길이나 경사르 다르게 꾸민 집. 엇가게에서 온 말.
l 단청집(丹靑家) : 단청으로 도채한 집.
l 백골집(白骨家) : 단청이나 다른 칠을 하지 아니하고 목재면을 그대로 둔 집.
l 소로수장가 : 도리 및 장여 밑에 소로를 받쳐서 장식한 집.
l 굴도리집 : 단면이 원형인 도리로 꾸민 집. ↔납도리집.
l 납도리집 : 사각형 단면의 도리로 꾸민 집. ↔굴도리집.
l 민도리집 : ①소로나 도리 밑 장여를 쓰지 아니하고 네모 도리로 꾸민 집. ②정사각형 단면의 모를 크게 접은 도리로 꾸민 집.
l 상투집 : 기둥머리에 긴 촉을 내어 보를 얹어 촉을 끼우고 그 위에 도리를 걸어 촉이 끼이게 하는 구조로 꾸민 집.
l 도끼집 : 재목을 제재하거나 정밀하게 깎지 아니하고 도끼나 자귀로 대강 다듬어서 지은 집.
l 막대기 : 전각이나 사당 등에서 공포나 익공을 쓰지 아니하고 지은 집.
l 채 : ①집채. ②건물의 동수를 세는 단위.
l 집채 : 함게 구조된 집. 독립된 건물.
l 주건물 : 주된 기능을 가진 건물. 본채. 몸채.
l 본채 : 한 대지 내에서 가장 중요한 건물. →몸채. ↔부속채.
l 곁채 : 한 집의 몸채의 곁에 따로 세운 집채.
l 본관 : 한 대지 내에 지은 여러 채의 건물 중에서 가장 주되는 건물.
l 별관 : 주되는 건물에 딸린 본채와 떨어져서 지은 부속 건물. 별채.
l 별동 : 따로 지은 집채. 별채.
l 부속건물(部屬建物) : 주된 건물에 부속되는 건물로서 따로 지은 집채. 한 대지 내에 위치해야 하거나 주건물의 운영에 필요한 적절한 규모의 건축물.
l 고상식(高床式) : 일 층 바닥을 지면에서 떨어져 높이 꾸민 집의 형식. 누마루식.
l 저상식(低床式) : 일 층 바닥을 지면에 붙여서 낮게 꾸민 집의 형식.
l 각(閣) : ①석축이나 단상에 높게 세운 집. ②명사 밑에 붙어서 격식이 높은 집이란 뜻을 나타내는 말. 전각(殿閣)
l 당(堂) : ①주거(住居)•방(房)•대청(大廳). →내당(內堂). ②관아(官衙)•사원(寺院) 등의 큰 집.
l 당우(堂宇) : 큰 집과 작은 집. 정당(正堂)과 옥우(屋宇).
l 당집 : 서낭당. 국사당(國師堂)과 같은 토속신을 모신 집. 무당이 경을 읽거나 제사도 지냄. 당옥.
l 정당(正堂) : 한 구획 내에 지은 여러 채의 집 중에서 가장 주되는 집채. 정전(正殿).
l 정전(正殿) : ①궁궐에서 조회를 행하던 전각(殿閣). ②한 구획 내에 지은 여러 채의 집 중에서 가장 주되는 집채.
l 본전(本殿) : 한 구획 내에 지은 채의 집 중에서 가장 주되는 집채.
l 정침(正寢) : ①집 안에서 가장 주가 되고 중심이 되는 집 또는 방. ②제사를 지내는 몸채의 방.
l 전각(殿閣) : ①임금이 거처하는 궁전(宮殿). ②궁전과 누각(樓閣).
l 왕궁 : 임금이 있는 곳. 궁궐(宮闕). 궁전(宮殿).
l 궁궐(宮闕) : 임금이 계시는 곳. 대궐(大闕).
l 궁전(宮殿) : →궁궐.
l 궁실(宮室) : 궁전의 방.
l 침전(寢殿) : ①임금의 침방이 있는 집. ②정자각(丁字閣).
l 별궁(別宮) : 궁궐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따로 지은 궁실. 이궁(離宮). 행궁(行宮).
l 행궁(行宮) : 별궁.
l 이궁(離宮) : 임금의 출유(出遊)시에 머무르기 위하여 대 궐이회의 지역에 지은 궁전. →별궁.
l 범궁(梵宮) : 절을 높인 말. 사찰(寺刹). 선궁(禪宮). 초제(招提).
l 공해(公廨) : 관청 소유의 건물의 총칭. 공청(公廳).
l 관아(官衙) : 관공서, 관청(官廳), 공해(公廨).
l 감영(監營) : 감사가 집무하는 관아. 순영(巡營).
l 동헌(東軒) : 지방의 고을원이나 감사(監司)•병사(兵使)•수사(水使) 그외 수령(守令)들이 공사를 처리하던 집. 동현마루.
l 관사(官舍) : 관리가 사는 집.
l 강무관(講武館) : ①무술을 강습하던 집. ②장수•군사와 장정들을 모아 임금의 주장(主掌)으로 사냥 또는 무술을 닦고 가르치는 집. 강무당(講武堂)
l 비각(碑閣) : 비석을 보호하기 위하여 그 위에 세운 건물. 보호각(保護閣)
l 묘정비각(廟庭碑閣) : 문묘(文廟)나 사묘(詞廟)의 뜰안에 세운 비각.
l 인경전(人一殿) : 보루각. 옛 밤에 통행금지 시간을 알리기 위하여 치는 큰 종을 설치한 집. 서울 보신각(普信閣). 경주 봉덕사 종 따위.
l 보루각(報漏閣) : 누각(漏刻)에 관한 일을 맡아보는 관아. 경북궁과 창덕궁 안에 있었음. 누국(漏局).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한옥 건축 용어 1 (0) | 2007.02.25 |
---|---|
[스크랩] 한옥 건축용어 2 (0) | 2007.02.25 |
[스크랩] [study]아파트 기본용어 (0) | 2007.02.25 |
[스크랩] 창덕궁(昌德宮) (0) | 2007.02.25 |
[스크랩] 덕수궁(德壽宮) (0) | 2007.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