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건축환경 - 실내건축기사 1차 필기시험대비 요점정리
|
|
6. 건축환경 * 미기후의 발생요소 : 지형, 지표면, 3차원적 물체, 거대식물의 유무. * 낮에는 산아래방향(해풍)으로, 밤에는 산등성이방향(육풍)으로 분다. * 건물의 인동간격의 결정요소 : 태양의 고도, 건물의 방위각, 대지의 경사도, 전면 건물의 높이, 그늘의 길이, 일적위. * 루버의 종류 ㆍ수직루버:동, 서면에 좋다. ㆍ수평루버:남, 북면에 좋다. ㆍ격자루버:수평, 수직의 혼합형. ㆍ가동루버:태양의 위치에 따라 일조량이 변함. * 유효온도 : 기온, 습도, 기류의 조합으로 나타낸 쾌적지표. * 신유효온도 : 유효온도에서 습도가 과대평가된 것을 쾌적의 지표로 습도 50%를 기준으로 한다. * 수정유효온도 : 기온, 습도, 기류, 복사의 네가지요소를 조합하였고, 기온대신 흑구 온도로 대치한다. * 효과온도 : 온도, 기류, 습도를 조합한 것. * 작용온도 : 기온, 복사열, 기류의 총합지표로 습도영향을 제외한 것이다. * 감각온도의 측정기준은 습도100%, 풍속0일때를 기준으로 한다. * 인체온도감각은 온도, 습도, 기류, 복사의 4요소에 따라 정해진다. * 열방사 : 모든 물체가 그 표면의 성질과 온도에 응하여 규칙적으로 에너지를 방사하는 것 * Glove 온도계 : 실내의 복사와 대류에 의한 영향을 측정하는데 이용(흑구온도계) * Kata 온도계 : 매초 1m이하 실내미세기류를 측정하는 풍속측정기구로 냉각을 기준으로 체감온도를 측정한다. * 인체 열손실 비율 : 복사45%, 대류30%, 증발25%, 호흡. * 총 착의량=0.82∑(각 의복 clo) * 불쾌지수란 건구온도, 습구온도, 기류에 의해 정해진다. * 쾌적지표중 분석적 지표 : 열응력지수, 상대응력지표, 4시간 발한예측. * 열쾌적 : 온도 - 건구온도의 최적범위는 약16-28℃ 습도 - 낮을수록 춥게 느껴진다. 기류 - 쾌적기류속도는 0.25-0.5㎧이며, 더운 경우 1㎧가 쾌적대. * 열전도율 : 두께 1m의 균일재에 대하여 양측의 온도차가 1℃일 때 1㎡의 표면적을 통과 하는 열량. 단위는 ㎉/mh℃. 구조체의 내부에서 열이동. 열전도율의 역수는 열전도 비저항이다. * 열전도 열량(Q)=λ×(t1-t2)×A×T/d. (1W=3.6kj) * 열관류 열량(Q)=K×(t1-t2)×A×T K=열관류율=1/(1/α1+d1/λ1+d2/λ2+d3/λ3+1/α2) λ=열전도율, d=두께(m), t1-t2=재료표면의 온도차, A=면적(㎡), T=시간, α=열전달율. * 흡습 : 재료가 공기중의 수증기를 흡수하여 내부에 물이나 수증기량을 증가시키는 것. * 흡착 : 건축재료의 표면에서만 흡수하는 현상이다. * 실내공기온도가 높아질 때 상대습도가 낮아지고, 온도가 낮아질 때 절대습도는 변하지 않고, 건구온도는 낮아진다. * 절대습도 : 단위중량(1㎏)의 건조공기중에 포함되어있는 수증기 혼합물의 비. * 포화절대습도 : 일정한 온도에서 더 이상 포함할 수 없는 수증기량. * 상대습도 : 포화수증기량에 대한 백분율. * 공기선도에 표기된 변수 : 건구온도, 습구온도, 상대습도, 절대습도, 비습도, 현열비, 엔탈피, 노점온도.
* 결로방지법 : 외부와 면하는 구조체는 투습저항이 내부에 면한 방향으로 크게 구성한다.
* 외단열 : 실온변동이 작다. 열교부분의 단열보호 처리가 용이하며, 표면결로가 어렵다. 단열재와 외장재의 경계면이
* 내단열 : 실온변동은 외단열보다 크다. 국부결로가 발생하며 표면결로 방지가 어렵다. * 조도 : 면에 도달하는 광속의 밀도. 단위는 럭스(㏓). 조도E=I/d2 (I=광도, d=거리) * 휘도 : 어떤 물체의 표면 밝기의 정도, 광원이 빛나는 정도. 단위는 stilb.
* 광도 : 발광체의 표면밝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광원에서 발하는 광속이 단위입체각당 1㏐ 일
때의 광도를 * 광속 : 빛에너지가 단위 입체각을 통과하는 비율, 단위는 루멘(㏐)이다. * 도르노선(건강선):290-320㎚, 자외선:380㎚이하, 가시광선(채광):380-780㎚, 적외선(열환경):780㎚이상. * 명순응은 555㎚에서 암순응은 517㎚에서 가장 시감도가 민감하다. * 균시차 = 진태양시-평균태양시. * 균제도(휘도나 조도, 주광률등의 분포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 주광률의 최소치(가장 어두운 주광물)/주광률의 평균치(평균 주광물)
* 조명 설계 순서 : 소요조도결정
→ 광원결정 → 조명방식 및 조명기구 → * 조명설계에서 광속계산 요소 : 소요조도(E), 실의면적(A), 감광보상률(D), 조명률(U) NF(총광속) = E×A×D/U * 벽과 광원사이의 간격(H는 광원과 작업면 사이의 높이) ⇒ 벽면부 사용시 1/3H, 벽면부 미사용시 1/2H * 광원간의 배치간격 : S≤1.5H (S=거리, H=광원의 높이) * 조명기구 효율 : 나트륨등>메탈할로이드등>형광등>수은등>백열등 * 조명기구 연색성 : 백열등>메탈할로이드등>형광등>수은등>나트륨등
* 건축화 조명 : 쾌적환경을 만들 수 있다. 음영이 부드럽다. 현대적 감각. 발광면이 크다. * 정밀기계는 균일한 조도가 있는 작업실에 있어야 하므로 조도가 일정한 북쪽이 좋다. * 주광률 : 채광에 의한 실내의 조도로 전천공조도에 대한 실내 한 지점의 작업면 조도의 백분율. *기류의 속도에 따른 인간의 반응 0.25㎧:느끼지 못함. 0.25-0.5㎧:쾌적감을 준다. 0.5-1㎧:공기의 움직임을 느낌. 1-1.5㎧:냉각효과가 있다. 1.5㎧:불쾌감을 준다. * 실내기류 속도의 기준은 0.5㎧이다. * 실내풍속이 1㎧이하일 때 카타온도계, 실내풍속이 1㎧이상일 때 로빈슨풍속계 사용. * 보통실의 CO2가스 농도허용치는 0.1%이하이다.
* 탄산가스의 함유량이 실내공기오염의 척도로 사용되는 것은 탄소함유량과 산소함유량은 반비례하기 때문이다. * 굴뚝효과 : 실내공기의 정시상태에서 환기를 유발시키는 효과이다. * 연돌효과 : 온도차에의한 자연환기의 일종이다. * 자연환기 - 중력환기: 온도차에 의한 환기 - 풍력환기: 바람에 의한 환기.
* 상향환기법 : 배기구는 천장이나 벽의 상부에 설치, 흡입구는 방의 마루 또는 벽의 저면부에 설치, 난방효율은 좋지만 * 유출구 고정시 유입구를 증가시키면 공기정체현상으로 오히려 기류속도의 감소를 가져와 환기량이 감소한다.
* 트레이서 가스법(환기량 측정법) : 탄산가스 사용. 실내가스 용도의 변동으로부터 환기량 을 추정. * 소리의 높이란 사람의 청각에 의해 느껴지는 소리의 주파수를 말한다. * 음의 파장(λ)=v(음속)/f(주파수) * 주파수의 표준음 63, 125(저음), 500(중음), 1000(청각의표준음), 2000(고음), 4000, 8000㎐ * 소리의 최대가청음은 130㏈, 일반적 표준음은 120㏈ * 음의 합성 보정치 : L1-L2=0일때의 보정치는 3㏈ * dB : 순음의 음압레벨. * phon은 음의 크기로 음의 감각적 크기를 보다 직접적으로 표시하기위해 사용한다. * 음압 : 공기의 진동으로 생기는 단위면적에 작용하는 힘. * 음의 세기 : 음파의 방향에 직각이 되는 단위면적을 통하여 1초간에 전파되는 음에너지량 단위는 W/㎡ * 석면시멘트판이나 석고보드등은 저주파 영역에서의 흡음효과가 크다. * 반향이 생기는 음의 경로는 직접음과 반사음과의 거리 17m이상, 시간차는 0.05초. * 잔향시간만으로는 실내음장을 잘 나타낼수없어 맥스필드는 리브네스를 제안하였다. Es/Ed(Es = 확산음 에너지밀도, Ed=직접음 에너지 밀도) * 마스킹(masking) 효과 : 2가지 음이 동시에 귀에 들어와서 한쪽의 음 때문에 다른쪽의 음이 작게 들리는 현상. * 정재파 현상 : 같은 주파수음의 간섭에 의해서 입사음파가 반사음파와 중첩되어서 음압의 변동이 고정되는 현상. * 실내음향 상태를 표현하는 표준 : 명료도, 잔향시간, 음압분포, 소음레벨. * 공명을 피하기 위해서는 흡음재를 분산,배치한다.
* 청감 보정회로에서 A특성 : * 소음평가방법에서 야간에는 같은 소음레벨이라도 10dB을 가산 보정하여 평가.
* 베라넥(Beranek)이 대화의 청취 방해를 기조로 정상소음의 옥타브밴드분석값에 대하여 소음의 기준값으로
* Leq(일정한 시간내에 에너지 적산값 또는 전소음 폭로레벨을 관측시간 T로 나눈 에너지 평균레벨)는 등가 * 잔향시간 : 음의 에너지가 100만분의 1로 감소될 때 까지의 시간 실내 음에너지가 60dB까지 감소될 때 까지 걸리는 시간. * 잔향시간에 영향을 주는 요소 실내마감재료, 실의 용적에 비례. 흡음력, 실의 표면적에 반비례. 음원의 종류나 위치, 측정위치, 실의 형태나 청중수와 무관. * 세이빈(Sabine)의 잔향식 RT(잔향시간)=0.16×V(실의 용적)/A(실내흡음률) * 음향재료의 흡음률 측정에서 면적효과란 측정시료의 면적을 작게하면 흡음률이 더 커진다는 뜻.
* 다공성 흡음재 : 고주파에 대한 흡음률이 크며 재료의 두께나 공기층의 두께를 증가시키면 저주파수에
대한 * 판상 흡음재는 저주파수용으로 공기층의 두께를 증가시키면 저주파수의 흡음률이 증가된다. * 단상 3선식 : 일반적으로 100V, 200V 겸용하는 것, 건축물의 콘센트 회로. 3상 3선식 : 사무소 건축물의 동력설비, 전동기설비. 3상 4선식 : 변전설비. * 전선관에 삽입되는 전선이 차지하는 단면적 1본:53%이하, 2본:52%이하, 3본:42%이하, 4본:40%이하. * 파이프 샤프트와 변전실은 부하의 중심 가까이에 위치시키며 내화구조로한다.
* 분전반의 설치위치 : 매층 부하의 중심에 설치, 분기회로 및 간선이입의 오르내림에 지장 없는 곳에 설치,
* 전기실 계획 : 누수우려가 없도록한다. 내화구조로 한다. 부식성가스가 없어야한다. 환기, 채광, 조명설비를 한다. * 정온식 감지기 : 국소온도가 일정온도를 넘으면 자동 작동된다. 보일러실, 주방에 적합.
* 복사난방 : 천장고가 높은 건물에 적합한 난방방식, 바닥, 천장, 벽등에 관을 매설하여 온수나 증기를 통하게 하는
* 리프트 이음 : 증기냉각 배관설비다. 1단 높이 1.5m 이내로 환수주관보다 높은 위치에 배관하며 수직
주관보다 * 태양열 시스템의 3대 구성요소 : 집열부, 축열부, 이용부. * 기간부하의 산정방법은 정상상태로 가정할수 없으므로 동적열부하 계산방법을 사용.
* 급수방식중 압력탱크방식 : 높은 압력에 견딜 수 있는 기밀수조의 설치등으로 설치비가 많이 든다. * 고가수조식 : 항상 일정한 압력으로 급수가능. * 유도 사이펀 작용 : 상부에서 일시에 다량의 물이 낙하할 때 순간적으로 진공이 생겨 봉수파괴현상이 생긴다. * 모세관 작용 : 트랩의 출구에 솜이나 천조각, 머리카락등이 걸렸을 경우에 발생. * 배수관에 설치되는 트랩내 봉수깊이는 5-10㎝정도로 한다. * 전 공기방식 : 단일덕트, 이중덕트, 멀티존유닛방식. * 공기+물 방식 : 유인유닛, 각층유닛, 복사냉,난방 방식. * 냉매 방식 : 패키지유닛방식 - 연면적 3000㎡이하 점포, 다방, 레스토랑등에 이용된다. * 전수 방식 : 팬코일유닛방식 - 대형건물의 외부존에 적합, 덕트를 사용하지 않는다. * CAV방식(정풍량 방식) : 부분적 부하변동에 대처하기 어렵다. 설비비, 운전비가 적게들고 보수관리가 용이하다.
* VAV방식(가변풍량 방식) : 덕트내의 댐퍼나 흡출구 또는 송풍기 등에서 바뀌는 풍량이다.
* 단일덕트방식 : 부하변동에 대응하기 곤란하다. 설비비가 싸다. 덕트 스페이스가 비교적크다. 냉풍과 온풍을 동시에
* 이중덕트방식 : 냉풍과 온풍을 동시에 사용한다. 풍량이 크고, 고속덕트 사용이 필수. 덕트 스페이스가 넓어지고
* 멀티존 유닛방식 : 공조기 안에서 냉풍과 온풍을 만들어 각 공간별로 혼합한후 각각의 덕트로 보내는 방식. 중,소 * 유인유닛방식 : 각 방의 창밑에 설치. * 각층유닛방식 : 각 층의 구역마다 공기조화 유닛을 설치하는 방법이다.
* 복사 냉,난방 방식 : 계절의 구별없이 쾌감도 높으나 설치비가 많이 든다. * 저속 덕트용 송풍기 : 다익 송풍기 * 고속 덕트용 송풍기 : 사일런트 팬 또는 익형 송풍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