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인간공학 - 실내건축자격증(기사.산업) 1차 필기시험대비 내용정리
|
|
3. 인간공학 * 인간-기계 시스템 모델 기계본체→표시기(기계)→감각기관(인간)→대뇌의 중추→신경→운동기관(내부환경)→제어기(외부환경)←기계본체 * 인간-기계시스템의 기본적인 기능 : 감지ㆍ감각기능인 정보수용과 정보저장기능, 정보처리 및 의사결정기능, 행동기능 * 실험계획법에서 그 결과처리를 위해서는 추계학에대한 지식이 필요하다.
* 인간공학의 도입시기는 산업혁명 이후, 본격적으로 연구된 시기는 2차세계대전이후 군사 적인 목적에서 항공기나
* 인간공학의 배경학문은 인간생태학, 인체측정학, 안전공학, 산업공학등이다. 인간공학은 종합과학으므로 한 영역의 * 인간공학의 설계순서:요구ㆍ제안확인→내용확인→기존설비의 특성정립→동작환경의 정립 * 인간공학연구방법 중 직접관찰법은 동작시간 연구법, 사진의 관찰에의한 연구방법, 레이아웃에 의한 방법, 조작자의 의견ㆍ면접 또는 제안에 의한 방법.
* Simo Chart(Simultaneous Motion Chart)와 연관있는 인간공학의 방법은 Basic motion time study법
* PTS(예정동작시간표준법:Predetermined Time Standard) : 사람이 하고있는 작업을 검토 하여 기본동작에 필요한 * 반응 조사법은 인간의 관점에서 관찰하는 방법. * 병렬 부품의 신뢰도(R)=1-(1-부품의 신뢰도)n(연결된 수)
* 인체계측에서 구조적 인체치수(정적측정)란 표준자세에서 움직이지 않는 피측정자를 대상으로 측정한다. * 신장(손끝너비)-H, 눈높이-11/12H(91%), 어깨높이-4/5H(80%), 앉은키-5/9H(55%), 손끝높이-3/8H(38%), 어깨너비=하퇴높이-1/4H(25%), 손을 뻗은 높이-7/6H(117%) * 퍼센타일 : 일정한 부위의 신체규격을 가진 사람들과 이보다 작은 사람들의 비율이다. 예)제 95분위수는 그룹의 95%가 그 값보다 작고, 단지 5%가 그 값보다 큰 수치다.
* 최대 집단치 : 대상집단에대한 인체계측변수의 상위백분위수를 기준으로하며 90, 95, 99%치가 사용된다. * 최소 집단치 : 인체계측변수 분포의 1, 5, 10%같은 하위 백분위수를 기준으로한다. 선반의 높이, 조종장치까지의 거리. * 머리둘레 측정 : 눈썹보다 높은 위치에서 세 번 재어 가장 큰값. 발길이 측정 : 체중을 두발에 균등하게 주고 섰을 때의 왼발. * 머리의 전후좌우 중심선의 각도한계 : 전후15°, 좌우60° * 연속동작 : 자동차 핸들링, 페인트칠. 조작동작 : 속도계 조작. 반복동작 : 망치질. 계열동작 : 피아노연주, 타자. * 신체활동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 : 짐나르기>삽질>도끼질>톱질>벽돌쌓기>타이핑.
* 신경섬유의 활동전압에서 자극이 매우 약할때는 가시전압이 나타나지 않지만 자극이 어느정도 이상의 크기가 되면 * 눈의 구조상 난시의 원인은 각막면의 만곡도가 구면이 아니기 때문에 흐리게 보인다. * 색각에 변화를 주는 요소는 조명, 밝기, 조도, 위치, 각도, 거리, 배경, 휘광이다. * 눈의 조절작용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는 diopter(도수)이다. 광학에서 렌즈의 굴절을 재는 단위이며 D=1/m(초점거리)이다. * 맥락막 : 선명한 상을 얻도록 빛의 산란을 막는 암막의 역할을 한다. * 0.1lx이상일 때 명시가, 0.01lx이하일 때 암시가 이루어지며, 0.1-0.01lx에 명시와 암시가 동시에 이루어진다. * 렌즈에 빛이 통과할 때 초점이 렌즈쪽에 가장 가까이 맺는 색은 보라색이다. 파장-짧으면→굴절율-높고, 파장-길면→굴절율-낮다. * 색식별 한계는 위30°, 아래40° * 지각시간이 가장 짧은 것은 청각이다. * 소리의 3요소 : 주파수(진동수), 진폭, 파장(파형) * phon : 음의 크기레벨. 1000Hz의 정현파, A phon=A dB, 1000Hz=40dB. * 40 phon=1 sone * dB(desibel) : 소리의 강도. * cycle/sec : 소리의 상대강도. * sabine : 음향흡수도. * 음의 크기와 높이를 측정하는 표준음=1000Hz * 가청주파수 : 20-20000Hz * 합성음의 보정치는 L1-L2가 10일 때 0.4 * 구씨관 : 중이(中耳)의 강과 구강을 연결하며 고막의 양쪽 압력을 거의 비슷하게 해주는 역할을 하는 기관. * 소리의 크기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 소리의 높이는 진동수에 따라 정해진다. 진동수가 높은 음은 소리가 높고, 진동수가 낮은 음은 소리가 낮다. * 비주기음은 배음관계가 없는 진동수간의 불규칙한 파동으로 이루어진다. * 강당에 설치하는 스피커의 이상적인 위치는 무대보다 높은 위치 10-15°정도. * 소음이 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주파수, 소음의 강약, 소음의 충격도, 개인적 감수성. * 난청의 한계수치=90dB * 장소별 허용 소음 강도 도서관-40dB, 은행,상점,식당-50dB, 사무실-80dB, 녹음스튜디오-25dB * 각도의 착시 : 포겐도르프 착시- 체르너 착시- * 분할의 착시 : ▤ ▥ * 만곡의 착시(헤링의 착시) : * 대소의 착시(뮬러-라이너 착시) : * 게쉬탈트의 4법칙 : 접근성, 유사성, 연속성, 패쇄성.
ㆍ지각 체제화의 원리 : 자료를 그 자체로 받아들이는게 아니라 좋은 형태를 이루는 방향 으로 지각되어
진다는 이론, * 외관의 운동 : 적당한 거리를 둔 장소에서 적당한 정도의 빛을 적당한 시간동안 보내면 이동하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 * 가현운동 : 시감각에서 정지하고 있는 대상물이 어떤 조건하에 마치 운동하고 있는것과 같이 보이는 현상. * 자동운동 : 암실내의 고정된 빛을 응시하고 있으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 * 피부감각 : 통각(100-200개/㎠)>압각(15-30개/㎠)>냉각(6-23개/㎠)>온각(0-3개/㎠) * 삼반규관 : 세 개의 반원형관이 직각으로 배치되어 있는 관으로 동적평형을 이루게하며, 가속도를 느끼게 한다. * 인간이 가장 잘 느끼는 진동수는 10-12Hz이고, 10-25Hz의 경우 가장 심한 생리적 영향을 준다. * 환경조건을 알기위한 심신 반응 항목 ㆍ고온-발한량 ㆍ저온-열림 ㆍ진동-시력, 맥박수, 호흡수 ㆍ고압-맥박, 혈액 산소 포화도 ㆍ동요-혈압, 자율신경 기능 ㆍ긴장도-맥박수, 뇌파, 긴장계수 * 조명의 4요소 : 광도, 물체의 크기, 움직임, 대비효과 * 광속(빛의 양) : 단위 Lm(루멘) * 광도(빛의 세기정도 즉, 빛나는 정도) : 단위 cd(칸델라) * 조도(빛의 밀도) : 단위 fc(foot-candle:1촉광 1foot), lx(럭스:1촉광 1m) 조도=광도/(거리)2 * 휘도 : 단위 입체각당 발산 광속 * 광속 발산도 : 점광원으로부터 단위 입체각당의 발산광속으로 물체의 밝기. * 소요조명(fc)=광속발산도(fl)×100/반사율(%) * 균일도=최저조도/평균조도 * 대비=(Lb-Lt)×100/Lb Lb=배경의 광속발산도, Lt=표적의 광속발산도. * 광선의 소멸 진동수 : 빛을 반복하여 점멸했을 때 이것이 연속된 광선처럼 보이는 한계의 진동수, 이 진동수는 섬광이 강해짐에 따라 감소, 켜지거나 꺼져있는 시간이 같고 1초에
10회 점멸하는 * 젖산의 증가는 피로할 때 나타나는 현상. * 실효온도(유효온도)는 체감의 지표로 복사열은 고려되지 않는다. 온도, 습도, 기류 3가지를 조합한 지표. * 여름철 쾌적온도 범위는 18-24℃, 겨울철 쾌적온도 범위는 17-22℃ * 사람에게 가장 이상적인 온도와 습도는 온도18℃, 습도40-60%정도.
* 작업용 의자 : 자리면의 높이는 책상윗면 모서리에서 밑으로 27-30㎝가 되게한다. 좌면 앞 가장자리는 둥글게하여,
* 휴식용 의자 : 좌면의 지지곡면을 완만하게 한다. 등받이는 자리면에서 8-14㎝ 凸형의 패드를 설치해서 등뼈가 * 의자의 설계에서 체중분포가 좌골결점에 집중되어야 안정적이며, 좌우의 분포가 대칭이 되도록 해야한다. * 의자 좌면의 나비는 사용자의 엉덩이 나비에 평균 10㎝정도를 더한 길이가 적당하다. * 섬세한 작업일수록 작업대 높이는 높아야한다. 정밀작업>쓰고읽기>타이핑 * 셀터(shelter)계 가구는 건축계 가구로 수납가구류이다(옷장, 책장, 서랍장, 벽장 등) * 정보의 유형-정량적 정보(변수의 정량적인 값) -정성적 정보(가변변수의 대략적인 값) -묘사적 정보(사물, 지역, 구성 등을 사진, 그림, 그래프로 묘사) -상태 정보(체계의 상황) -형태 정보(체제의 상황, 상태를 나타낸다) -신호 정보(물체나 상황의 존재유무를 나타낸다) -식별 정보(상태, 상황의 식별용으로 쓰인다)
* 지시 장치의 적부 판정법 항목 : 지시가 변하는 것을 쉽게 발견할수있는지, 다른 계기와 구별이 되는지, 계기는 요구된 방법으로 빨리 읽을수 있는지, 가장 직접적인 표시방법을 사용하고 * 입력자극으로서 시각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 전언이 복잡하다. 길다. 후에 재참조된다.공간적인 위치를 다룬다. 수신자의 청각계통이 피부하 상태일 때, 수신장소가 시끄러울 때, 직무상 수신자가 한곳에 머무르는 경우. * 비상표지판이나 경고표지판은 눈에 잘 띄는 주목성을 위해서 바탕에 불을 켜고 글자를 어둡게 하는 방법을 택한다. * 시인성 : 채도차 보다는 명도차를 두는 것이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 조작하는 제어장치는 작업원의 어깨로부터 70㎝이내의 거리에 있는 것이 좋다. * 빨리 돌려야하는 크랭크는 회전축이 신체 전면에서 60-90°가 적당하다. * 팔의 힘을 요하는 무거운 제어장치의 조절꼭지 직경은 2.5㎝가 적당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