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스크랩] 총론파트-기출문제로 본 모의고사

김프로님 2007. 3. 5. 17:26
 1. 다음 중 일체식 구조로 가장 적합한 것은?(1회 기출문제)

①아치구조

②쉘구조

③현수구조

④철골구조

⑤철골ㆍ철근콘크리트 구조

답⑤ 

해설 : 일체식 구조는 전 구조체를 거푸집 등을 사용하여 일체식으로 만든 구조로 강력하고 균일한 강도를 내는 합리적인 구조이다.  내구, 내진, 내화적이나 자체 중량이 무거운 단점이 있으며 철근 콘크리트 구조, 철골ㆍ철근 콘크리트 구조 등이 이에 속한다.


2. 조립식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1회 기출문제)

①조립식 구조는 판넬식, 골조식, 상자식으로 분류된다.

②조립식 구조는 날씨가 추운 지역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③조립식 구조에서 중요한 부위는 접합부로서 습식으로만 처리한다.

④접합 부분의 응력 전달 메카니즘이 불확실할 때는 시험을 통해 규명한다.

⑤판넬식에서 콘크리트관 1매의 무게는 10ton을 넘지 않도록 한다.

답③

해설) 조립식 구조는 주로 건식으로 처리하되, 필요시 습식을 병용할 수 있다.


3. 프리캐스트 구조의 장점으로 부적합한 것은?(4회 기출문제)

    ① 대량생산에 유리하다. 

    ② 각 부품의 접합부 일체화에 유리하다.

    ③ 기계화 시공으로 공기단축에 유리하다.

    ④ 현장 작업공정 감축에 유리하다.

    ⑤ 공장, 사무실 등 획일적인 건물에 유리하다.

답②

해설 : 프리캐스트 구조의 특징은 건축부재를 일정한 공장에서 생산 또는 제작 가공하여 현장에서 조립하는 구조이다.

 ㉠공장, 사무실 등 획일적인 건물에 유리함하다.

 ㉡동절기 공사도 가능하여 공사기간이 단축된다.

 ㉢양질의 재료를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거푸집비용의 절감을 꾀할 수 있다.

 ㉤접합부 처리로 부품간의 일체화는 곤란하다.

 ㉥접합부 처리가 쉽지 않기 때문에 횡력에 다소 약하고 큰 부재는 운반에 어려움이 있으며, 운반을 위한 양중기계 등이  필요하다.

 ㉦소규모 공사, 생산지와 거리가 먼 현장의 경우에는 경제적으로 불리하다.


4. 하중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5회 기출문제)

① 건축물은 하중과 외력에 대하여 안전한 구조이어야 한다.

② 적설하중은 적설의 단위중량에 따라 그 지방의 수직최다적설량을 곱해서 계산한다.

③ 건물에 근접해서 바람을 차폐하는 것이 있을 경우 속도압을 50% 범위 내   에서 경감할 수 있다.

④ 건물 자신의 무게, 즉 보·기둥·바닥·벽·기초 등의 골조의 중량을 적재하중이라고 한다.

⑤ 지진력은 고정하중과 적재하중의 합에 수평진도를 곱해서 구한다.


답④

해설 : 건축물에 장기적으로 미치는 물리적인 힘으로 건축물 자체 중량을 고정하중이라 하고 건축물에 장기적으로 적재되는 사람, 가구, 설비 등의 중량을 적재하중 또는 활하중(2003년도 통합구조용어)이라 한다.

5.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물을 장기하중과 단기하중으로 나누었을 때 단기하중이 아닌 것은 ? ( 7회 기출문제)

① 풍하중

② 적설하중

③ 지진하중

④ 구조물하중

⑤ 충격하중

답④ 

해설) 구조물하중은 건물의 자중이므로 고정하중으로 본다.


출처 : 김형돈의 건축 시설개론이야기
글쓴이 : akidon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