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수

[스크랩] 외벽방수

김프로님 2007. 3. 7. 14:23

4.3.3 외벽방수

4.3.3.1 개요

외벽으로부터의 비의 침입은 단순히 중력에 의해서만 유입되는 것이 아니라, 벽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빗물이 벽의 표면에 수막을 형성하여 외부의 압력과 벽체내의 기압차에 의하여 침입하게 된다. 따라서 벽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빗물을 물끊기 등을 이용하여 벽면으로부터 멀리하여야 하는 것이 기본이다.

외벽면으로부터의 누수의 원인을 사례별로 정리해보면 주로 다음의 원인으로 대별된다.

① 이음타설면에서의 누수

② 구체의 균열에서의 누수

③ 개구부 단면 접합부의 균열에서의 누수

④ 창틀주위에서의 누수

⑤ 창틀 부식부위에서의 누수

⑥ 출입구 주위에서의 누수

⑦ 마감층의 균열, 들뜸, 탈락부위에서의 누수

⑧ PC패널 조인트에서의 누수

이러한 사례로부터 외벽에서의 누수는 견실한 구조체를 제작하는 것을 우선으로 기타 적절한 위치에서의 물끊기 설치, 구조체의 거동을 고려한 마감층의 설치가 누수 방수의 중요한 역할이다.

4.3.3.2 이중벽에 의한 외벽방수

철근 콘크리트조 또는 조적조 등과 같은 외벽에서는 방수성능 확보를 위하여 전술한 구조체의 품질향상과 마감방법을 채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으로 장기간에 걸친 방수성능을 확보하기에는 어려움이 많기 때문에 외벽을 이중화함으로써 성능을 확보하려는 구법이 사용된다.

지하 이중벽 방수공법

가. 이중벽의 특성

① 단독벽체와 비교하여 중공부분을 가지게 되므로 확실한 방수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② 중공부분이 반밀폐 공기층이 되어 단열효과가 있다. 또한 외단열의 경우에도 중공부에 단열층을 설치할 수가 있으므로 단열재에 의한 실내부분의 면적감소는 없다.

③ 직사광이 구조벽에 도달되지 않으므로 안정된 실내환경을 얻을수가 있다.

④ 콘크리트의 동해로부터 구조벽을 방호하는 동해방지 효과가 있다.

⑤ 중공부분을 크게 두어 설비 등의 배관공간으로의 활용이 가능하다.

⑥ 구조벽과 밀착시키지 않으므로 지진 등과 같은 외력에 탄력적으로 대응이 가능하다.

단, 풍압력에 대하여는 충분한 성능을 가질 필요가 있다.

⑦ 대규모의 외벽 디자인 변경이 가능하다.

나. 이중벽 구법과 재료

이중벽의 구법에 관하여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① 벽돌, 콘크리트 블록, 판상 PC판 등에 의한 조적방식

② 바탕철물에 타일을 건식으로 붙이는 방식

③ 지붕재 등을 이용한 스레이트 행잉(Hanging)방식

④ 시판의 금속 사이딩이나 석면 스레이트판 등을 이용한 방식

⑤ 바탕재+패널형식

⑥ PC판, GRC판, ALC판 등을 통상의 커튼월과 같이 붙이는 패널형식

이중벽의 재료에 대하여는 콘크리트계, 금속계, 공장 성형계 등이 있다.

다. 외부구조 주변의 방수공사

바깥구조 둘레의 방수에서 흔히 문제가 되는 사항은 다음과 같은 일이다.

① 도로쪽 강하부분의 방수층의 마무리

② 샷쉬 부분의 방수층의 마무리

③ 치장의 원주 둘레의 방수층의 마무리

④ 벽면 쌓아올림부의 방수층의 마무리와 그 말단처리

출처 : 쵸리의 마지막열차
글쓴이 : 쵸리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