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스크랩] 구조문제풀이

김프로님 2007. 3. 8. 23:59
 


1..지반의 액상화 현상의 방지대책으로 가장 부적당한 것은?

① 점성토 및 자갈층을 양질의 사질토로 치환 

② 지반다짐 공법

③ 시멘트를 혼입하는 혼합처리공법       

④ 웰 포인트 공법 이용해 지하수 뽑아냄

⑤ 지하수위 저하

정답) ①

해설) 액상화는 물을 함유한 사질토에서 진동을 가할 때 나타난다. 즉, 모래지반에서 순간충격ㆍ지진ㆍ진동 등에 의해 간극수압의 상승으로, 유효응력이 감소되어 전단저항을 상실하고 지반이 액체와 같이 되는 현상을 지칭한다. 그런데 점성토 및 자갈층을 사질토로 치환하면 오히려 액상화 현상이 유발될 수 있기 때문에 바르지 않은 것이다.


2. 보일링(boiling)현상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어느 것인가?

①  지하수위 이하의 사질토 지반을 굴착할 때 발생한다.

②  굴착 바닥면의 지반이 전단저항을 잃기 때문에 붕괴한다.

③  널말뚝을 지지하는 주동토압이 감소

④  웰포인트로 지하수위를 낮춘다.

⑤ 불투수층까지 말뚝 저면이 정착되지 않았기 때문에 발생한다. 

답) 3

해설) 널말뚝을 지지하는 것은 수동토압이다. 그리고 이 수동토압이 감소, 다시 말해 주동토압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였기 때문에 흙막이 널 후면과 저면에 토압차가 생기는 것이다. 이런 토압차로 인한 문제는 히빙으로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3. 지반이 사질지반일 경우 보링과 병행하여 실시하며 관입량을 측정하여 지내력을 알고, 샘플러로 시료를 채취하여 토질검사를 하는 것은?

① 가스관 꽂음 시험

② 말뚝 박기 시험

③ 표준관입시험

④ 지내력 시험

⑤ 말뚝박기 시험

답)3.

해설) 사질지반의 관입량 측정시험은 표준관입시험이다.


4.다음 구법에 관한 기술 중 틀린 것은?

①  쉘은 주로 면내 응력으로서 외력에 저항하는 구조

②  라멘은 주로 휨모멘트 및 전단력으로서 외력에 저항하는 구조

③  아아치는 주로 축방향 압축응력으로 외력에 저항하는 구조

④  트러스는 주로 휨모멘트로서 외력에 저항하는 구조

⑤   내진벽은 지진력까지도 저항할 수 있는 벽이다.

답) 4

해설) 트러스는 각 절점이 힌지로 처리됨으로써 인장 또는 압축의 축력에 저항하는 구조로 볼 수 있다.


5. 다음 튜브구조의 기본적 개념과 특성에 관한 설명이 부적합한 것은?

①수평하중 저항시스템이 건물 외주부에 위치하므로 건물의 전체 폭이 모멘트에 저항

②수평하중 저항시스템이 건물 외주부에 위치하므로 내부구조체는 연직하중만 지지하면 되므로 설계가 단순해짐. 결과적으로 기둥이나 보의 배치가 자유로움.

③튜브구조는 전층의 바닥구조를 동일하게 할 수 있음.

④튜브구조는 튜브를 이루는 구조체를 전층 동일하게 하므로써 시공성이 뛰어남.

⑤묶음 튜브(Bundled Tube)구조는 전단지연현상이 심각해 질 수 있어 골조튜브방식을 보통 고려한다.

답)5

해설) 건물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골조튜브 방식은 전단지연(Shear lag) 현상이 심각하게 되는데,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평면 중간 부분에 횡력과 평행한 방향으로 튜브 구조체를 넣어 횡력을 지지하도록 하는 방식인 묶음 튜브구조를 사용한다. 여기서 전단지연현상은 횡하중에 저항하는 튜브구조의 각 부분 응력이 일정하지 않고, 코너부에서는 크고 중앙부에서는 작아지면서 곡선과 같은 응력분포를 나타내면서 전체적인 횡변위를 증가시키는 현상을 의미한다. 전단지연현상을 막기 위해 트러스 튜브, 즉 튜브구조와 외부 골조에 트러스구조를 혼합하는 방식을 이용하기도 하고, 묶음 튜브, 즉 횡력과 평행한 방향으로 튜브 구조체를 넣기도 한다.


6.조적조 개구부의 구조제한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① 벽돌벽체에서 개구부의 폭은 그 벽 길이의 1/2 이하로 하여야 한다.

② 개구부와 위 개구부위 수직거리는 60cm 이상이어야 한다.

③ 개구부위 상호간의 간격 또는 대린벽과 개구부와의 간격은 벽체두께의 2배 이상으로 한다.

④ 개구부 폭이 1.8m 이상인 경우에는 철근콘크리트 인방보를 설치한다.

⑤ 인방보는 좌우 각각 10cm 이상 물리도록 한다.

답) 5

해설) 인방보는 좌우 각각 20cm 이상 물리도록 한다.


7.다음 집성목재의 특징이 아닌 것은?

① 기성품화 된 것뿐만 아니라 구조 계산된 주문품도 생산할 수 있다.

② 가변성은 낮으나 나무의 자연미를 증진시켜 주며 특성을 강조한다.

③ 기성품의 경우 설계응력표에서 소정의 강도를 결정하고 그 길이를 주문하여 사용된다.

④ 집성목재는 주거용과 상업용,토목용,교량,교회,놀이기구,등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⑤ 집성재는 일반 경량 목구조재가 만들 수 없는 새로운 방법을 허용한다.


답)2

해설)가변성도 높고 자연미도 발할 수 있다.

집성목재는 각재를 적층하여 접착재로 접착하는 것으로, 나무결 방향을 동일하게 하고 일반적으로 1.5인치 두께의 각재를 6개에서 54개까지 적층하여 제작한다. 단일 제재목의 물리적 화학적 성능을 향상 시킨 공학목재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 합판과 집성목재이다. 집성목재 계단의 경우 결 자체의 아름다움과 가변적인 면모를 보여준다.


8. 시이트방수에 관한 사항 중 부적당한 것은?

① 현장에서 냉간 가공을 한다.

② 바탕면을 충분히 건조시켜야 한다.

③ 시공시에는 접합 부위와 방수막 사이를 시일재로 주입하여 봉합한다.

④ 현장에서 누수 시험을 하여 하부 구조에 누수가 발견되면 보수 공사를 하고 누수가 없을 때까지 시험을 반복한다.

⑤ 겹침 이음 15cm이상, 맞댄 이음 10cm 이상 이음한다.


답) 5

해설) 겹침 5cm, 맞댄 10cm 이상 이음.


9.철제창호의 특성이 바르지 않은 것은?

① 철제는 견고하고 가격이 저렴하다.

② 내화성이 작다.

③ 부식(녹)이 되기 쉽다.

④ 기밀성이나 내구성이 떨어진다.

⑤ 방화문으로 널리 쓰여지고 있다.

답)2

해설)융점이 1500℃ 정도로 내화성이 다른 금속제 창호에 비해 큰 편이므로 방화문으로 쓰인다.


10. 콘크리트 부어넣기에 있어서 측압에 대한 영향이 가장 적은 것은?

① 콘크리트의 부어넣기 속도      

② 공기량

③ 거푸집널의 간격               

④ 다지기방법

⑤ 단위수량

정답) ②

해설) 측압에 영향을 주는 요인

타설높이, 수평단면, 콘트리트의 배합, 시멘트의 종류  철골,철근량, 거푸집의 강성, 슬럼프값(시공연도), 부어넣기속도(타설속도),기온(온도),습도, 진동기사용(다짐법) 등


11. 고강도 콘크리트의 특성이 아닌 것은?

① 단위면적당 내력이 크므로 단면을 줄일 수 있다.

② 강도가 높다.

③ 취성이 낮아진다.

④ 보통강도 콘크리트에 비해 건조수축량이 적다.

⑤ 연성이 낮아진다.

정답) ③

해설) 고강도 콘크리트(40MPa)일 수록  급작스런 취성파괴의 특성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이다.


12 철근콘크리트 구조에서 주근의 충분한 피복두께를 유지해야 하는 이유 중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구조물의 내화성을 유지

② 철근의 부착력 확보

③ 골재의 유동성 확보

④ 콘크리트의 중성화 속도 감안한 내구성 확보

⑤ 철근의 부식방지

정답) 3

해설 ) 골재의 유동성 확보는 철근 간격을 위한 고려사항이다.


13.  콘크리트의 균열발생 방지법으로 가장 부적당한 것은?

① 물시멘트비를 작게 한다.

② AE제를 적당량 혼입한다.

③ 급격한 온도변화를 피한다.

④ 콘크리트의 온도상승을 작게 한다.

⑤ 단위시멘트량을 증가시킨다.

정답) ⑤

해설) 적정한 단위시멘트량이 필요하다.


14. 다음 목조 벽체에 관한 설명 중 바르지 않은 것은?

① 가새의 경사는 45도에 가까울수록 좋다.

② 주요 건물에는 한 방향으로만 가새를 만들지 않고, X자형으로 만들어 인장과 압축을

하도록 한다.

③ 귀잡이 보는 도리 등의 가로재가 서로 수평방향으로 만나는 귀 부분을 삼각형 구조로

만든 것이다.

④ 가구식 벽체에 설치한 가새는 수직하중에 대한 보강재이다.

⑤ 기둥 사이에 사잇 기둥을 적당한 간격으로 배치한다.

답)4.

해설) 수평하중에 대한 보강재이다.


출처 : 김형돈의 건축이야기
글쓴이 : 아키돈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