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공용어

ㄱ

가설공사
 말 그대로 임시로 설치하는 공사를 뜻하며, 본 공사의 진행을 위하여 설치하는 장비ㆍ시설로서 공사가 완료되면 해체ㆍ철거ㆍ정리합니다. 그 종류로는 울타리, 세륜시설, 창고, 가설건물, 공사용 동력, 용수 설비 등이 있습니다.

거푸집(형틀)
 콘크리트 구조물을 소정의 형태 및 치수로 만들기 위하여 임시로 설치하는 구조물. 기둥, 바닥, 벽 등의 틀을 짠 후 콘크리트를 부어 넣고, 굳은 뒤에 이 틀을 떼어내는데 이것이 거푸집입니다. 최근에는 철제 거푸집(유로 거푸집)을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견출공사
 거푸집을 해체하고 나면 공기구멍과 시공 이음, 거푸집 이음매가 생기는데, 이런 곳을 시멘트 풀과 시멘트 등을 이용하여 평평하고 고르게 다듬어 벽체의 미장공사와 마감공사가 원활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을 말합니다.

갱폼(Gang Form)
 주로 외벽에 사용되는 거푸집으로, 거푸집 설치시 조립과 분해를 반복하지 않고, 대형화, 단순화하여 한번에 설치ㆍ해체ㆍ인양할 수 있도록 만든 거푸집 시스템입니다. 재래식 공법에 비하여 안전성이 뛰어나 일반적으로 아파트 건축 현장의 골조공사에 사용되는 외벽 전용 거푸집입니다.

골조공사
 건물의 뼈대를 세우는 작업에 해당하는 주요 공사의 총칭으로 건물의 기초, 기둥, 바닥, 보를 만드는 공사를 가리킵니다. 철근과 철골을 이용하여 건물 바닥과 벽체의 형틀을 만들고, 거푸집을 조립ㆍ설치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일련의 과정입니다.

ㄴ

내장공사
 건축물의 내부 벽, 바닥, 천장 등의 치장과 마감을 위주로 한 내부 공사 전체를 가리킵니다. 이를테면 붙박이장 등의 가구공사, 창문치장을 위한 커튼이나 블라인드 공사, 벽지공사, 바닥 장판공사 등이 있습니다.

누름 콘크리트
 합성수지나 도료 등으로 만들어진 방수층을 보호하기 위해, 그 위를 한 번 더 콘크리트로 덮는 마감으로 방수층을 보호하는 콘크리트를 말합니다.

ㅁ

미장공사
 건축물의 내ㆍ외부 표면을 깔끔하게 마무리하는 공정으로, 시멘트에 물이나 균열방지제 등을 적절히 배합ㆍ반죽해 발라서 다듬는 공사입니다. 주로 바닥이나 벽면, 발코니, 천장 등의 연결표면을 매끄럽게 하는 작업이며, 단열ㆍ내구ㆍ소음방지ㆍ방수 등의 역할을 합니다.



ㅂ

복공판
 여유 공간이 부족한 도심지의 경우 공간을 나누어 터파기를 진행해야 하며, 터파기 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자재 및 기타 시설물을 여러 번 반복해서 옮겨야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이러한 불편함을 없애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지표면 높이에 설치하는 두꺼운 철판을 가리킵니다. 복공판은 공정이 어느 정도 진행되면 모두 철거합니다.

버림 콘크리트
 기초 콘크리트와 지반 사이에 50~60㎜ 두께로 깔아주는 콘크리트를 말합니다. 기초 콘크리트를 지반 위에 곧바로 타설하게 되면, 콘크리트의 수분이 흙으로 빠뎌나가 기초 콘크리트의 강도가 약해지게 됩니다. 이것을 막아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버림 콘크리트입니다.

ㅅ

사춤작업
 공사 현장에서 시공 이후 나타나는 미세한 틈이나 갈라진 부분을 메우는 작업을 말합니다. 시멘트풀, 실리콘 등 각종 재료를 해당 현장의 용도와 목적에 맞도록 선택한 뒤 실시하게 되는데, 정교하고 숙련된 손질이 필요합니다.

슬래브(Slab)
 건물의 구조에서 수평으로 판판하게 만들어지는 바닥이나 천장을 의미합니다. 이는 아래 층에서 보면 천장이 되고, 위에서 보면 당연히 바닥이 됩니다. 즉, 1층 천장슬래브는 2층 바닥슬래브인 것입니다.

슬리브(Sleeve) 전기, 배관, 환기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금속ㆍ플라스틱 소재의 원통형 관을 말합니다. 특히 바닥이나 벽을 관통하는 배관은 콘크리트 타설을 하기 전에 슬리브를 넣고, 그 속에 관을 통과시켜 배관 작업을 합니다.



ㅇ

유리공사
 건축물 내ㆍ외부에 있는 각종 창과 문에 유리를 끼우는 작업을 말합니다. 사용하게 될 공간의 특성에 따라 두꺼운 강화유리, 자외선투과유리, 단열겹유리, 유리블럭 등 다양한 종류를 사용하게 됩니다.

유제포설(油製鋪設) 작업
 도로공사 시 이루어지는 작업으로 기름기가 있는 재료를 넓게 펴서 바르는 작업을 가리킵니다. 도로 포장을 하기 전에 아스팔트가 바닥 면에 잘 달라붙고 또 착지가 잘 되게 하기 위해 미리 유제를 충분히 발라 놓습니다.

ㅈ

제연 덕트(Duct)
 말 그대로 연기를 제어하기 위한 시설. 즉, 주방에서 조리할 때 발생하는 연기나 보일러실의 유해가스 등을 건물 외부로 를 강제 배출시킬 수 있게 하는 통로를 가리키며, 열에 강한 성분으로 제작됩니다.

조경공사 매우 다양한 외부 환경을 조성하는 것으로 아파트 단지 내의 보행자도로, 수경시설, 나무 식재, 자연석 쌓기, 각종 환경 조형물 등을 설치하는 것뿐만 아니라 벤치나 정자, 분수 등을 조성하는 공사 등도 포함됩니다.

조적공사
 일반적으로 담장을 쌓듯 벽돌이나 블록을 쌓는 공사를 말합니다. 공사 현장의 내용과 목적에 따라 실내 또는 실외에서 기존 벽체를 보강하거나 혹은 벽을 만드는 작업, 구멍을 메우는 작업 등에 적용됩니다.



ㅊ

창호공사
 건축물 내ㆍ외부 각 방들의 문과 문틀을 만드는 공사를 말합니다. 이 문틀의 재료에 따라 목재를 이용할 경우 ‘목제창호공사’, 알루미늄을 이용할 경우 ‘AL창호공사’, 플라스틱을 이용할 경우 ‘PL창호공사’라고 부릅니다.

철근 배근 한 건축물의 기본적인 골격을 형성하는 기초, 기둥, 벽, 바닥, 보 등은 콘크리트로 만들어 강도에 결함이 없도록 설계하게 됩니다. 이 때, 그 강도를 더욱 보강하기 위해 콘크리트 속에 미리 철근을 일정 간격으로 배열해 놓는 작업을 철근배근 작업이라고 합니다.

ㅌ

테두리보
 기둥과 기둥 사이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부재를 벽체, 수평으로 연결하는 부재를 보라고 합니다. 보는 바닥의 하중을 기둥으로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합니다. 조적이나 블록만 가지고는 높은 건물을 만들 수 없습니다. 따라서 보통 조적조나 블록조라도 콘크리트로 기둥을 만들고 기둥과 기둥을 연결하는 보를 만들어 기둥 사이, 보 하부에 벽돌이나 블록으로 벽체를 만드는 구조를 갖습니다. 이 때 블록이나 벽돌 위에 만든 보를 테두리보라고 합니다.

토공사 건물이 위치할 지반을 깎고(절토) 메우는(성토) 공사, 즉 지반의 절토, 성토, 터파기, 되메우기, 기타 이에 수반되는 공사를 토공사라고 합니다. 특히 도심에서의 토공사는 고층화 및 지하주차장 등 대지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지하 터파기가 깊어지고 있어 철저한 사전 조사와 위험 방지가 필수적입니다.



ㅍ

파일 두부 정리
 기초공사용 콘크리트 파일(말뚝)을 지면에 박아 넣은 후 남은 머리 부분(頭部)을 다듬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는 기초 파일을 때려서 박아 넣는 만큼 파일 상부의 강도가 약해지기 때문이기도 하며, 기초 파일 상부를 일정 높이로 만들어야만 그 위에 기초를 놓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일반 콘크리트에 비해 매우 단단하기 때문에 파쇄기(破碎機)라는 기계를 이용해 파일 상단을 부순 뒤 깨끗하게 정리하는 작업입니다.

피트(PIT)층
 방음ㆍ방열ㆍ방오염을 목적으로 건물의 최저 지하층에 설치하는 여유 공간을 말합니다. 지하 콘크리트를 타고 올라오는 습기를 방지할 수 있고, 오수정화조 같이 오염물질이 있는 경우에는 오염을 방지해 줍니다. 또한 외부 열을 완충하여 단열 효과가 탁월하며, 각종 설비 배관을 지나게 하는 공간이기도 합니다.

ㅎ

호이스트(Hoist) 건물 외벽에 설치된 공사용 임시 엘리베이터. 보통 건설 현장에서 자재나 근로자들이 이동할 때 이용하는 가설 엘리베이터로서, 전동기의 힘으로 오르내리며 적재하중은 보통 1~3톤으로 골조가 7층 이상 올라가면 조립ㆍ설치가 이루어집니다.

흙막이공사
 흙이나 모래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공사를 가리키는 말로 지반(地盤)을 파내려 가면 사방의 흙이 그 하중과 좌우의 압력으로 무너져 더 이상의 굴착이 불가능해집니다. 때문에 안전한 터파기 작업과 기타 공사를 할 수 있도록 이 흙을 지지하는 벽을 설치합니다. 이러한 일련의 작업을 흙막이 공사라 합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