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재료
[스크랩] 슬럼프
김프로님
2007. 3. 23. 00:35
1. 슬럼프란?
------------
슬럼프(Slump)는 콘크리트 반죽의 정도를 측정하는 칫수입니다.
2. 슬럼프의 테스트 방법
-----------------------
국내에서, 슬럼프를 측정할 때는 앞서 어느 님께서 답해주신 대로 KS에서 규정하고
있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꼬깔콘처럼 생긴 통(윗지름 10cm, 아랫지름 20cm, 높이 30cm ~ 크고 못 먹는 꼬깔 콘)
에 콘크리트 배합물을 집어 넣고 좁은쪽이 위로가게 하여 내려 놓은 후 꼬깔을 제거
했을 때 얼마나 무너지는가 하는 것이 바로 슬럼프입니다.
3. 슬럼프 값의 의미
-------------------
위에서 설명드린 결과가 슬럼프 값이므로 슬럼프 값이 작을 수록 된 반죽이라는 뜻입니다.
반대로 값이 크면, 그만큼 진 반죽이라는 뜻이고 일반적으로 작업성이 증가합니다.
즉, 철근 사이사이로 잘 빠져나가고, 잘 퍼지는 반죽이 됩니다.
4. 적절한 슬럼프 값
-------------------
슬럼프는 사용되는 구조부위에 따라 다소 다른데 기초, 슬래브, 보에 사용되는
콘크리트의 슬럼프치는 5∼18cm 이내, 기둥이나 벽에 사용되는 경우는
이보다 묽은 10∼21cm정도가 되는 게 좋다. 진동기를 사용하는 경우는
이보다 된 반죽이 되어야 한다.
위의 내용은 어떤 사이트에서 베낀건데...
슬럼프의 범위가 넓죠?
실제로는... 기본적으로, 슬럼프값 챙기는 제대로 된 구조물은 모두 진동기를 사용합니다.
바닥슬래브나 보는 기둥이나 벽체에 비하여 철근이 덜 촘촘하고, 따라서 더 된 반죽으로도
타설이 가능합니다. 슬라브/보 : 10~12cm 기둥 : 12cm~15cm
버림콘크리트는 무근입니다. 8cm의 된 반죽으로도 OK!!!
필요한 작업성에 따라, 적절하게 위의 값을 가감하시면 크게 지장 없으실 것 같네요,
(일반적으로 교과서에 나오는 수치로는 작업이 너무 힘든 경우 많이 있습니다.
위의 수치는 국내 유수의 건설회사에서도 따르는 것이니 믿으셔도 될 듯... ^^)
5. 슬럼프 값의 조절 방법
------------------------
반죽의 조절 방법
보편적으로 반죽의 정도를 결정하는 것은 물이다. 시멘트와 사용한 물의
무게비를 물/시멘트비라 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보통 콘크리트의 경우
60%에서 70% 이하가 되어야 한다. 물/시멘트비와 콘크리트의 강도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①동일한 물시멘트비와 동일한 슬럼프를 유지할 경우 모래나 자갈이 가늘수록
사용하는 시멘트 양은 많아진다.
②동일한 슬럼프의 경우 물시멘트비가 작을수록 사용 시멘트의 양은 늘어나지만
동일한 물시멘트비로서 슬럼프가 클 때도 사용 시멘트의 양은 늘어난다.
③또한 동일한 물시멘트비, 동일한 슬럼프에서 모래가 가늘수록 자갈이 늘어나고,
자갈이 가늘수록 모래 사용량은 증가한다.
④동일한 조건인 경우, 모래가 굵을수록 사용모래가 늘어나며, 자갈이 굵을수록
자갈의 사용량은 증가한다.
⑤물시멘트비가 60% 이하인 경우 동일 슬럼프에서는 물시멘트비와 관계없이
자갈 사용량은 동일하며, 슬럼프 15cm이상에서 동일한 물시멘트비인 경우
슬럼프가 클수록 모래 사용량은 많아진다.
(http://www.ivill.net/gunsulin/gmg03-1.htm)
------------
슬럼프(Slump)는 콘크리트 반죽의 정도를 측정하는 칫수입니다.
2. 슬럼프의 테스트 방법
-----------------------
국내에서, 슬럼프를 측정할 때는 앞서 어느 님께서 답해주신 대로 KS에서 규정하고
있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꼬깔콘처럼 생긴 통(윗지름 10cm, 아랫지름 20cm, 높이 30cm ~ 크고 못 먹는 꼬깔 콘)
에 콘크리트 배합물을 집어 넣고 좁은쪽이 위로가게 하여 내려 놓은 후 꼬깔을 제거
했을 때 얼마나 무너지는가 하는 것이 바로 슬럼프입니다.
3. 슬럼프 값의 의미
-------------------
위에서 설명드린 결과가 슬럼프 값이므로 슬럼프 값이 작을 수록 된 반죽이라는 뜻입니다.
반대로 값이 크면, 그만큼 진 반죽이라는 뜻이고 일반적으로 작업성이 증가합니다.
즉, 철근 사이사이로 잘 빠져나가고, 잘 퍼지는 반죽이 됩니다.
4. 적절한 슬럼프 값
-------------------
슬럼프는 사용되는 구조부위에 따라 다소 다른데 기초, 슬래브, 보에 사용되는
콘크리트의 슬럼프치는 5∼18cm 이내, 기둥이나 벽에 사용되는 경우는
이보다 묽은 10∼21cm정도가 되는 게 좋다. 진동기를 사용하는 경우는
이보다 된 반죽이 되어야 한다.
위의 내용은 어떤 사이트에서 베낀건데...
슬럼프의 범위가 넓죠?
실제로는... 기본적으로, 슬럼프값 챙기는 제대로 된 구조물은 모두 진동기를 사용합니다.
바닥슬래브나 보는 기둥이나 벽체에 비하여 철근이 덜 촘촘하고, 따라서 더 된 반죽으로도
타설이 가능합니다. 슬라브/보 : 10~12cm 기둥 : 12cm~15cm
버림콘크리트는 무근입니다. 8cm의 된 반죽으로도 OK!!!
필요한 작업성에 따라, 적절하게 위의 값을 가감하시면 크게 지장 없으실 것 같네요,
(일반적으로 교과서에 나오는 수치로는 작업이 너무 힘든 경우 많이 있습니다.
위의 수치는 국내 유수의 건설회사에서도 따르는 것이니 믿으셔도 될 듯... ^^)
5. 슬럼프 값의 조절 방법
------------------------
반죽의 조절 방법
보편적으로 반죽의 정도를 결정하는 것은 물이다. 시멘트와 사용한 물의
무게비를 물/시멘트비라 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보통 콘크리트의 경우
60%에서 70% 이하가 되어야 한다. 물/시멘트비와 콘크리트의 강도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①동일한 물시멘트비와 동일한 슬럼프를 유지할 경우 모래나 자갈이 가늘수록
사용하는 시멘트 양은 많아진다.
②동일한 슬럼프의 경우 물시멘트비가 작을수록 사용 시멘트의 양은 늘어나지만
동일한 물시멘트비로서 슬럼프가 클 때도 사용 시멘트의 양은 늘어난다.
③또한 동일한 물시멘트비, 동일한 슬럼프에서 모래가 가늘수록 자갈이 늘어나고,
자갈이 가늘수록 모래 사용량은 증가한다.
④동일한 조건인 경우, 모래가 굵을수록 사용모래가 늘어나며, 자갈이 굵을수록
자갈의 사용량은 증가한다.
⑤물시멘트비가 60% 이하인 경우 동일 슬럼프에서는 물시멘트비와 관계없이
자갈 사용량은 동일하며, 슬럼프 15cm이상에서 동일한 물시멘트비인 경우
슬럼프가 클수록 모래 사용량은 많아진다.
(http://www.ivill.net/gunsulin/gmg03-1.htm)
콘크리트 슬럼프 |
스럼프는
콘크리트의 현장 타설시 그 묽기에 따라 시공의 용이성등이 문제가되어진다. 따라서 콘크리트를부어 다지는 작업의 용이성 죽,시공연도(施工軟度-worability)를 위해 소요되는 수치 규정한 것이고, KSF2403(포틀랜드 시멘트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공방법)에 정하는 바에 따라 시험을 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또한 슬럼프가 8,12,15,18,21 인 경우의 콘크리트를 만드는 데에는 물시멘트비(%)와 잔골재량, 단위수량, 단위 시멘트의 배합표에의하여 시멘트, 잔골재, 굵은골재의 적정한 절대용적이 배합되어 만들어 집니다. 슬럼프 치에 따라 기초나 바닥,보와 같은 부재는 15-19cm(진동다짐 아닐때)를 쓰며 진동 다짐일경우는 5-10cm정도를 사용하며, 기둥과 벽의 부재에는19-22cm(진동다짐 아닐때)를 쓰며 진동 다짐일경우는 10-15cm정도의 콘크리트를 사용도록 되어 있습니다. |
교량일 경우 슬럼프 15cm를 적용합니다. |
출처 : 재개발
글쓴이 : 아세사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