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이야기(1)
구조이야기 넷, 불이야기(1) 화재시의 사용온도에 따른 변색 |
|
화재가 발생하면 건축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까? |
요즈음의 구조물은 대개의 경우 철근콘크리트구조나 철골구조로 시공하는데 철근콘크리트구조인 경우에는 콘크리트 피복이 불로부터 어느 정도까지는 지켜주며 철골구조일 경우에는 내화 피복재를 사용하여 불로부터 구조물을 보호해 준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철근콘크리트구조의 콘크리트 피복은 불에 타지 않은 재료이므로 불로부터 일정한 시간동안 구조물을 보호해준다. |
그러면 화재온도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 화재가 났을 때 화재온도를 측정할 수는 없는 노릇이 아닌가? |
피해복구는 화재온도 예측에 따라 기둥주위 인접한 부분에 슬래브나 보와 같은 수평부재인 경우에는 처짐이 제일 많이 예상되는 중앙부에 동바리를 받쳐 놓는 것이 일시적이지만 안전진단을 하여 보수·보강을 할 때까지는 매우 효과적이다. 왜냐하면 불에 노출되면 콘크리트와 철근은 모두 강도가 저하되지만 콘크리트는 1년 정도의 시간이 지나면 원래 강도의 90%정도까지는 회복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