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가구에 대하여
가구(架構)-
:기둥위나 공포에 얹혀 내부공간을 형선한 여러 부재를 총칭,,,
*보와 도리, 대공이 기본 부재이다.
*의장재 - 아름다운의 효과를 얻으려 한다. (연등천장)
*가구재 - 천정을 설치하여 가구재를 은폐시켜 단순의 가구재만...(우물천장)
-보-
*대들보 : 목조 건축의 기본 구조재.. 보통 평기둥과 뒤의 평기둥에 결구된다.
큰건물은 평기둥과 고주에 걸치게 된다..
*고려시대 - 항아리형의 단면 (역학적 기능과, 의장적 효과)
*고려, 조선초 - 공포와 대들보와의 결구는 ‘수장폭’의 크기로 결정 -구고현법
*대들보의 육중한 크기를 가볍게 보이도록 노력한 결과
*조선중기(이후) - 보의 단면은 차차 장방형 으로 무겁게 느껴진다.
(의장재의 기능 보다는 , 구조재로서의 기능에 충실하려단 결과)
*옛날형식의 보 : 홍예형보가 많은데 중앙부분이 축 처져 보이는 ‘시각의 착시현상교정’
*종보 (마루보) : 대개 대들보 길이의 1/2이며,
대들보로부터의 높이는 대들보부터 마루도리까지의 높이 1/2에 해당한다.
*퇴량(退樑) ; 보보다 낮게 걸리고, 고주가 있어 툇간이 달릴때 사용되는 보이다.
1) 퇴량이 평기둥 머리에 얹혀 수평으로 고주의 몸에 끼는 방식...(수장폭보다 굵게)
2)고주 머리에서 평기둥 위의 공포와 결구되는 방법, (수장폭과 같은 크리의 부재사용)
*충량(衝樑) ; 측면의 평기둥을 보강하며. 측면을 통과하는 중도리를 받아....
지붕과 박공부분의 하중 을 지탱하여 기둥과 보를 연결시켜주는 역할.
*우미량(牛尾樑) : 고려시대와 조선초기의 맞배집에서 찾아볼수 있다.
도리와 도리사이를 연결시켜준다. 예) 예산의 수덕사 대웅전...
*내부공간에 수평과 수리의 부재로 정적인 구성을 했을 때....
우미량의 곡재는 동적인 요소를 첨가해준다.
*귓보 ? : 중층 이상의 건물. (탑형식) .
*맞보? : 고주나 받침기둥이 따로있어 두개의 보가 맞닫게 된다.
(건물 평면이 크거나, 증층의 협소한 평면에 툇보가 생략될 경우 쓴다)
도리
; 제형 도치형과 납도리.
*외목도리, 내목도리(다포), 주심도리 : 보통 보와 퇴량위에 얹히나 고대일수록
훨씬상에에 얹혀 ‘(서까래)을 받는다.
*중도리, 하중도리, 상중도리. 종도리(상량도리)
*굴리기 - 도리의 둥근 부분에 맞춰 장혀를깎는다.
*평깎기 - 장혀에 맞춰 도리가 닫는 맡을깎는다,
대공
: 대들보, 중보, 종보에 얹혀 종도리를 받는 부재. (동자대공, 접시대공, 화반대공, 포대공,
포대공, 판 대공, ㅅ형대공)
* 동자대공- 가장 간단하고 시공이 편리하다.(반자가 있을 경우 많이 쓴다.)
* 접시대공- 층층이 쌓아올려 접시를 놓고 도리를 받는다.
보방향으로만 층등이 쌓아올려,,,,
보와 도리방향의 +로 쌓아올려.... (접시받침)
*화반대공 - 복화반 (봉정사 극락전, 송광사 하사당)
고려말 조선초-파연대공
조선 중기 이후 - 앙화형 조각품의 대공이 많다.
* 포대공 - 대공을 공포처럼 짜아 놓은 대공.......
*포대공+화반대공을 복합적의로...
*포대공의 세부 수법이 보여주는 시대성이-‘건축양식 판별에 핵심’
포처럼, (화반+포대공)
*판대공 - 토막을 중첩시켜서 사다리꼴 모양...
*ㅅ 형 대공(솟을합장) : 고구려 벽화에 남아있다.
내반된 것 ; 고대건물(솟을 합장내)
외반된 것 ; 개심사 대웅전
*봉정사 극락전 : 도리사이에도 합장재 사용.
수덕사 대웅전의 도리사이에 있는 ‘우미량’
*장혀
: 도리를 받는 부재이다.
-통장혀 : 다포계 건물
-단장혀 : 고려와 조선초 주심포계 건물에서 사용.
-뜬장혀 : 도리에 직접 부착되지 않고, 통, 단장혀 아래쪽에 떠있는 상태로
부재간을 연결시켜주는 구조재.(도리밑에 장혀가 있고 거기에 소로를 놓고
밑에 다시 장혀가 있다-상도리 밑)
- 초공 : 도리를 받는 장혀에 짜여, 도리와 장혀가 좌우로 구르지 못하게 한 부재..
( 초각모양, 첨차형, 새머리형태)..
(부석사 안양루 화반,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