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가옥

[스크랩] 기둥에 대하여...

김프로님 2007. 8. 9. 00:36
 

 

 

 

*가구식 구조물의 중심부, ‘공간형성’의 기본재료....

*공학적 의미 - 상부하중을 지반으로 전달하는 구조물....

                       외진주 : 우주(귀기둥) , 평주,

                       내진주 : 고주, 단주  :  퇴주

*단면형식 - 원형기둥(원주), 두리기둥 :원통형기둥, 민흘림기둥, 배흘림기둥.

                -각형기둥(방주) :방형기둥, 6각기둥,8각기둥, 외 상투기둥, 활주

                -민흘림,배흘림기둥 :역학적보다 ‘의장적효과’가크다

                 ‘착시교정효과’ , ‘안정감’

*찰주(옥심주) : 목조탑 건물 내부 중심에 설치되는 기둥....

                 예) 쌍봉사 대웅전 : 심주 몸에는 1,2,3층의 추녀 뒷몸이 뀌워져 자체 무게

                                              에 의해 내려 밀리는 힘을 받고 있다.

                                              추녀끝부분의 지붕하중에서 오는 힘을 이용해서

                                              심주를 받치고 있다.

*공궐의 정전과 사찰의 불전을 중층건물일때 통층으로 되는 것이 통례...

  문루에서는 상층에 판상(우물,장마루)을 시설하는 것이 일반적....

*영조법식 -북송말의 철종, 휘종대의 이명중이 칙명을 받고 편수한 건축전문서..

         34권 : 중국건축을 이해하는데만 국한하지 않고 중국권 목조건축 연구에 공헌

               -오늘날 ‘영조법식’ -남송때 재간된 것이 계통...

           # 13칸     11칸    9칸    7칸    5칸    3칸

            1자2치,   1자     8치    6치    4치    2치 (치이가 1치)

                - 결국 1치를 감하여 평주보다 높게 귀기둥 크기를 정하면된다

*귀솟음 : 기둥 높이를 각각 조절하여 건물 전체의 균형을 잡는 기법....

            #-----수평이지만 앞에서보면------양끝이 쳐져보임...

              평주는 같은 양끝의 귀기둥에 ‘솟음’을 둔다, 양끝이 처져보이는 것을 방지하기위함.

            # 문제가 : 상부의 부재가 각각 틀린다. 공포의 기울기....

                  측면 보칸도 귀솟음이 된다면 내부 부재의 어려움...

*안쏠림. 오금법 : 기둥이 밖으로 퍼져보이는 착시현상을 교정하기위해 안쪽으로 귀기둥을

                          기울이는 수법이다.

*어려움 : 만약 기둥길이가 10자 일때 오금은 정면에서 1치 정면과 후면을 합해 2치가 빠진다.

               10자 양칸의 건물에서 9자8치가 차이나므로 하부와 상부의 부재 길이가 다르다.

               따라서 각개의 마름치수가 어렵게 된다.

*초석 밑에 측각의 묵선을 넣을때 기둥의 중심을 나타내는 십자묵의 안쪽에

              한줄따로더 수직으로 묵선을 넣어야 한다

 

 

출처 : 인테리어목수클럽
글쓴이 : 빌트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