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시공공정--단열.방습공사
단열재
단열 기준표 | ||
Maximum Comforts Standard(최대 쾌적 표준) | ||
설치 부위 |
U-Value |
Insulation "R" Number |
Ceilings(천장) |
0.02 |
R38~42 |
Walls(벽) |
0.05 |
R19 |
Floors over unheated spaces |
0.05 |
R22 |
Moderate Comforts Standard(보통 쾌적 표준) | ||
설치 부위 |
U-Value |
Insulation "R" Number |
Ceilings |
0.03 |
R30~33 |
Walls |
0.05 |
R19 |
Floors over unheated spaces |
0.05 |
R19~22 |
Minimum Comforts Standard(최소 쾌적 표준) | ||
설치 부위 |
U-Value |
Insulation "R" Number |
Ceilings |
0.05 |
R19 |
Walls |
0.07 |
R11 |
Floors over unheated spaces |
0.07 |
R13 |
설비들이 대충 마무리된 후, 단열재가 설치되어야 한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가정용 단열재는 광물질 섬유로 만들어지며 이를 유리섬유 또는 록울(rock wool)로 부른다. 이것은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바위나 화산암찌꺼기 또는 유리로부터 만들어진 매우 미세한 무기 섬유와 다른 물질을 혼합시킨 것이다. 석면(asbestos)은 전혀 사용되지 않는다.(인체에 흡입되면 폐에 건강상의 문제를 일으키므로 법적으로 규제를 받음)
사용 형태는, 탄성이 있는 솜형태,담요형태(겉포장이 있는 것과 없는 것)와 반강성/강성 보드형태(겉포장이 있는 것과 없는 것),그리고 현장에서 콘크리트처럼 단열부위에 붓도록 되어 있는 것(loose fill)등이 있다. 목조주택의 천장 또는 지붕 그리고 벽체단열에 주로 사용되는 안솜형태(batt)와 담요형태(blanket)의 단열재는 증기지연재로 포장되어 있으며 고정날개(테두리)를 갖고 있어 간편한 시공성을 고려한 규격화된 제품이다.
광물질 섬유보드 단열재는 크롤 공간벽의 안쪽 면에 사용될 수 있다. 성형된 광물질 섬유 파이프 단열재는 벽체 내부에서 노출되는 급수관이나 난방배관 등에 사용된다. 발포성 플라스틱 단열보드가 외벽의 덮개나 기초단열재,슬래브 주변 가장자리 단열재로 사용되기도 한다. 단열재와 가연성 증기지연재 표층은 절대 노출되어서는 안되고 마감재료로 덮여져야 한다. 통기성 종이는 가연성이며, 접근가능지역에 노출되었다면, 단열재가 제위치에 놓인 다음 덮여지거나 벗겨져야 한다.
단열재 설치위치
1) 생활공간과 인접한 차고,창고,지붕창의 벽,단차(split level)가 있는 천장위의 벽 부위는 시공중에 간과되기 쉽다. 즉,냉난방을 하는 공간과 냉난방을 하지 않는 공간 사이의 벽체는 단열처리한다.
| |
|
|
단열재 설치방법(기술)
적절한 단열재 설치는 주택의 쾌적한 주거환경을 부여하는데 필수적이다. 기대되는 성능을 부여하기 위해서는단열재의 품질관리가 필요하다. 단열재의 설치기술은 건축 방법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그 기본은 모두 동일하다. 복잡하지는 않지만 몇가지 세부사항은 중요하다.적절한 단열재 설치를 위한 몇가지 일반적 지침과 설치조언은 다음과 같다.
- 건물벽체,바닥,천장의 크고 작은 공간을 단열처리한다.
- 파이프나 관의 차가운 부위(겨울)에 단열재를 설치하거나 절연재의 뒷면을 약간 갈라서 파이프를 누르지 않도록 감싼다.
- 증기지연재 측면이 주택 내부쪽으로 위치하게 단열재를 설치한다.
- 안솜형태(batt)와 담요형태(blanket)의 단열재 테두리가 골조부재에 꼭 맞게 설치한다.
- 안솜형태(batt)와 담요형태(blanket)의 단열재 마구리가 서로 긴결되게하고, 골조에 적절하게 접합되어야 한다.
- 증기지연재(vapor retarder or building paper:일종의 방습지)의 터진 곳이나 찢어진 곳을 수선한다.
|
|
|
|
증기지연재(building paper,house wrap)
증기지연재는 응축되거나 얼어 붙을 수 있는 차가운 표면으로부터 수증기의 유입을 제한할 목적으로 벽체,천장,때로는 바닥에 사용된다. 4인 가족의 전형적인 집에서는 하루에 2~3 갤론(1gallon= 3.8ℓ)의 물이 생긴다. 이중 약 반은 인체의 호흡과정에서 신체로부터 배출되는 수분이며 나머지는 샤워,목욕,요리,설겆이,세탁, 기타 이와 비슷한 물을 사용하는 작업의 결과로서 생긴다. 여기서 나오는 수증기는 실내의 상대습도를 증가시킨다.
공기가 수증기 상태의 수분을 함유할 수 있는 능력은 기온이 떨어짐에 따라 감소한다. 공기속의 수증기 함량(습도)이 충분히 높거나 온도가 충분히 낮아지면 공기의 수증기 포화점(상대습도 100%)에 도달된다. 이 노점온도에서 공기중의 수증기는 액체상태로 응축된다. 이 응축현상은 수분을 함유한 공기가 차가운 표면과 접촉했을 때는 상대습도 100% 미만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 유리잔의 차가운 표면에 나타나는 응축현상이나 배기팬의 금속그릴 내부표면에 생기는 응축현상이, 바로 외벽체의 안쪽면에서 발생하는 응측현상에 대한 이유이다.응측되는 양이 적을 때는 눈에 거슬리는 사소한 것으로 넘길 수 있지만, 양이 많을 때는 건축자재의 열화를 가져올 수 있다.겨울철은 수분응축와 관련된 문제가 상대적으로 드문데, 이는 충분히 건조된 겨울철 공기가 스며들어 주택내에서 발생한 수분을 집밖으로 배출하여 제거하기 때문이다.
공기의 유입을 줄이기 위한 에너지 절약형 주택들이 건설되고 있는 시점에서, 겨울철의 수분에 의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증기지연재와 환기장치에 대한 신중한 주의가 필요하다.
외벽이나 천장과 같은 건물부위를 통해 따뜻하고 수분을 함유한 공기의 유입을 최소화해야 하는데는 충분한 이유가 있다. 겨울철, 구조체 내외부의 온도는 바깥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낮아진다. 수증기가 골조나 건축재료내에 응축되어 축적될 수 있을 만큼 온도가 내려갈 수도 있다. 이러한 수분응축현상이 반복되면 재료의 열화를 가져올 수 있다. 다락내의 덮개 안쪽같은 부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때로는 차가운 표면에 접한 수증기가 얼어 버리는 일도 생긴다. 문제는 얼음이 녹는 따뜻한 날씨에 실제적인 수분문제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수증기와 관련된 잠재적인 문제를 최소화하는데는 3가지 방법이 사용된다.
- 수증기의 흐름을 제한하기 위해 증기지연재가 사용될 수 있다.
- 주거공간내의 과도한 수증기 양을 줄이기 위해 충분한 환기 장치가 필요하다. 이는 역설적으로 에너지 낭비의 원인이 된다.
- 외기에 의하여 과도한 수증기가 분산될 수 있는 건물부위 환기가 필요하다.-- 바닥과 벽체부위 환기는 일반적으로 필요하지 않으며, 크롤 공간 위의 단열된 바닥부위와 겨울철의 난방으로 인하여 따뜻한 곳이 되는 외벽에는 증기지연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기가 양호한 지붕공간(다락공간)에는 천장의 증기지연재는 필요없을 수도 있으나 적절한 환기가 힘든 저물매(낮은 지붕 경사)의 지붕이나 평지붕 또는 성당형의 지붕 건축에서는 천장에 증기지연재가 필요하다.
설계온도가 겨울에 섭씨 영하 20도 또는 그 이하일 때,다락의 적절한 환기장치나 천장에 증기지연재 사용이 바람직하다. 지붕공간(다락공간)이나 천장에서의 수증기 응축문제는 매우 드문 현상이며, 응축현상이 발생하는 대부분의 이유는 부적절한 환기와 주택내의 과도한 수분발생 때문이다. 가습기의 과다사용,지하실 수분침투,크롤 공간 지면위의 증기지연재 부족,슬래브 아래 설치된 가열관으로 수분이 침투하여 생기는 것 등 그 원인은 다양하다.
적절하게 지붕공간(다락공간)을 환기할 수 있다면, 연소에 필요한 공기가 부족한 주택내의 천장에 증기지연재를 설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가스나 기름을 사용하는 난방기구 등에서 배출되는 공기 등은 실내의 수증기를 제거하는데 도움을 준다. 반대로 전기로 난방되는 주택(연소에 필요한 공기가 필요하지 않다>)의 경우에는, 천장에 증기지연재를 사용시 많은 수분이 생성되어 제습기의 사용이 필요할 수도 있다.
천장에 증기지연재 대신에 0.1mm 폴리에틸렌 필름을 벽 깔도리와 샛기둥의 내부 표층과 ,천장장선 또는 트러스의 하부에 스테이플로 고정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것은 증기지연재로 표층처리한 안솜형태(batt)와 담요형태(blanket)의 단열재보다 더욱 효과적인 증기지연재로 간주될 수 있다.
단열이 잘 되어 있는 주택은 공기 유입량이 현저히 적고, 겨울철의 건조한 공기가 수증기를 희석하는 효과가 줄어들기 때문에 상대습도는 증가하고 응축이 일어나기 쉽다. 반면, 이런 주택은 따뜻한 내부표면온도 때문에 응축이 일어날 경향이 줄어든다. 이렇듯 응축과 관련된 두 요소, 즉 상대습도와 온도는 서로 상쇄되는 경향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