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스크랩] 시공공정--설비공사

김프로님 2007. 11. 30. 19:04

설비

연도(굴뚝 또는 보일러의 급.배기관),난방 및 전기시설의 설치는 벽체의 공간들이 열려있고 접근 가능할 때 시행되어야 한다. 이들은 최종적으로 벽에 은폐되므로 적절한 방법에 의한 규정공사가 필요하다. 또한 냉난방시설의 자동온도 조절장치,전화잭,초인종,케이블 방송단자(위성방송 단자포함),인터넷사용을 위한 Home LAN 접속단자(port)등은 방의 사용계획이나 가구의 배치에 따라 추후 계획이 요구된다. 특히,벽난로,난로 및 굴뚝의 설치는 안전성 및 효율성과 관련된 구조적 문제들을 고려해야 한다.

벽난로

난방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벽난로는 열효율이 10%에 불과하므로 호사스러운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따라서 벽난로는 장식적인 설비로 간주된다. 공장제작 순환식 벽난로의 설치는 열효율을 높일 수 있다. 벽돌로 둘러쌓인 금속설비는 직접적인 열과는 분리된 시스템을 통하여 가열된 공기가 방을 순환하도록 하게 한다.

 

 

 

 

  • 벽돌벽난로
    1) 일반적으로 벽난로의 깊이는 개구부 높이의 2/3정도 되도록 권고된다. 그러므로 벽난로의 높이가 76.2cm라면 개구부의 뒷면 깊이는 50.8cm가 되어야 한다.
    2) 굴뚝의 높이가 4.6m 또는 그 이상일 때, 연도면적(내부 면적)은 벽난로 개구부 면적(폭x높이)의 최소 1/10 이 되어야 한다. 굴뚝의 높이가 4.m 미만인 경우에는 연도면적은 벽난로 개구부 면적의 1/8 이 되어야 한다. 굴뚝의 높이는 스로트(throat:굴뚝의 아귀)에서 굴뚝 끝까지의 길이로 측정된다. 예를 들면, 굴뚝 높이가 4.6m 이상이고 ,폭이 76.2cm(2'6"), 높이가 61.0cm(2')인 벽난로는 8"x12"연도가 필요하며, 이때 내부면적은 0.05㎡가 된다. 12"x12"연도 라이너의 면적은 대략 0.08㎡이므로 굴뚝 높이가 4.6m이상일 때, 개구부의 크기가 3'x2'6"일 때 알맞다.
    3) 앵글은 벽난로 개구부의 벽돌을지지하는데 사용된다.
    4) 벽난로 내부의 바닥,측면,후면은 내화벽돌과 같은 내화성 재료로 축조되어야 한다.
    5) 벽난로로부터 실내쪽으로 최소 40cm(16")까지의 바닥은 철근콘크리트 슬래브로 지지하여야 하며, 날아다니는 불꽃에 대한 보호조치로서 유리타일과 같은 불연성재료로 마감한다.
    6) 벽난로의 후면폭은 전면보다 보통 15.2cm(6")~20.3cm(8") 정도 좁다. 이는 화염이 뒷면으로 향하도록 하는데 도움을 준다. 뒤의 수직벽은 벽난로의 상부나 스로트를 향하여 높이 35.6cm(14") 정도에서부터 급경사로 좁아진다.
    7) 스로트의 면적은 환기가 원활히 되도록 연도면적의 1-1/4~1-1/3배 정도 되어야 하며 개구부의 조절을 쉽게하기 위해 이 부분에 조절식 댐퍼(volume damper: 풍량 조절용 그릴이 설치된 것)가 사용된다.
    8) 훈연선반(스로트 꼭대기)은 역풍을 방지하는데 필요하다. 훈연선반의 높이는 벽난로 개구부의 상단으로부터 약 20.3cm(8")위에 있어야 한다. 이 훈연선반은 스며들 가능성이 있는 작은 양의 빗물을 담기위해 오목한 모양으로 되어있다.
  • 공기순환식 화로
    1) 금속제 공기순환식 화로의 사용으로 벽난로의 열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 설비는 화로의 측면과 후면이 있고 여기에 스로트,댐퍼,훈연선반 및 훈연실이 추가되어 구성된다. 순환장치의 측면과 후면은 이중으로 되어 있으며,공기가 가열되는 공간을 감싸고 있다. 찬 공기가 바닥근처의 공간으로 들어와서 달궈진 금속에 의해 가열되어 상승한 후, 상부에 있는 통풍장치를 통하여 방에서 순환하게 된다.
    2) 공기순환식 화로는 또한 연기가 방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굴뚝으로 빨려 들어가는 공기의 양은 많으며 이는 보통 주택의 틈새를 통하여 들어오는 찬공기로 대체된다. 그러나 현대식 밀폐된 주택에서는 공기유입을 감소시키는 코킹과 기밀편 사용으로 인해 굴뚝에서의 순환을 방해하여 연기가 방으로 들어오게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 문제는 공기순환식 화로의 설치로 해결할 수 있는데, 이 설비는 방공기가 화로속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아주는 벽난로 프런트를 가로지르는 유리문을 따라 설치된다.
    3) 이 화로는 철근콘크리트상에 놓인 내화벽돌 바닥 위에 설치된다. 굴뚝 연도는 화로 끝에서 시작하여 방을 마주보게 되며, 장식벽돌이 이 설비의 개구부 주위에 붙여진다. 열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작은 송풍기가 설치되며 흡배기구는 장식용 살대로 덮여지게 된다.
  • 조립식 화로
    1) 공장에서 만든 벽난로는 노에서 굴뚝덮개에 이르기까지 모든 벽난로와 굴뚝부재를 포함한 상태로 구입된다.
    2) 이 설비는 골조에 가설되므로 zero-clearance라 불린다.
    3) 이러한 설비는 전문시험기관(UL,Warnok-Hersey,PFS)으로부터 용도에 따른 안전품질인증표시를 부여받는다.
    4) 이 설비에는 금속제벽이 있으며 과열로부터 목구조물을 보호하는 단열장치가 있다. 보통 댐퍼,철망,유리문,환풍기 및 공기 흡입구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가운데 일부 구성품은 자유롭게 설치가능한 이동형이다.
    5) 이 설비의 단열보강된 금속제 굴뚝관은 주택의 목재 샛기둥 굴뚝내에 설치될 수 있다.
     

 

 

난로

다양한 형태의 이동식 난로가 있다. 벽난로 개구부에 들어가도록 설계된 형태의 것도 있다. 공기의 유입은 호율적으로 천천히, 그리고 벽난로에서 보다 완벽한 연소가 되게 하고 굴뚝으로 방안 공기가 들어가는 손실이 거의 없도록 조절될 수 있다.  기밀성 난로는 30~40%의 연소효율을 낼 수 있다.(가스난로는보통 80%효율)
철이나 주물로 만든 난로도 있으며, 열을 복사하는 형식이다. 얇은 철제 자켓으로 둘러싸여 난로와 자켓사이에 공기가 순환하도록 하는 형태의 것도 있다.냉각된 자켓의 외부는 바람직한 안전설비의 역할을 한다. 환기구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어 난로와 자켓 사이에 머물게 되면 대류에 의하여 방이 가열되게 된다. 순환을 촉진하기 위하여 환풍기가 사용되기도 한다. 어떤 형태의 설비에서는 가열된 공기를 모아서 환기구를 통하여 다른 방으로 보내기도 한다. 이러한 설비는 전문시험기관(UL,Warnok-Hersey,PFS)으로부터 용도에 따른 안전품질인증표시를 부여받는다. 목재 및 다른 가연성 재료는 뜨거운 난로와 가연성 재료와의 직접적인 접촉 없이도 인화점까지 가열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한다. 가연성 재료를 착화하는데 필요한 열이 대류와 복사에 의해 전달될 수 있으며 벽돌과 같은 불연성 재료를 통하여도 전달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1) 난로는 단열처리된 금속/벽돌 연도에 결합될 수 있다.
    2) 관의 단열-단열되지 않은 금속관 등이 벽,천장 또는 골조를 관통하거나 접촉할 때.곤통부 및 접촉부의 모든 부위는 적어도 15.2cm(6")의 유리섬유단열재로 둘러싸야 한다. 유리섬유단열재는 표면을 종이로 해서는 안된다. 시멘트,돌,벽돌이나 석면은 이 단열재의 대체재로 사용할 수 없는데, 그 이유는 이 재료들이 인화점까지 이르는 충분한 열을 인접한 가연성 재료로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3) 클레이 심블-클레이 심블은 콘크리트 블록이나 다른 불연성 벽돌에 직접 발라서는 안된다. 심블,벽돌 또는 양쪽 재료 모두에 균열이 가서 벽돌의 공극내에서 온도가 상승하여 목재토대에 착화될 수 있다. 불연성 블록이나 벽돌을 통한 열의 이동에 대해서 단열처리된 철제관이 사용되어야 한다. 대체 방법으로는 두 관 사이의 공간을 유지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을 사용하여 철제관이 심블을 통하여 지나가도록 할 수 있다. 이 공간은 방바닥에 대해 열려 있어야 한다.
    4) 벽으로부터의 안전거리-여러 형태의 난로를 만드는 제조업자들은 제작된 난로에 대해 안전하다고 판단되는 벽과 다른 가연성 재료와의 거리를 규정해 놓고 있다, 이 규정은 다음에 따라야 한다.
    일반적으로 이동식 난로는 석고보드와 반장짜리 벽돌로 둘러쌓인 샛기둥을 포함한 가연성 재료로부터 최소 91.4cm(3')이상 떨어져 있어야 한다. 만일 난로가 제조자에 의해 규정된 거리보다 짧은 거리에 벽이나 다른  가연성 재료가 설치되어 있을 때는 철제 열차단막이 난로와 이들 재료 사이에 놓여져야 하며 차단막의 양쪽에 공간을 두어야 한다.
    5) 천장에서부터의 안전거리- 단열이 안된 철제 연도관은 천장에서 91.4cm(3')이상 떨어져 있어야 한다.
    6) 로- 이동식 난로는 벽돌 또는 콘크리트 바닥 위에 설치되어야 한다. 표준 7cm두께의 벽돌이나 7cm두께의 콘크리트가 사용된다. 난로제작자의 난로 설치방법이 제시된 경우에만 다른 형태의 노가 사용될 수 있다.

 

 

굴뚝

굴뚝은 이에 맞는 기초에 의해 지지되는 벽돌이나 경량단열금속관으로 만들어진다. 굴뚝은 구조적으로 안전해야 하며,벽난로,난로나 다른 연소시설에 대해 충분한 환기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금속연도관은 UL등의 전문시험기관에 의해 공인된 인증표시가 부착되어 있어야 한다.

    1) 굴뚝은 하중에 대하여 충분한 면적,깊이,강도를 가진 콘크리트 기초상에 설치되어야 한다. 이 기초는 주택의 구조부재를지지하거나 구조부재에 의하여 지지되어서는 안된다.
    2) 각각의 난로는 각자의 연도를 가져야 한다. 최상의 기능을 위해서 연도는 연도 사이에 놓인 10cm폭의 벽돌(0.5B)간격재에 의해 분리되어야 한다.
    3) 연도의 크기는 벽돌의 전재장이 연도라이닝을 덮는데 이용될 수 있도록 벽돌의 폭과 길이에 맞추어야 한다.
    4) 충분한 환기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굴뚝의 높이와 연도의 크기가 중요한 인자가 된다. 굴뚝의 연기와 외부환경과의 온도차가 클수록 환기는 더욱 좋아진다. 주택골조내에 축조된 굴뚝은 외벽에 축조돈 굴뚝보다 환기가 더 좋은데 이는 벽돌이 열을 오랫동안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5) 지붕선 위의 굴뚝 높이는 지붕마루와 관련되어 굴뚝의 위치에 따라 다르다. 굴뚝이 지붕마루로부터 3m 이내에 위치하면 연도라이너의 끝은 지붕마루보다 최소 61cm(2')정도 올라와야 하며, 3m 너머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지붕선의 맞닿는 가장 높은 위치에서 91cm(3') 정도 올라와야 한다.
    6) 평지붕 및 저물매의 경사가 낮은 지붕에서는 굴뚝은 지붕의 가장 높은 곳보다 최소 91cm(3') 이상 높이 올라와야 한다,
    7) 벽돌과 연도 라이닝 사이에 물이 새지 않도록 콘크리트 캡이 벽돌의 위층을 덮는다, 시멘트워시로 된 프리캐스트  또는 석제캡이 사용되기도 하다.
    8) 굴뚝의 비흘림은 지붕마감 참조
    9) 벽돌로된 굴뚝은 목재골조,바탕바닥, 기타 가연성 재료로부터 분리되어야 한다.
    10) 골조부재와는 최소 5cm정도 떨어져야 하며, 각 마루에 화염막이를 하여야 한다,
    11) 바탕바닥,지붕덮개 및 벽덮개와는 최소 19mm정도 떨어져야 한다.
    12) 벽난로 및 다른 고체연료 연소장치에는 굴뚝의 바닥에 청소구 문이 있다. 이 로의 연도에 대한 청소구 문은 보통 배관심블 바로 아래 위치하며 재를 수집하는 충분한 공간을 갖는다.
    13) 연도 라이닝- 보통 사각형의 연도 라이닝이나 원형의 유리타일이 굴뚝의 연도에 사용된다. 사각형의 연도 라이닝은 61cm(2')길이로 제조되며  8x8에서 24x24까지 다양한 치수가 있다, 라이닝의 벽두께는 연도의 크기에 따라 다르다, 작은 라이닝은 16mm두께의 벽을 갖는다, 보다 큰 치수는 19mm에서 35mm까지 두께가 다양하다, 가열설비의 연도에는 대부분 직경 20.3cm의 유리타일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보다 큰 치수도 사용가능하다. 이런 형태의 타일은 벨조인트를 갖는다, 연도 라이닝은 로에서 배연관을 연결하는 심블 아래 최소 20.3cm지점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벽난로에서 연소 라이너는 스로트 끝에서 시작하여 굴뚝 꼭대기까지 이르게 된다. 연도 라이너는 벽돌작업에 앞서 설치되어야 하며 벽돌을 쌓아감에 따라 몰탈을 조심스럽게 발라 긴밀하고 부드러운 접합부가 되게 한다. 대각선 들여쌓기가 필요한 경우,긴밀한 결합이 되도록 방향이 바뀌는 지점에서 경사지게 되어야 한다. 인접 타일간에는 결합부를 분산시켜 배치하는 것이 좋다,
    14) 단열금속굴뚝- 단열금속굴뚝은 30.5cm(1')에서 91.4cm(3')길이의 관형태로 제조된 것이다. 긴 관을 형성하기 위해 각 부재가 결합된다. 3중 벽관은 3개의 파이프로 구성되며, 이들 사이에 공간이 있어 이 공간내에서 열을 제거하는 공기가 순환하게 된다. 내부 파이프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조되며, 외부 파이프는 아연도금된 것이다. 석면 단열재를 지닌 이중 벽관 스테인리스 스틸로 구성된 형태도 있다. 이 2가지 형태의 굴뚝은 T,벽지지대 및 팔대,지붕지지대 및 비흘림,스톰콜라(storm collar),연도속으로 비가 들어오는 것을 막는 덮개 및 불꽃잡이를 포함한 부속장치를 완전히 구비한 형태로 유통된다. 굴뚝이 외부에 완전히 노출되거나 목재굴뚝으로 둘러싸이기도 한다.  굴뚝의 꼭대기는 5cm의 사각형 또는 그 이상인데, 아연도금 비흘림으로 덮이며 이를 통해 단열금속관의 마지막 부분이 돌출된다. 연도에서 불로 인해 균열이 가는 점토질 연도와는 달리 금속굴뚝은 불에 의한 균열이 가지 않는다.

 

 

 전기설비

분기회로는 건물 내의 저압 옥내 간선(인입구에서 전기 분전반까지의 배선)으로부터 분기하여 전기 기기에 이르는 저압 옥내 전로와 분전반으로부터의 전선등을 말한다. 주택에 공급되는 전기방식은 220V 단상2선식이며, 배선에 사용되는 전선은 600V 비닐절연전선(IV)이다. 누전으로 인한 감전사고와 전기화재 등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반드시 누전차단기를 설치하여야 하는데,전기용품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정하고 있는 감전보호용 누전차단기는 정격감도전류30mA이하,동작시간 0.03초 이애에 동작해야 하므로 주택에서는 이것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220V인입   arrow21_R.gif

전력계    arrow21_R.gif

분전반    arrow21_R.gif

분기회로   arrow21_R.gif

전등
콘센트
스위치

분기회로의 종류

주택의 분기회로 일반(전선 굵기)

종별

전선 굵기(mm이상)

15A 분기회로

전선길이 20m이하 전회로

직경 1.6

전선길이 20m초과
30m이하

최초의 수구 또는 수구에 이르는 분기점까지

직경 2.0

기타

직경 1.6

전선길이 30m초과

수구 1개에 이르는 경우 제외

직경 2.0

주택의 분기회로수

주택 면적(㎡)

최소 회로수

권장 회로수

 

전등 전용

콘센트 전용

50이하

2

1

2

3

70이하

2~3

1

3

4

100이하

3

2

4

6

130이하

3~4

2

6

8

170이하

4~5

3

7

10

분기회로 설치시 고려사항

  1. 건물의 평면계획을 고려하여 배선하기 쉽도록 회로를 나눈다.
  2. 같은 실 또는 같은 방향의 아우트렛(outlet-흔히 콘센트라고 부른다.)은 될 수 있는 한 1회로로 모아 배선하고 교차시키지 않는다.
  3. 전등,아우트렛 회로는 보통 15A분기회로로 한다.
  4. 계단 전등,복도 전등은 될 수 있으면 동일 회로로 한다.
  5. 습기가 있는 곳의 아우트렛은 단독 회로로 별도 설치한다.
  6. 각 분기 회로의 부하는 균형(balance)을 좋게 한다.

 콘센트 위치와 설치수

실의 크기

1.5평

2.5평

3평

4평

5평

6평

부엌

표준

1

2

2

3

3

3

2

권장

2

2

3

4

5

5

4


출처 : 농목수의 목조건축 이야기
글쓴이 : 농목수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