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둥의 종류
■ 단면형에 따른분류 네모 기둥(사각 기둥), 두리 기둥(원 기둥),
다각형 기둥(육모, 팔모 기둥)

■ 외관상에 따른분류 민흘림 기둥, 배흘림 기둥, 직립주

■ 위치상에 따른분류 안두리 기둥(내진주), 변두리 기둥(외진주),
귓기둥(모서리 기둥)
모서리에 있는 기둥은 귓기둥(모서리 기둥) 또는 통칭 우주라고 부른다. 공간의 위치에 따른 명칭으로 안두리 기둥(내진주)과 변두리 기둥(외진주)이 있다. 그 외에 처마기둥, 면기둥, 회첨기둥, 툇기둥, 수장 기둥 등이 있다. |

|
■ 높이 따른분류 평주, 고주, 활주
■평주 : 기둥이 한 층 높이로 된 것. ■고주 : 고주는 한 층에서 일반 높이의 기둥(평기둥)보다 높아 동자주를
겸하는 기둥. ■할주 : 추녀뿌리를 받친 기둥으로 단면은 원형 또는 팔각형이 많다.

▣ 기둥의 조형 의장 기법
■안쏠림, 배흘림, 귀솟음 등의 기법이 이용되는데, 이것은 착시를
교정하기 위한 기법이다.

지붕
▣ 장연과 단연
■ 단연 : 종도리에서 중도리까지 짧은 서까래가 걸리는 부재. ■ 장연 : 중도리에서 주심도리에 걸리는 서까래는 처마의 깊이
때문에 매우 긴 서까래가 걸리는데 이를 장연이라고 부른다.

▣ 도리 및 부연
■ 도리 : 도리는 구조부재 중에서 가장 위에 놓이는 부재로
서까래를 받는다. 가구구조를 표현하는 기준이 되며 도리의
높낮이에 따라 지붕물매가 결정된다. 지붕의 하중이 최초로
전해지는 곳이 도리이며 도리에 전해진 하중은 보와 기둥으로
전달된다. ■ 부연 : 겹처마인 경우에는 서까래 끝에 짧은 서까래가
하나 더 올라가는데 이것을 부연이라고 한다.

▣ 박공과 풍판
■ 박공 : 맞배지붕이나 팔작지붕의 합각부분에 'ㅅ'자 모양 으로
걸린 판재이다. ■ 풍판 : 풍판이란 맞배지붕의 측면에서 박공 밑에 대는 비바람
막이 판이다.

▣ 지붕 의장 기법
■ 조로 : 조로란 입면상에서 수직면 위쪽으로 네 귀를 쳐
들리게 하는 것.

■ 후림 : 후림이란 평면상에서 지붕의 수평면의 네 귀를 뻗게하고
안으로 후리는 것을 말하며, 처마선을 안쪽으로 굽게하여 날렵하게
보이도록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