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스크랩] Lean 건설(건축시공 용어 80회)

김프로님 2009. 3. 22. 19:49

문제) Lean건설(건축시공 용어 80회)


1. 개 요

  1) Lean construction(린건설)이란 건설 프로젝트를 하나의 생산과정으로 보고 그 과정에서  발생되     는  전반적인 낭비요소들을 도요다생산방식(TPS: Toyota production system) 이 제시하는 여러기법들을 건설프로젝트 현실에 맞게 응용하여 체계적인 개선을 꾀하는  것으로 건설관리학계에 하나의 연구 분야로 자리잡고 있다.

  2) Lean 건설 방식은 세부작업 단위의 작업 정의를 통하여 작업 선후행간의 규칙적인  연결을 기준으로 공정계획을 수립,관리함으로써

    (1) 재고의 최소화         (2) 낭비의 최소화

    (3) 관리능률향상          (4) 변이 관리능력 향상

    (5) 공기단축              (6) 비용절감 효과

    (7) 특히 현장세부 작업과 설계 및 자재를 Pull 방식으로 연계하여

    JIT(Just in-Time) 입고 및 설치를 구축하여 신뢰도 중심의 운영평가를 중시한다


2. Lean 건설 생산방식

   1) Pull 방식에 의한 자재입고

      (1) 현장이 필요로 하는 자재를 필요할 때에 필요한 만큼 생산할 것을 권장한다.

      (2) 이는 자재의 불필요한 재고를 최소화 할뿐만 아니라 건설프로젝트 특성상 설계 변경 및 돌발 상황에 의해 생기는 자재의 장시간 야적과 누락을 막을 수 있다

      (3) 이를 위해서는 자재가공 및 조립. 시간의 표준화 및 로트 싸이드 리드타임의  단축이 중요하다.

   2) 흐름위주의 협업자업 구축

      (1) 현장의 여러 선후행 작업자들 간에 작업의 연속성을 중시하고 이러한 작업속도 의 유지를 통한 공기단축가능

      (2) 작업 착수전 제약요인 분석은 정기적으로 실시하여 준비 항목을 추려내고 실천  통해 상호이행 작업을 실천한다

   3) 선후행 작업자간 협업관리

      (1) 기존 EVM 방식은 계획 단위의 작업들을 대상으로 진도지수/원가지수를 측정하 여 공사관리를 행한다.

      (2) 다양한 작업자간 연결된 세부준비 작업들은 작업자간 협업관리에 의해서 계획대 로 실행되어야만 해당공사 공기 및 공사비 관리가 가능할 것이다

   4) 현장세부작업과 자재의 연계

      (1) 현장의 작업  프로세스들을 세부작업 단위에서 계획하고 이작업들과 자재의

          조달 프로세스(주문,조립,가공,운송,입고)를  직접 연계하여 관리하여야한다.

      (2) 즉 자재를 대량 주문이 아니고 세부작업에 필요한 만큼 자재를 주문한다.

      (3) 이를 위해서는 현장 및 조달 Process들의 표준화가 중요하다

   5) 신뢰도 중심의 핵심성지수 (KPI: Key Per-formance index)로 성과측정

      (1) 자재의 pull방식 입고 및 선후행 작업자들간의 연속 흐름의 체계구축 그리고

          이의 세부작업단위에서의 운영 및 관리를 위해서 EVM 중심이 아닌 신뢰도 중심 의 평가를 중시한다.

      (2) 현장 일일작업 신뢰도 (PPC: Planned percent complete) 및 자재 야적 대기

          시간 등의 KPI를 통해 현장 공정 진도를 평가한다.


3. Push 방식과 Pull방식

   1) Push 방식

     (1) 개념

        ① 대량 생산 방식을 Push 방식이라고도 하는데 포드식 대량 주의에 입각한 방식 으로 재고를 쌓아주고 생산하는 방식이다.

        ② Push 방식은 수요예측을 통해 자재소요 계획을 짜고 그에 상응하는 원자재 를 일괄처리 형식으로 조립라인에 투입한도 각기계의 단위처리 수용량이 다르기마련이므로 자연히 재고가 누적되며 처리를 대기하는 줄이 형성된다

     (2) Push방식 특징

        ① 수요가 안정된 경우 저비용으로 단일품종의 대량 생산에 이상적이다

        ② 하지만 Push 방식은 각각 기계의 1회 작업처리량은 많지만 모든 기계통과해서  완성제품이 나오기까지 Lead Time은 길어진다.

  2) Pull 방식( Lean생산방식)

     (1) 개념

        ① 재고를 최소화 하기위해서 고객의 주문 발생에 의해서만 생산이 개시 되는 것이다.

        ② 로트 size가 큰 하나의 주생산 line을 지양하고 여러개의 작업셀(work cell) 을 구축하여 각 cell은 한가지 품종만 전담 생산해낸다

        ③ 하나의 cell은 다기능 작업 팀(cross functional team)으로 구성되어 완제품   까지 여러생산 과정을 독자적으로 처리한다

     (2) 특징

        ① 재고를 최소화하고 연속 흐름 생산이 진행된다

        ② 로트 size를 최소화하고 준비시간 단축 작업장간 부하 균일화 가능

        ③ 부품과 작업방식의 표준화 납품업체와의 유대강화를 지속적 개선의 목표로  삼았다

        ④ 수송재고가 감소하고 대기 또는 유휴시간 없애고 lead time 줄여준다

        ⑤ JIT(Just in time) 실현위해 필수적인 조건인 단시간 다품종을 생산해 낼수  있는 체계가 가능하  다


4. 린건설 적용방안

  1) 실천위한 운영체계

       (1) 현재 대부분 EVM 방식 및 CPM을 근거로한 공정관리 시스템을 기본으로

            사용하고 있다.

       (2) 세부 단위에서 작업들을 정의하고 이를 자재 조달 프로세스와 연계하여 관리  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2) Push/Pull방식 혼용체계 구축

       (1) 린생산 방식에서는 자재의 가치 흐름 전반에 풀방식의 적용을 이상적으로 보고  있으나 현실적으로는 Push/Pull 방식의 적당한 혼합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3) 적정한 안전재고 확보

      (1) 린생산방식은 궁극적으로 무재고(zero inventory)를 지향하지만 건설에서는

          불확실성 때문에 어느정도의 안전재고( Safety burrer)를 확보해야하는 현실측  면도 있다

       (2) 현장 조건을 고려한 재고량을 최소화 하는 방향으로 설정되어야한다

   4) 발주자 및 원도급자의 주도적 역할

      (1) 발주자가 주도적 역할을 하여 시공사들이 효과적으로 일할수 있는 기반을 마련    해 주어야한다.

      (2) 새로운 기법을 성공적으로 실행하기 위하여 발주자 또는 원도급자의 리더십이  가장 중요하다


5. 결 론

출처 : ♧♡아름패밀리。
글쓴이 : 늘상쾌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