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 고전건축 변천사
에게해 지방에서는 일찍부터 독자적인 문명이 전개되었고 크레타섬에서는 B.C.2000년경부터 도시적인 미노스 문화가 번창하였다. 크레타의 궁전으로는 크노소스 왕궁이 대표적인데 이 왕궁은 가운데에 직사각형의 커다란 뜰이 있고, 그것을 둘러싸고 여러 종류의 방들이 불규칙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아래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목조의 원기둥을 특징으로 한다. B.C.1400년경부터는 그리스 본토를 중심으로 미케네 문명이 번영하였는데 미케네적 특색은 특히 건축에 잘 나타나 있다. 크레타와 달리 미케네의 궁전은 언덕 위에 거석의 성벽을 특징으로 하는 거대한 성(城)을 건설하였으며 미케네나 티린스의 산성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에게 문명을 계승한 그리스인은 동쪽은 이오니아에서, 서쪽은 남(南)이탈리아와 시칠리아에 걸쳐서 고전문화의 꽃을 피웠다. 건축구조는 하중(荷重)과 지지(支持)와의 관계를 조형적으로 세련시켜, 명석하게 표현하는 기둥과 대들보의 구성을 발전시켰다. 이 기둥과 그 위에 얹히는 수평재의 배열형식을 오더(order)라 하고, 오더는 이것을 조성하는 각 부의 비례관계나 기둥머리의 형태에 따라 3가지로 구분된다. 즉 고대 그리스에는 남성적이고 간소한 도리아식, 여성적이며 우아한 이오니아식, 섬세하고 장식적인 코린트식이 있다. 그리스 건축의 대표적인 예로는 도리아식으로 헤라이온 신전, 페스툼의 포세이돈 신전, 제우스올림포스 신전 등이 있고, 이오니아식으로 아테네의 에레크테이온 신전, 아르테미스 신전, 코린트식에 아테네의 올림피에이온 신전 등이 있다. 아테네 아크로폴리스의 파르테논 신전은 도리아식의 이오니아화를 통해서 그리스 정신의 명석성을 우아하고 아름다운 조화에 의하여 결정(結晶)시킨 영원한 예술작품이다. 로마시대에 와서는 건축의 사상·조형·기술 등이 크게 전환되었다. 로마의 건축은 기둥과 들보로 되는 그리스 건축의 구성과, 에트루리아의 성문이나 분묘에 쓰이고 있는 아치형을 채용함으로써 기념비적인 건축을 건조하였다. 오더의 양식에서는 그리스의 3가지 양식 외에 이오니아식과 코린트식의 기둥머리를 합친 콤포지트 양식, 도리아 양식의 변형인 투스칸 양식이 생겨났다. 구조면에 있어서는 아치형의 채용에 수반해서, 벽돌이나 돌을 가루로 만든 일종의 시멘트가 건축공업에 쓰이게 되어, 거대한 건축의 건조를 가능하게 했다. 가장 대표적인 콜로세움은 80년에 완공된 타원형의 투기장으로 벽돌과 콘크리트를
그리스 건축
1. 개요
에게시대의 미노아와 미네케가 붕괴된 후 그리스 문화가 본격적으로 형성된 B.C.1100년경부터 로마제국에 의해 정복된 B.C.30년까지, 서양문화의 근원인 그리이스의 헬레니즘 문화를 배경으로 고대 그리스에서 전개된 건축양식으로서 로마 건축과 함께 고전주의 건축의 원형적인 양식.
2. 건축 양식의 특성
1) 건축 재료
① 지중해 연안의 풍부한 석재를 건축의 주재료로 이용.
② 특히 양질의 대리석을 정교하게 가공하여 사용.
③ 지붕의 마감재료는 테라코타, 얇은 대리석판 기와 등을 사용.
④ 석재를
⑤ 기둥은 석재, 보는 석재 또는 목재를 이용.
⑥ 석재 가공기술의 발달로 주범양식이 개발됨.
2) 외부 공간의 발달
① 그리스인들은 온난한 기후를 즐기기 위해 야외생활에 치중.
② 활발한 야외활동을 수용하는 개방적인 외부 공간이 발달.
③ 건물 자체의 내부 공간 보다는 건물에 의해 형성되는 외부 공간에 관심.
3) 건축 형태
① 외부 공간 구성요소로서의 건물기능을 중시하여 조직적 형태의 건물을 추구.
② 건축물의 공간미보다는 형태미를 추구하여 건물 외관에 치중.
③ 주범을 기본으로 하는 비례의 조화와 균형을 바탕으로 한 형태미를 추구.
4)주범 양식
① 도리아식 주범
- 가장 오래된 주범양식으로 고대 이집트 베니핫산의 아멘엠헤트 암굴분묘의 16각 석주에서 유래.
- 가장 단순하고 간단한 양식으로 직선적이고 장중하며 남성적인 느낌.
- 주신에는 착시현상의 교정을 위해 배흘림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골줄을 새겨 입체감과 수직성을 강조.
- 주초가 없슴.
② 이오니아식 주범
- 소용돌이 형상의 주두가 특징.
- 우아, 경쾌, 유연감을 주며 곡선적이며 여성적인 느낌.
- 주초가 있고, 배흘림이 약하며 주신에 골줄을 새김.
③ 코린트식 주범
- 주두를 아칸더스 나뭇잎 형상으로 장식.
- 세가지 주범 양식 중 가장 장식적이고 화려한 느낌.
3. 에게(Aege) 시대의 건축
1) 개요
① 에게시대는 본격적인 그리스 문화가 형성되기 이전의 시기로서 개략적인 시기는 B.C.3100~1100년에 해당.
② 에게문화는 그리스 헬레니즘 문화의 선구적 역할.
③ 에게시대는 미노아 시대와 미케네 시대로 구분.
2) 미노아 건축
① 미노아 시대(B.C.3100~1600년)의 건축.
② 미노아 문명은 지중해의 크레테섬에서 발생하여 이집트와 문화 교류가 활발.
③ 바다에 의해 천연적인 방어망이 구축된 해양국가였으므로 개방적인 건축 형식을 취함.
④ 미노아 문명은 미케네인들에 의해 그리이스 본토에 전래.
⑤ 건축 실례
• 크노소스 궁전 : B.C.1600~1400년, 중정형 평면의 궁전으로 주신이 하부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독특한 기둥을 사용.
• 카마이지의 타원형 주거 : 카마이지
3) 미케네 건축
① 미케네시대(B.C.1600~1100년)의 건축.
② 그리스 본토에서 건국된 미케네는 미노아를 점령하고 미노아 문명을 그리스 본토에 도입.
③ 건축 실례
• 티린스 궁전 : B.C.1400~1200, 중앙에 왕의 거실인 메가론을 중심으로 모든 방을 배치.
• 미케네 궁전
• 아트레우스의 보고 : B.C.1300년
• 사자문 : B.C.1250년
4. 신전건축
1) 재료 및 구조
① 석조 가구식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보는 목재를 사용하기도 함.
② 지붕틀은 목조, 지붕은 테라코타 또는 대리석판 기와로 마감.
③ 배치 및 평면계획
- 도시의 아크로폴리스 지역에 위치.
- 건물배치의 장축이 동서방향에 일치.
- 평면 양식은 미케네 시대 왕의 거실이었던 메가론에서 유래.
- 제단, 전주랑현관, 신상실, 후주랑현관, 보고실 등으로 구성.
- 열주형식에 의한 평면분류.
• 단열주식 : 열주가 한 열.
• 복열주식 : 열주가 두 열이상.
• 전열주식 : 신전의 전면에만 열주가 위치.
• 전후열주식 : 신전의 전후면에 열주가 위치.
• 주주식 : 신전의 전후양측 사면 모두에 열주가 위치.
• 원주식 : 열주가 원형으로 위치.
④ 건축 형태
- 외부 공간 구성요소로서 건물의 형태미를 추구.
- 그리스 신전은 공간보다는 형태를 중시한 조각적 형태의 건축.
- 외관을 구성하는 주요 시각적 요소는 기단, 열주, 돌림띠, 박공.
• 기단
• 열주 : 각각의 기둥은 주두, 주신, 주초로 구성됨.
• 돌림띠 : 코니스, 프리즈, 아키트레이브의 세부분으로 구성됨.
• 박공
- 가구식 구조이므로 직선이 형태의 주요소
• 열주 : 수직선적인 형태의 주요소.
• 기단, 돌림띠 : 수평선적인 형태요소.
• 박공 : 수직선과 수평선의 종합으로서 사선적인 형태요소.
• 주두 : 수직선과 수평선의 결합점으로 시각적인 완충역할.
⑤ 착시교정 기법
- 그리스 신전 건축은 형태미를 중요시 했으므로 완벽하고 이상적인 건축형태의 표현을 위해 착시현상을 미리 교정.
- 배흘림(Entasis)
• 수직의 평행선인 경우 중앙부가 오목해 보이는 착시현상이 발생.
• 기둥의 중앙부가 가늘어 보이는 것을 교정하기 위해 기둥중앙부의 직경을 기둥 상하부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하는 기법.
- 라이즈(Rise)
• 긴 수평선의 경우 중앙부가 처져 보이는 착시현상이 발생.
• 착시현상을 교정하기 위해 건물외관의 수평적 요소인 기단과 돌림띠의 중앙부를 약간씩 솟아 오르게 하는 기법.
- 안쏠림
• 건물 모서리 기둥의 상단이 약간씩 외측으로 벌어져 보여 건물이 불안정해 보이는 착시현상이 발생.
• 건물에 안정감을 주기 위해 양측 모서리 기둥을 약간씩 안쪽으로 기울이는 기법.
- 기둥 직경
• 건물을 정면에서 볼 때 건물자체를 배경으로 하는 중앙부의 기둥들에 비해 허공을 배경으로 하는 양측 모서리의 기둥들이 가늘어 보이는 착시현상이 발생.
• 착시현상을 교정하기 위해 모서리 기둥의 직경을 3~5cm 정도 크게 함.
- 기둥 간격
• 건물정면에서 볼 때 기둥의 간격이 양측 모서리로 갈수록 넓어보이는 착시현상이 발생.
• 착시현상을 교정하기 위해 모서리로 갈수록 기둥간격을 좁게 함.
• 파르테논 신전의 경우 기둥간격이 중앙부는 2.4m, 모서리는 1.8m.
⑥ 건축 실례
• 파르테논 신전 : 아테네, B.C.447~432년
- 그리스의 대표적인 건물로서 아테네의 아크로폴리스에 위치.
- 도리아식 주범이여 전후면 8주, 측면 17주의 주주식 신전.
- 건축가인 익티누스와 칼리크라테스 그리고 조각가인 페이디아스에 의해 건축.
- 페르시아와의 전쟁에서 아테네를 구출한 전승의 처녀를 기념하기 위한 신전.
• 에렉테이온 신전, 아테네, B.C.420~393년
- 이오니아식의 대표적인 신전으로 아테네의 아크로폴리스 언덕 위 파르테논 신전 북측에 위치.
- 경사지에 3개의 신전이 복합구성화 되었으며 남측입면의 여신상주가 특이.
• 포세이돈 신전 : 페스툼, B.C.450년, 도리아식
• 테세이온 신전 : 아테네, B.C.428년, 도리아식
• 헤라이온 신전 : 올림피아, B.C.640년, 도리아식
• 올림피에이온 신전 : 아테네, B.C.174년, 코린트식
5. 도시계획
1) 계획 개요
① 그리스는 독립도시들의 연방국가와 각 도시국가는 한 도시를 중심으로 성립.
② 아크로폴리스와 아고라가 도시구조의 양대 핵심.
• 아크로폴리스(Acropolis)
- 도시에서 일종의 성역의 장소로서 신전이 위치.
- 일반적으로 경관이 좋고 유사시에 방어하기 좋은 언덕에 위치.
- 입구에 위치한 프로필레아라는 성문을 통과하여 진입.
- 파르테논 신전이 위치한 아테네의 아크로폴리스가 대표적인 예.
• 아고라(Agora)
- 시민들의 도시생활의 중심적 기능을 담담하며 시민들의 정치, 경제, 상업 등의 일상적 활동을 수용.
- 야외의 공공광장으로서 광장을 중심으로 스토아, 시장, 공공기관, 극장 등이 위치.
• 스토아(Stoa)
- 벽체가 없이 지붕과 열주로만 이루어진 개방적인 야외 열주회랑 형식의 건물.
- 시민들의 토론, 집회를 위한 장소로서 그리스인들의 야외생활의 중심적 역할.
• 히포다모스의 도시계획 이론
- 히포다모스는 B.C.5세기경 밀레토스의 건축가.
- 격자형의 가로망에 의해 구획되는 장방형의 가구를 기본 단위로 도시를 구성하는 바둑판형 도시계획 이론을 체계화.
- 그리스의 점령지의 신도시 계획에 다수 적용
2) 도시계획 실례
• 아테네시의 도시계획
• 프리에네시와 밀레토스시의 도시계획 : 히포다모스에 의해 격자형 도시계획 이론을 적용.
6. 기타 건축
1) 극장 건축
① 도시 근방의 자연 구릉지의 경사지형을 이용하여 건설.
② 오케스트라, 스케네, 객석 등으로 구성됨.
- 오케스트라 : 원형의 무대로 합창, 군무등을 행하는 장소.
- 스케네 : 무대후면의 영구적 배경건물로서 분장실, 준비실로 사용.
- 객석 : 구릉지의 경사를 이용하여 구축.
③ 건축 실례
• 디오니소스 극장 : B.C.330년
2) 체육시설
① 올림픽의 개최로 체육시설이 발달.
② 종류
• 히포드롬 : 경마장 또는 전차 경주장으로서 로마 원형 경기장의 원형.
• 스타디온 : 육상 경기장으로서 마제형의 관람석 설치.
• 팔라에스트라 : 실내 경기장.
• 짐나지온 : 체육학교
3) 주거 건축
① 옥외 야외생활에 치중하였기 때문에 다른 건축분야에 비해 건축수준이 낮다.
② B.C.6세기경부터 중정식 평면의 주택이 지배적인 유형.
4) 분묘건축
• 하리카나소스의 마우솔레움 : B.C.353년
로마 건축
1. 개요
로마가 최초로 건축된 B.C.753년부터 로마제국이 동로마와 서로마로 분리된 365년까지 이탈리아 `반도의 로마제국과 유럽, 북부 아프리카, 서아시아 등의 로마 식민지에서 전개되었던 건축 양식.
2. 건축 양식의 특성
1) 건축 재료
① 콘크리트의 발명
- 화산재와 석회를 혼합하여 콘크리트를 제조.
- 구조 및 시공기술의 발달, 건물의 대규모화와 양식의 획일화 등을 유도.
② 석재 및 벽돌의 이용
- 모르터나 철물을 이용하여 조적.
- 조적술이 다양하게 발달하여 아치, 보올트 등의 기법을 사용.
③ 구조
- 조적식과 가구식의 혼용
• 에트루스칸의 조적식 구조의 아치 및 보올트 기법을 발전시켜 구조체로 사용.
• 그리스의 석조 가구식 구조는 장식적 기법으로 활용.
- 아치와 보올트 기법의 발달.
• 에트루스칸 건축으로부터 유래. 석재, 벽돌, 연와, 콘크리트 등을 이용하여 구축.
• 배럴 보올트에서 교차 보올트를 거쳐 돔으로 발전.
④ 대규모 공간의 형성
- 구조 및 시공 기술의 발달이 대규모 공간의 형성을 가능케 함 : 콘크리트의 발명으로 시공 기술이 발달, 아치 및 보올트의 사용으로 구조 기술이 발달.
- 로마인들은 자신들의 정치적, 군사적 강대함을 과시하기 위해 대규모 건축물을 적극적으로 건설.
- 그리스가 형태 위주의 조각적 건축을 추구한 반면, 로마는 공간 위주의 대규모 건축을 추구.
- 서양건축 역사상 본격적인 내부 공간을 형성한 것은 로마 건축이 최초라고 할 수 있슴.
⑤ 주범 양식 (Order Style)
- 그리스 건축의 도리아, 이오니아, 코린트식의 세가지 주범과 더불어 투스칸식 주범, 콤포지트식 주범 등 다섯 가지 주범 양식을 사용.
- 투스칸(Tuscan)식 주범 : 그리스의 도리아식 주범을 단순화시킨 주범.
- 콤포지트(Composite)식 주범 : 이오니아식 주범과 코린트식 주범을 복합시킨 주범 양식, 매우 장식적이고 화려한 느낌을 주며 개선문과 같이 화려한 건물에 주로 이용.
3. 에트루스칸(Etruscan) 건축
1) 건축 개요
① B.C.10세기경부터 에게해 북쪽 해안에서 국가를 형성.
② B.C.8세기경 중부 이탈리아로 이주하여 문화권을 형성하였으며 B.C.3세기경 멸망.
③ 건축구조 기술이 매우 발달.
- 진정한 아치를 최초로 사용. 아치를 발전시켜 보올트 기법을 개발하여 사용.
④ 에트루스칸의 발달된 건축구조 기술은 로마 건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
2) 건축 실례
• 클로아카 막시마(Cloaca Maxima) : 로마, B.C.578년
• 쥬피터(Jupiter) 신전 : 로마, B.C.509년
• 쥬노 소스피토(Juno Sospito) 신전 : 로마, B.C.3세기경
4. 포럼(Forum)
1) 건축 개요
- 그리스의 아고라와 동일한 기능을 지니는 공공광장.
- 도시구조의 중심으로서 정치, 산업, 사교, 교통 등의 제기능이 집약되는 공공광장.
- 광장 주위에 바실리카, 신전 등의 공공건축물과 개선문, 기념주 등의 기념건축물이 위치.
2) 건축 실례
• 포럼 로마나(Forum Romana) : 로마
- 가장 오래되고 대표적인 포럼.
- 포럼 5개소, 신전 14개동, 바실리카 4개동, 개선문 등으로 구성된 대규모 복합 포럼.
- 5개소의 포럼 중 트라얀(Trajan) 포럼이 가장 대규모.
• 폼페이의 포럼 : 폼페이
5. 신전건축
1) 건축 개요
① 로마인들은 그리스인들에 비해 종교에 무관심했기 때문에 신전의 중요성이 감소.
② 신전형식은 그리스의 신전형식과 에트루스칸의 신전형식으로 혼합.
③ 평면형태에 따라 사각형 평면의 신전과 원형 평면의 신전으로 구분.
④ 사각형 평면의 신전
• 마르스 울토르(Mars Ultor) 신전 : 로마, B.C.42~2년
• 메종 꼬레(Maoson Coree) 신전 : 프랑스 니메, B.C.16년
• 비너스와 로마(Venus and Rome) 신전 : 로마, 123~125년
• 발베크(Baalbek) 신전 : 발베크, 131~161년
⑤ 원형 평면의 신전
• 판테온(Pantheon) 신전 : 로마, 118~128년
- 로마의 대표적인 건축물로서 서양건축 역사상 내부 공간의 형성과 발전의 출발점이 됨.
- 로툰다(Rotunda)라 불리우는 원통형의 벽체와 돔형의 지붕으로 구성.
- 로툰다의 직경은 43.2m, 벽의 두께는 6.2m, 돔형 지붕의 최고 천장고는 43.2m.
- 로툰다의 실내측 벽면에는 7개의 벽감을 파고 각각의 내부에 신상을 안치.
- 돔형 지붕의 정상에 위치한 직경 7.5m의 천창이 유일한 채광수단.
- 전면의 열주현관(Portico)은 코린트식 주범의 기둥 8개로 구성.
• 시빌(Sibil) 신전 : 티볼리, B.C.1세기경
• 베스타(Vesta) 신전 : 로마, 205년
6. 바실리카(Basilica)
1) 건축 개요
① 법정과 상업교역소의 역할을 하며 포럼에 면하여 위치.
② 평면 및 단면계획
- 평면형태는 장방형으로 길이는 너비의 2~2.5 배 정도.
- 내부 공간은 2열의 열주에 의해 중앙의 신랑과 양측의 측랑으로 분리.
- 포럼에 면한 방향에 주출입구를 설치하고 그 반대편에 법관석으로 사용되는 반원형의 후진을 설치.
- 신랑의 천장은 높고 측랑의 천장은 낮아, 신랑과 측랑의 고저차를 이용해 고측창을 설치.
- 고측창을 이용하여 내부 공간에 채광.
③ 건축 실례
• 줄리아 바실리카 : 로마, B.C.42~25년
• 트라얀의 바실리카 : 로마, B.C.98~A.D.112년
• 콘스탄티누스 바실리카 : 로마, 310~313년
- 막센티우스 바실리카라고도 하며 포럼 로마나에 위치
- 신랑 상부의 지붕은 교차 보올트 구조.
- 교차 보올트의 횡력을 지지하기 위해 버팀도리(flying buttress)를 설치.
7. 체육 시설
1) 건축 개요
- 로마인들은 호전적이고 적극적인 성격으로 체육활동을 즐김.
- 전차 경주, 투기, 검투 등을 위한 체육시설을 다수 건설.
2) 건축 실례
• 콜로세움(Colosseum) 원형 경기장 : 로마, 70~82년
- 장축 190m, 단축 156m의 타원형 경기장으로 5만명을 수용하는 대규모 경기장.
- 외관은 원래 3층의 아케이드로 구성되었으며 각층의 주범은 1층 도리아식, 2층은 이오니아식, 3층은 코린트식이고 4층은 후에 증축.
• 베로나의 투기장 : 베로나, 290년
• 폼페이의 투기장 : 폼페이, B.C.70년
• 막센티우스 전차 경주장 : 로마, 306~312년
8. 공공욕장 (Thermac)
1) 건축 개요
- 로마의 공공욕장은 단순한 목욕탕의 기능뿐만 아니라 다목적 시민 사교장의 기능도 겸비.
- 목욕시설 외에도 도서실, 강의실, 사교실, 휴게실 등을 갖춤.
2) 건축 실례
• 카라칼라 욕장 : 로마, 211~217년
- 로마의 욕장 중 최대규모, 천장은 교차 보올트 구조.
- 욕장, 휴게실, 도서실, 소극장, 운동장, 광장, 점포 등으로 구성된 대규모 욕장.
• 디오클레티안 욕장 : 로마, 302년
9. 주거 건축
1) 건축 개요
① 그리스의 중정형 평면이 지속적으로 사용됨.
② 로마의 주거 건축의 세가지 유형
• 도무스(Domus) : 개인주택
• 빌라(Villa) : 별장 또는 전원주택
• 인슐라(Insulla) : 평민, 노예들을 위한 공동집합주택.
2) 건축 실례
• 오스티아의 주택 : 오스티아, 인슐라 형식의 주거.
• 하드리아누스 별장 : 티볼리
10. 기타 건축
① 개선문과 기념주
- 황제나 장군의 승전을 기념하기 위해 건설.
- 공적이나 승전의 내용을 조각으로 기록.
- 개선문에는 단공식(單拱式)과 삼공식(三拱式)이 있슴.
- 건축 실례
• 티투스의 개선문 : 로마, 81년
• 콘스탄티누스의 개선문 : 로마, 312년
• 트라얀의 기념주 : 로마, 113년
② 토목 구조물
- 발달된 건설 및 시공 기술을 이용하여 실용적인 토목 구조물을 다수 건설.
- 교량, 상하수도, 수도교 등을 대형 아치 또는 2단 아치를 이용하여 건설.
- 실례
• 폰듀가르 수도교 : 프랑스 니메, 150년
• 세고비아 수도교 : 스페인 세고비아
• 클라우디아 수도교 : 로마, 38년
③ 극장 건축
- 그리스의 극장은 자연적 구릉지를
- 영구적 무대배경 건물인 스케네가 2,3층으로 대규모화하고 화려하게 장식됨.
- 건축 실례
• 마르셀루스 극장 : 로마, B.C.23~13년
• 오란쥬 극장 : 프랑스 오량쥬, 50년
④ 궁전 건축
- 언덕 위나 구릉 위에 대규모로 건설.
- 건축 실례
• 팔라티움 궁전 : 로마의 팔라티누스구릉.
• 디오클렌티안 궁전 : 스팔라토시
11. 로마의 건축가
• 비트루비우스(Vitruvius)
- 서양건축 역사상 최초의 건축 이론가로서 고전주의 건축이론을 최초로 정립.
- 그리스 건축을 비롯한 고전건축을 연구분석하여 건축이론서인 건축십서를 저술.
- 건축십서는 후에 르네상스 시대의 건축사 알베르티가 다시 분석정리하여 건축론으로 발간.
- 비트루비우스의 선구적 고전주의 건축이론은 르네상스 건축을 비롯한 고전주의 양식에 지대한 영향.
출처 : 먼산님의 블로그
'서양건축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건축역사 :: 서양건축 변천사 (0) | 2007.03.05 |
---|---|
[스크랩] 건축역사 :: 고대건축 변천사 (0) | 2007.03.05 |
[스크랩] 건축학 :: 서양건축사 (0) | 2007.03.05 |
[스크랩] 건축학 :: 중세의 건축 (0) | 2007.03.05 |
[스크랩] 건축학 :: 고전시대의 건축: 그리이스, 로마의 건축 (0) | 2007.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