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 고대건축 변천사
이집트 건축, 서아시아 건축
이집트(Egypt) 건축
1. 개요
이집트 통일왕조가 세워진 B.C.3200년경부터 페르시아에 의해 정복된 B.C.530년경까지 나일강 유역에서 형성된 고대 이집트 문명을 배경으로 전개되었던 건축 양식.
2. 건축 양식의 특성
1) 건축 재료
① 기후가 매우 건조하여 목재가 귀하여 주위에 풍부한 흙과 돌에 의존.
② 초기에는 갈대, 파피루스, 점토 등의 천연재료를 주로 이용.
③ 점차 나일강 하류 유역의 풍부한 점토로 제조한 흙벽돌을 햇볕에 말려 사용.
④ 후기에는 나일강 상류 산악지대의 석재를 채석 가공한 후 나일강을 이용, 하류지역으로 운송하여 사용.
2) 건축 구조
① 조적식 구조와 가구식 구조를 주로 사용.
② 조적식 구조 : 흙벽돌이나 단위 석재를 이용하여 쌓는 방식 , 조적식 벽체는 자체 중량이 크므로 벽체의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게 쌓는 경사벽 구조로 만들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
③ 가구식 구조 : 석조 가구식 구조가 발달. 기둥은 석재, 보는 석재 또는 목재를 사용. 석재 가공기술이 발달하여 석조 주두를 창안.
3) 건축 형태
① 강우량이 적으므로 지붕은 평지붕 형태.
② 사막의 지평선을 배경으로 평지붕의 수평선, 열주의 수직선, 경사벽의 사선에 의해 구성되는 단순 기하학적 형태.
③ 외형은 단순한 기하학적 형태이지만 강렬한 직사광선에 의해 윤곽이 뚜렷해져 시각적으로 강력하고 인상적인 형태로 표현됨.
④ 장식은 단순하고 화려하지 않지만 강렬한 햇빛에 의해 풍부한 장식효과로 나타남.
4) 기둥 형식
① 석조 가구식 기법이 발달하여 다양한 장식이 부가된 독특한 형식의 석재 기둥이 사용됨.
② 기하학주
- 기둥 단면이 4각, 8각, 16각 형태의 각주.
- 기둥 몸통(주신)에 골줄을 새겨 장식적 효과.
③ 식물형주
- 로터스 기둥 : 주두가 연꽃 모양.
- 파피루스 기둥 : 주두가 파피루스 모양.
- 종려 기둥 : 주두가 종려나무 모양.
④ 조각주
- 주두를 인물상 형태로 조각하거나 주신을 인체 입상 형태로 조각.
- 하트로신 기둥, 오시리스신 기둥 등.
3. 분묘 건축
1) 건축 개요
① 현세는 일시적 주거이고 사후의 분묘가 영원한 주거라 믿었던 이집트인들의 독특한 종교관에 의해 분묘 건축이 성행.
② 영혼불멸사상, 육체복귀사상에 의하여 사체를 방부처리 후 미이라 상태로 분묘에 보관.
③ 종류 : 마스타바, 피라미드, 암굴분묘.
2) 마스타바(Mastaba)
① 이집트 왕조 초기에 왕, 왕족, 귀족의 분묘로서 건설.
② 후에 피라미드로 발전.
③ 초기에는 주로 흙벽돌을 이용하여 건설하다가 점차로 석재를 이용하여 건설.
④ 형태는 평지붕과 경사벽으로 구성된 입방체의 단순 기하학적 형태.
⑤ 내부는 의식공양실, 사자조상실, 사체보관실 등으로 구성.
⑥ 건축 실례
• 사카라의 마스타바 : 사카라, B.C.3150년경.
• 아비도스의 마스타바 : 아비도스, B.C.2670년경.
3) 피라미드(Pyramid)
① 왕의 분묘로서 이집트 고대문명을 대표하고 상징하는 건축물.
② 신과 같이 절대적인 왕의 권력을 상징하고자 건설.
③ 내부에 왕의 사체와 사후생활에 필요한 물품을 보관.
④ 변천 단계 및 종류
- 변천 단계 : 마스터바 → 단형 피라미드 → 절곡형 피라미드 → 방추형 피라미드.
- 단형 피리미드 : 마스타바가 다수 겹쳐진 계단 형태의 피라미드.
- 절곡형 피라미드 : 사면이 완만한 곡면으로 이루어진 사각뿔 형태의 피라미드.
- 방추형 피라미드 : 일반적인 사각뿔 형태의 피라미드.
⑤ 석회 암반의 지반 위에 내부는 석회석, 외부는 백색 화강석을 이용하여 조적식 구조로 건설.
⑥ 내부는 주출입구, 상승 및 하강 경사로, 회랑, 왕의 묘실, 여왕의 묘실, 부묘실, 환기구 등으로 구성.
⑦ 건축 실례
• 조세르왕의 단형 피라미드 : 사카라, B.C.2778년, 당시의 정치가이자 건축가였던 임호텝이 건설.
• 스네프루왕의 단형 피라미드 : 메이덤, B.C.2620년.
• 스네프루왕 절곡형 피라미드 : 다슈르, B.C.2620년.
• 기제의 방추형 대 피라미드 군 : 기제, B.C.2590년, 3개의 피라미드와 스핑크스, 마스타바 등으로 구성된 복합분묘군으로 그중에서 쿠푸왕의 피라미드가 가장 큰 규모로서 밑변의 한 변은 232m, 높이는 146m.
4) 암굴분묘
① 대규모인 피라미드의 건설로 인해 국가적, 사회적, 경제적 문제점이 발생하자 이집트 왕조는 비교적 소규모이고 건설이 용이한 암굴분묘를 대신 건설.
② 마스타바, 피라미드는 비공간적인 밀적체임에 반해 암굴분묘는 공간을 형성.
③ 암굴의 일체식 석조건축임에도 석조 가구식 기법을 적용.
④ 건축 실례
• 아멘엠헤트(Amen Em Het) 암굴분묘 : 베니핫산, B.C.1929년, 그리이스의 도리아식 주범의 원형인 16각 기둥과 주두를 사용.
4. 신전건축
1) 건축 개요
이집트의 독특한 종교관에 따라 현인신인 파라오(Pharaoh)와 태양신인 라(Ra)와 아몬(Amon)을 위한 신전을 전국 각지에 다수 건설.
2) 종류
① 예배신전 : 태양신인 라와 아몬과 그들의 방계 신들을 위한 예배의 신전.
② 장제신전 또는 분묘신전 : 현인신 파라오를 위한 신전으로 피라미드적인 사체보관소의 개념과 암굴분묘적인 공간성을 결합시킨 신전.
3) 예배신전
① 진입 계획
- 진입로인 참도을 통하여 신전의 주출입구인 탑문에 접근.
- 참도의 양쪽에 스핑크스를 배치하고 탑문의 전면에는 오벨리스크를 건립.
② 내부 계획
- 탑문, 중정, 다주실, 성소의 순서로 직선축상에 배치.
- 참도로부터 성소에 이르는 직선의 진입동선이 신전구성의 주축을 형성.
- 중정에서 다주실을 거쳐 성소로 접근할수록 비닥은 높아지고 천장은 낮아져서 공간의 투시효과를 창출.
- 다주실은 상부에 설치된 고측창을 통하여 채광.
③ 형태
- 평지붕의 계단식 형태.
- 신전 주위벽은 안쪽으로 70도 정도 경사진 조적조의 경사벽.
- 참도로부터 성소에 이르는 주축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 형태.
④ 건축 실례
• 카르나크의 아몬신전, 카르나크, B.C.1971~633년.
• 룩소르의 아몬신전, 룩소르, B.C.1411~1225년.
• 테베의 람세스2세 신전, 테베, B.C.1301년.
4) 장제신전
①건축 실례
• 멘투헤텝 신전 : 델엘바하리, B.C.1991년, 열주에 의해 지지되는 정방형의 2중 기단 위에 피라미드를 가설한 형태.
• 하트셉수트여왕 신전 : 델엘바하리, B.C.1501년, 산의 절벽을 배경으로 멘투헤텝 신전과 나란히 배치된 신전으로 당시 이집트 왕궁 전속 건축가 센무트가 설계함, 열주에 의해 지지되는 3단의 넓은 테라스와 이를 연결하는 직선의 경사로를 통하여 성소에 진입.
• 람세스 2세 암굴신전 : 아부심벨, B.C.1301년, 입구 전면에 4개의 거대한 조각상이 위치한 암굴신전.
4. 기타 건축
1) 오벨리스크
① 신전의 정면에 위치한 단순 기둥 형태의 석조탑.
② 왕권을 상징하며 신전 진입시 엄숙감을 부여.
③ 탑신에는 배흘림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왕권 찬양, 전승 축사, 건립 상황 등을 음각으로 조각.
2) 스핑크스
① 피라미드 또는 신전에서 수호신이나 제단의 역할.
② 종류
- 수두인신 : 동물조상관에 따라 머리는 동물, 몸은 사람의 형태.
- 인두수신 : 신인동격관에 따라 머리는 사람, 몸은 짐승의 형태.
3) 주거 건축
① 건축 개요
- 이집트인의 종교관에 따라 주거는 일시적 거처로서 간주되었기 때문에 다른 건축분야에 비해 발달이 부진.
- 주로 흙벽돌과 목재를 사용하였으며 지붕은 평지붕.
② 건축 실례
• 텔엘아마르나 주거 : 흙벽돌을 이용한 평지붕, 중정형식으로서 2층 규모의 귀족주택.
서아시아(West Asia) 건축
1. 개요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 사이에 메소포타미아 지방에서 발생한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명을 배경으로 B.C.4000년경부터 B.C.330년 사이에 구바빌로니아, 앗시리아, 신바빌로니아, 페르시아 등 서아시아의 여러 국가에서 전개된 건축 양식.
2. 건축 양식의 특성
1) 건축 재료
① 서아시아 지방에서는 점토가 유일한 건축재료.
② 점토로 흙벽돌을 만들어 햇볕에 말려 사용.
③ 유프라테스강 유역의 풍부한 아스팔트를 접착제로 사용.
2) 건축 구조
① 조적식 구법의 발달.
② 유일한 건축재료가 흙이었으므로 흙벽돌을 이용한 조적식 구조를 주로 사용.
③ 부축벽을 쌓아 조적조의 벽체를 구조적으로 보강.
④ 아치 및 보올트의 사용.
⑤ 발달된 조적기법을 바탕으로 아치 및 보올트 기법을 개발.
⑥ 출입구, 성문, 배수로 등의 개구부에 아치와 배럴 보올트를 사용.
3) 성곽 도시의 발달
① 서아시아 지방은 자연환경이 황량하고 민족간의 전쟁이 빈번했기 때문에 외부에 대해 폐쇄적이고 방어적이며 집단적인 군집생활을 영위.
② 각 민족은 도시국가를 형성했으며 각 도시국가는 외침에 대비하고 자연을 극복할 수 있는 폐쇄적 도시구조를 형성.
③ 모든 도시는 도시주변에 2중, 3중의 성곽을 건설하고 주요 지점에 성문을 설치.
④ 도성 내의 건물들도 외부에 대해 폐쇄적인 중정형 평면을 반복 사용.
4) 중정형 평형
① 중정을 중심으로 장방형의 방들이 집약되는 평면구성 수법을 사용.
② 외벽은 흙벽돌로 두껍게 구축하고 개구부가 없슴.
③ 창, 출입구 등의 모든 개구부는 중정에 면하여 설치하며 중정을 통해 각 방으로 진입.
3. 구바빌로니아(Old Babylonia) 건축
1) 개요
① B.C.4000~1200년경 사이 바빌로니아에서 원주민인 수메르인들을 중심으로 전개된 건축 양식.
② 바빌로니아는 도시국가로서 함무라비왕 당시 국가적 전성기를 이룸.
③ 지구라트(Ziggurat)
- 신에게 제사를 드리는 신전의 기능과 천문관측과 예언을 행하는 천문관측대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지님.
- 평면은 장방형, 내부는 밀적체, 외관은 계단형 형태.
- 최상부에는 사당이 위치하며 이 사당이 신의 거소이자 천체관측소.
- 각 모서리가 동서남북 방향에 일치하며 동쪽의 모서리는 춘분, 추분의 일출 지점과 일치.
④ 건축 실례
• 우르의 지구라트 : 우르, B.C.2060년경.
• 초가잠빌의 지구라트 : 에람, B.C.3000년경.
⑤ 기타 건축 실례
• 핫수나( Hassuna)의 주택 : 핫수나, B.C.4200년경.
- 점토와 갈대를 섞어 벽을 구축하고 부축벽에 의해 구조적으로 보강.
- 전정, 침실 겸 거실, 저장고, 아궁이, 배수로 등으로 구성.
• 테페 가우라(Tepe Gawra)의 중정형 주택 : 테페 가우라, B.C.3600년경.
• 우르크(Uruk)의 백색 신전 : 우르크, B.C.3250년경.
• 카파예(Khafaje)의 타원형 신전 : 카파예, B.C.3000년경.
4. 앗시리아(Assyria) 건축
1) 개요
① B.C.1200~626년 사이에 앗시리아 제국에서 전개되었던 건축 양식.
② 앗시리아인들은 B.C.1200년경 바빌로니아를 정복하고 앗시리아제국을 건설하여 B.C.626년까지 계속됨.
③ 앗시리아는 B.C.700년경 이집트와 힛타이트를 정복하고 국가적으로 최절정기를 맞이함.
2) 건축 실례
• 코르사바드의 도시계획 : 사르곤 2세의 궁전을 중심으로 계획된 사방 1700m의 성곽도시.
• 사르곤 2세의 궁전 : 코르사바드, B.C.720년경, 3개소의 중정을 중심으로 700여개의 장방형 방들로 구성된 궁전.
• 니네베시 : 구오직이라고도 하는 대도시로서 당시 앗시리아의 수도.
5. 신바빌로니아(New Babylonia) 건축
1) 개요
① B.C.626~538년경 사이에 신바빌로니아 제국에서 전개되었던 건축양식.
② B.C.626년 앗시리아가 멸망되고 구바빌로니아 문명을 계승한 바빌로니아가 등장하여 서아시아 지역을 지배하며 B.C.538년까지 지속됨.
③ 다양한 색채의 유약벽돌을 이용한 벽면장식 기법이 발달.
2) 건축 실례
• 바빌론 시 도시계획 : B.C.626~538년.
- 바빌론은 성곽도시로서 당시의 수도.
- 지구라트인 바벨탑과 공중정원 등을 포함한 대도시.
- 유약벽돌과 부조을 이용하여 벽면을 화려하게 장식.
• 아쉬타르 성문 : 바빌론
• 바빌론시 성곽의 성문
• 중정원 : 바빌론, B.C.605~562년
• 마르두크 신전 : 바빌론
6. 페르시아(Persia) 건축
1) 개요
① B.C.538~330년 사이에 페르시아에서 전개되었던 건축 양식.
② B.C.538년 페르시아가 신바빌로니아를 정복하고 서아시아의 강대국으로 등장.
③ 페르시아는 다리우스왕 시기에 이집트, 중앙아시아, 메소포타미아, 지중해 연안을 포함한 세계 최대의 제국을 형성.
④ B.C.330년 그리이스의 알렉산더 대왕에 의해 멸망.
⑤ 서아시아의 다른 지역과는 달리 석재와 목재가 풍부하여 가구식과 조적식 구조를 병용.
2) 건축 실례
• 페르세폴리스 궁전 : 페르세폴리스, B.C.500~450년경, 인공 기단 위에 건설된 대규모 석조 가구식 궁전.
• 테시폰의 궁전 : 테시폰, 4세기, 천장이 대형 보올트로 덮인 대형 홀이 유명.
출처 : 먼산님의 블로그
출처 : 서울전문학교
글쓴이 : 전문학교 원글보기
메모 :
'서양건축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건축학과 :: 건축용어 (0) | 2007.03.05 |
---|---|
[스크랩] 건축역사 :: 서양건축 변천사 (0) | 2007.03.05 |
[스크랩] 건축역사 :: 고전건축 변천사 (0) | 2007.03.05 |
[스크랩] 건축학 :: 서양건축사 (0) | 2007.03.05 |
[스크랩] 건축학 :: 중세의 건축 (0) | 2007.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