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실내디자인론 * 실내디자인 프로그래밍 진행단계 : 목표설정-조사-분석-종합-결정-실행 * 실내디자인 프로세스 과정 : 기획-설계ㆍ계획-감리-평가 * 동선 계획의 3요소 : 속도, 빈도,하중 * 공간의 레이아웃 : 공간형성요소의 평면적 배치계획 * 모듈(module)-르꼬르뷔제 : 기본모듈 1M(10㎝)의 배수, 건물의 높이는 2M(20㎝), 건물의 평면상 길이는 3M(30㎝)의 배수 * 황금분할 - 1:1.618 A(단):B(장)⇒A:B=B:(A+B) * 피보나치 기하급수 : 앞의 두 항의 합이 다음 항과 같도록 배열 * 스케일 : 물체의 크기와 인체와의 관계 및 물체 상호간의 관계를 말한다. 인간생활의 기능적 해결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 리듬의 원리 : 반복, 점진(점이), 대조(대립), 변이, 방사 * 조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은 통일성과 다양성이다 조화의 결과로 얻어지는 것은 비례와 균형이다. * 바닥(저명도, 저채도의 색상이 좋다) : 러그(lug)-양탄자 * 태피스트리(tapestry) : 회화나 디자인을 표현하는 장식용 직물 * 파키트리(parquetry) : 기하학적 패턴을 모아 붙인 널붙임이다. * 코펜하겐리브 : 실내음향 조절판으로 천장, 벽에 사용하는 목재 루버 * 벽 높이에서 공간분할이 시작되는 높이는 가슴높이(1.2m)의 벽-공간규정가능 (45, 60, 120-가슴높이, 150㎝-눈높이) * 커튼 - 코니스(cornice)-커튼이 걸리는 장대와 커튼을 감추기위한 고정띠 - 밸런스(balance)-코니스와 같은 기능을 하지만 보다 주름을 많이 넣은 것. - 글라스 커튼-유리앞에 설치되는 얇은 커튼. - 드레이퍼리 커튼-창문에 느슨히 걸린 우거진 커튼으로 모든 커튼의 총칭. * 인체계 가구 : 의자, 침대. 준 인체계 가구 : 작업대, 책상, 테이블. 정리 수납용 가구 : 서랍장, 선반, 벽장. * 오토만 - 등받이나 팔걸이 없이 천으로 씌운 낮은 의자로 발을 올려 놓는다. 스 툴 - 등받이와 팔걸이가 없는 의자. 카우치 - 한쪽 끝이 기대기 쉽게 올라간 천으로 씌운 의자. 체스터 필드-솜, 스펀지 등을 채워서 쿠션이 좋게 만든 의자. 플로어 패드-매트리스 형태로 간단하게 취침용으로 이동 가능.
* 시스템 가구-통일된 치수로 모듈화된 유닛들이 가구를 형성하므로 질이 높고 생산비가
저렴하며, * 서비스 코어 시스템-설비, 급수, 배수, 승강기, 계단, 파이프덕트의 기능들을 한곳에 집중처리하여 배선, 배관의 절약과 공간의 최소화를 실현. * 가구의 이동을 중심으로 한 분류-모듈러가구, 가동가구, 붙박이가구(집중배치가 효과적)
* 벤트우드(bent wood) : 압력과 열을 가하여 신축성이 생긴 나무에 형을 뜨고 원하는 형으로 * 가구의 배치에서 공간의 이동이 빈번한 곳에는 변화에 따른 적응력이 높은 분산적 배치가 적당하다. * 바실리 체어 : 마르셀 브로이어가 칸딘스키를 위해 디자인한 의자. * 바르셀로나의자:미스 반데로에가 디자인한 의자로 다리가 X자형이고 가죽쿠션으로 만듦. * 성형 합판 가구로 유명한 작가 : 알바알토. * 조명기구 형태 : 다운라이트-천장 매입형, 직부형-천장면에 부착, 브래킷-벽부형, 펜던트-파이프나 와이어에 달아 천장에 매단 조명. * 조명 설계 순서 : 소요조도결정-광원선택-조명기구선택-기구배치-검토. * 조명 설계 과정 : 프로젝트분석-조명기법구성-광원선택-조명기구선택-설계도면작성. * 코브 조명 : 벽의 구조체에 빛이 가려짐으로써 간접조명되는 방식. 캐노피 조명 : 벽이나 천장면의 일부를 돌출시켜 조명한다. 코니스 조명 : 벽면의 상부에 위치하여 하향으로 빛을 비추는 방식. 밸런스 조명 : 벽의 상ㆍ하부에 설치되어 균형적으로 비추는 방식. * 글레이징 기법 : 빛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마감의 재질감을 강조하는 방식-조개무늬. 월 워싱 기법 : 균일한 조도의 빛을 수직벽면에 쓸어내리듯이 비추는 방법으로 공간확장 감을 느끼게 한다. 스파클 기법 : 어두운 배경에서 광원의 반짝임으로 분위기를 연출한다. * 조명의 효 율 : 나트륨램프>메탈할로이드램프>형광등>수은등>백열등. * 조명의 연색성 : 태양광>백열등>메탈할로이드램프>형광등>수은등>나트륨램프. * 디오라마 전시 : 사실적인 모형의 전시로 현장감있는 입체적인 전시가 가능. 파노라마 전시 : 선형 형태로 벽면전시와 입체물을 병행해서 전시하는 방법. 아일랜드 전시 : 전시물의 입체를 중심으로 배치. 하모니카 전시 : 규칙적으로 전시물이 반복되어 전시.
* V M D(Visual Merchan Disign) : 상품계획, 상점계획, 판촉, 접객 서비스등의 제반요소를 시각적으로
* P O P(Point Of Purchase advertising) : 소비자입장을 고려한 상품의 전달계획으로 ‘구매시점광고’라고도 한다. * 부엌의 작업대 순서 : 준비대-개수대-조리대-가열대-배선대. * 주거 공간의 4영역 : 노동ㆍ작업공간, 공동공간, 위생공간, 개인공간. * 주택의 실내계획 : 평면계획에서 각 실의 분할은 3M(30Cm)이다. 침실 1인용:6㎡, 2인용:10㎡, 침실의 반자높이 : 2.3-2.4m. 부엌 조리대의 높이 : 80-85㎝, 폭 : 55-60㎝ 싱글배드:1x2m, 더블:1.35x2m, 퀸:1.5x2.1m, 킹:2x2m 복도 : 90㎝이상 신발장 깊이 : 30㎝이상 계단 나비 : 25-29㎝, 계단 높이 : 16-17㎝ 현관의 최소크기 : 90x120㎝ 거실의 최소규모 : 1인당 4-6㎡ 욕실, 세면기, 변기를 한 공간에 설치시 : 최소 6㎡ 최적 시청거리는 브라운관 지름의 6배 * 부엌 형태중 병렬형 작업대는 동선이 짧아 효과적이며, 작업대간의 거리는 80-120㎝가 적합하다. * 아일랜드키친 : 취사용 작업대가 섬처럼 부엌 중앙에 설치된 형태. 키친네트 : 간이 부엌으로 사무실이나 독신자용 아파트에 적합. 오픈키친 : 구획물이 없이 개방된 형식. * OA사무공간에서 1인 작업공간 4.8㎡, 주통로폭은 2m이상, 일반통로폭은 1m이상, 단위그룹간의 통로는 70㎝이상, 회의실 1인당 소요면적 1.5-2.0㎡, 업무용책상높이는 70-72㎝. 책상과 벽의 적정거리(좌ㆍ우:60㎝, 뒤:70㎝) 앞사람책상과의 거리 70㎝, 등을 맞댄경우의 책상사이의 거리 150㎝.
* 사무실의 책상배치 유형중 면적효율이 좋고, 커뮤니케이션형성에 유리하여 일반업무에 적용되는 배치유형은
* 상업공간실내계획이 조건설정단계에서 고려해야할 사항은 대상고객층의 결정, 취급상품의 특성과 구성, * 패션가게의 간이 피팅룸으로 적당한 규격은 90x90㎝면 된다. * 고객에게 가장 편한 진열높이를 말하는 골든스페이스의 범위는 85-125㎝이다. * 행거의 높이 : 코트-150㎝, 재킷-120㎝, 아동의류-95㎝, * 판매시설의 단높이는 18㎝이하, 단나비는 26㎝이상으로 규정하고 있다. * 레스토랑의 화장실계획 : 대변기는 객석 20-30석당 1대꼴, 소변기는 10-20석당 1대꼴. * 호텔로비의 면적은 객실당 0.8-1.0㎡로 설정.
* 전시공간의 실폭은 최소5.5m이상, 최근에는 천장고가 3.6-4m정도로 낮게 계획이 가능 하나 심리적인 고려 때문에
* 어트랙션(attraction) : 입구에서 관객을 쇼룸으로 유도하여 시선을 집중시키는 공간으로 입구와 전시공간을 * 전시물을 보는 수평시야는 좌우30°가 적당하다. 수직시야는 윗방향 30°, 아랫방향 40° * 관람자가 서 있을 때 경사지게 배치된 전시물을 바라보는 최단관람거리는 전시물높이의 1.2배정도이다. * 전시물과 시거리의 관계는 전시물이 시선중앙에 위치할 때 정시야에 들어올 수 있는 전시물 높이의 약 2배이다.
|
'실내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보조용 철물 (0) | 2007.03.15 |
---|---|
[스크랩] 제 1 회 실내건축(산업)기사 2차 실기 시공실무 모의고사 답안 | = 시공실무/모의고사 = (0) | 2007.03.09 |
[스크랩] 색채학 - 실내건축자격증(기사.산업) 1차 필기시험대비 내용정리 (0) | 2007.03.05 |
[스크랩] 인간공학 - 실내건축자격증(기사.산업) 1차 필기시험대비 내용정리 (0) | 2007.03.05 |
[스크랩] 건축환경 - 실내건축기사 1차 필기시험대비 요점정리 (0) | 2007.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