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김형돈 입니다. 수업중 풀어본 문제입니다. 문제가 많아 해설은 생략합니다.
1. 철근콘크리트 단순보에 八 형태의 균열이 좌우 단부에 발생하였다. 이런 균열이 생기지 않게 하기 위한 가장 유효한 방법은?(1회 기출문제)
①이형 철근보다 원형 철근을 사용한다.
②인장 철근을 증가시킨다.
③압축 철근을 증가시킨다.
④늑근(stirrup)을 증가시킨다.
⑤인장 및 압축 철근의 부착력을 증가시킨다.
답④
2. 철근 콘크리트의 내용 중 부적당한 것은?(3회 기출문제)
①철근 콘크리트는 철근을 피복하므로 내화 구조적이다.
②철근 콘크리트의 부착력은 압축 강도가 크면 부착력도 커진다.
③콘크리트 자체는 산성이므로 철근의 녹스는 것을 방지한다.
④콘크리트가 중성화되면 매입된 철근이 녹슬기 시작한다.
⑤철근의 피복두께와 표면 측 균열의 폭은 비례관계이다.
답 ③
3. 콘크리트 강도와 관계되는 아래 내용 중 틀린 것은?(3회 기출문제)
①물 시멘트비가 낮을수록 강도가 높다.
②혼화재를 넣지 않은 상태에서 슬럼프치가 낮을수록 강도는 높다.
③콘크리트 타설시에 진동 다짐은 많이 할수록 강도는 좋아진다.
④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대기 온도 평균 20℃ 정도에 28일 양생하면 설계 강도를 확보한다.
⑤ AE제, 고로 슬래그, 포졸란 등과 같은 혼화재를 적정치 사용하면, 콘크리트의 시공연도 개선이 가능하다.
답③
4. 철근에 대한 콘크리트 피복두께에 관한 설명 중 가장 부적합한 것은?(4회 기출문제-지문수정)
① 화재시에 철근이 고온이 되는 것을 방지한다.
② 철근과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을 확보한다.
③ 기둥, 보의 피복 두께는 주근 표면과 이것을 덮는 콘크리트 표면까지의 최단거리를 말한다.
④ 피복두께는 일률적이지 않고, 부재의 주변환경, 사용철근의 직경, 부재의 종류 등에 따라 각각 다르게 적용한다.
⑤ 수중에 놓이는 부재라면, 옥내 구조물에 비해 피복두께를 크게 해야 한다.
답③
5. 철근콘크리트 구조에 있어서 건조수축으로 인한 균열을 적게 하는 방법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4회 기출문제-일부 조정)
① 조강시멘트를 사용한다.
② 경량골재를 사용한다.
③ 물 시멘트비를 크게 한다.
④ 물시멘트비를 작게 한다.
⑤ 슬럼프 값을 크게 한다.
답④
6. 철근콘크리트보에서 늑근을 쓰는 주된 이유는?(5회 기출문제)
① 전단력에 의한 균열방지
② 축방향력의 증대
③ 콘크리트의 부착력 증대
④ 휨모멘트의 보강
⑤ 주근의 위치를 보존
답①
7. PC(Prestressed Concrete) 구조를 RC 구조와 비교하여 그의 장점이 아닌 것은?(5회 기출문제)
① 긴 스팬구조가 용이하므로 보다 넓은 공간설계가 가능하다.
② 내구성이 크다.
③ 하중이 큰 용도의 구조물에 대응하기가 용이하다.
④ 소재의 사용량이 절약된다.
⑤ 공사가 간단하고 화재시에 위험도가 낮다.
답⑤
8. 철근콘크리트 시공에서 콘크리트 이어붓기 위치에 관한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5회 기출문제)
① 보·바닥판의 이음은 그 간 사이의 중앙부에 수직으로
② 바닥판은 작은 보의 바로 밑에서
③ 기둥은 기초판 및 바닥판 위에서 수평으로
④ 벽은 이음자리막기와 떼어내기에 편리한 곳에 수직·수평으로
⑤ 아치의 이음은 아치축에 직각으로
답②
9. 콘크리트의 시공연도(Workability)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맞는 것은?(5회 기출문제)
① 단위수량을 감소시키면 시공연도는 좋아진다.
② 단위 시멘트량이 증가할수록 시공연도는 증가한다.
③ 콘크리트 온도가 높을수록 수분증발로 시공연도는 좋아진다.
④ 골재입형이 구형일수록 시공연도는 감소한다.
⑤ 콘크리트 배합비율은 시공연도에 그리 영향을 주지 않는다.
답②
10. 벽식 철근콘크리트 6층 아파트 건물의 구조 설계시 고려해야 할 사항 중 적합지 않은 것은?(1회 기출문제-일부 수정)
①응력 계산시 수평 하중으로 바람보다 지진력을 택하여 계산한다.
②기초의 구조 형식은 점토지반일 때 연속 기초로 한다.
③지진력은 고려하지 않아도 법규상 하자가 없다.
④건물의 길이가 80m 이상일 때에는 익스팬션 조인트를 설치한다.
⑤수직하중 뿐 아니라 수평력에 대하여 안전하도록 전단 내력벽 형식을 고려한다.
답③
11. 철근에 대한 콘크리트의 피복두께에 관한 설명 중 부적합한 것은 어느 것인가?(6회 기출문제)
① 각종 위해 인자로부터 철근을 건전하게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② 철근과 콘크리트의 부착력을 확보하므로 가급적 두껍게 하는 것이 좋다.
③ 기둥의 철근 피복두께는 콘크리트 표면에서부터 띠근 또는 나선근 표면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④ 일반적으로 기둥과 보가 슬래브보다 철근 피복두께가 크다.
⑤ 흙에 직접 접하는 부재는 보통의 부재보다 피복두께를 크게 한다.
답②
12. 철근콘크리트 보에서 철근의 콘코리트에 대한 부착력이 부족할 때 콘크리트 단면을 변경시키지 않고 부착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은?(6회 기출문제)
① 압축철근의 단면적을 증가시킨다.
② 인장철근의 주장을 증가시킨다.
③ 지름이 큰 철근을 사용한다.
④ 콘크리트의 물시멘트를 크게 한다.
⑤ 고강도 철근을 사용한다.
답②
13. 콘크리트 타설 후 물과 미세한 물질(석고, 불순물 등) 등은 상승하고 무거운 골재나 시멘트 등은 침하하게 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제8회기출)
① 레이턴스
② 워커빌리티
③ 크리프
④ 블리딩
⑤ 컨시스턴시
답)4.
14. 다음 중 철근의 정착위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잘못된 것은?(제8회기출)
① 기둥의 주근은 기초에 정착한다.
② 보의 주근은 바닥판에 정착한다.
③ 지중보의 주근은 기초 또는 기둥에 정착한다.
④ 바닥철근은 보 또는 벽체에 정착한다.
⑤ 벽철근은 기둥, 보 또는 바닥판에 정착한다.
답)2
아마도, 수업중 많이 풀어본 유형입니다. 이 유형중 필요 내용은 충분히 숙지하셔야 합니다.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1일 학습 코너... (0) | 2007.03.05 |
---|---|
[스크랩] 총론파트-기출문제로 본 모의고사 (0) | 2007.03.05 |
[스크랩] 허용응력설계,강도설계법에 의한 보의 구조제한(중요내용) (0) | 2007.03.05 |
[스크랩] 건축관련용어집. (0) | 2007.03.05 |
[스크랩] 철골구조의 존재응력설계방법과 전강도설계방법의 비교 (0) | 2007.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