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 패 |
목재의 표면을 평면·곡면·홈 등의 형태로 깎거나 다듬는 데에 사용하는 목공용 공구이다. |
|
① 대패의 종류
대패에는 대패질하는 면의 형태에 따라
여러 가지 모양의 대패가 있다.
|

[ 대패의 종류 ] |
- 평대패 |
평면을 평활하게 깎을 때에 사용하는
대패로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길이에 따라 긴(장)대패와 짧은(단)대패로
나눌 수 있으며, 덧날의 유무에 따라서는
양날 대패와 외날 대패로 나눌 수 있다.
|
- 턱대패 |
옆면 모서리를 턱지게 깎을 때에 쓰이는
대패이다.
|
- 둥근 대패 |
모서리를 둥글 게 깎을 때에 사용하며,
외원 대패와 내원 대패가 있다.
|
- 홈대패 |
창문틀에 홈을 팔 때에 사용하는 대패이다.
|
- 면접기 대패 |
모서리를 각종 단면으로 깎을 때에
사용하는 대패이다.
|
-모서리 다듬기 대패 |
네모나게 파여진 곳의 측면을 깎을 때
또는 턱을 만들 때 사용하는 대패.
날끝이 몸체의 옆에 나와 있어 "ㄴ"부분을
깎을 때 편리하다.
|
|
② 대패의 구조 |
|
|
대패는 나무를 깎는 대팻날, 이를 고정시키면서 규준대 역할을 하는 대팻집, 거스름결이 일어나지 않게
해 주는 덧날로 구성되어 있다. 대팻날은 대팻집에서 0.05~0.2mm 정도 나오도록 조정하여 사용한다.
또한, 대팻날의 각도는 보통 25~30˚이며, 단단한 나무를 깎을 때에는 날의 각도를 크게 한다.
|
|

[ 평대패의 구조 ] |
|
③ 대패질의 방법
목재를 토막으로 분리하기 전에 한꺼번에 대패질을 하면 더 정확하고 능률적으로 부품을 제작할 수 있다.
|
|
평면 대패질 |
목재를 움직이지 않도록 대패대 위의 멈치에 맞추어 고정하고, 대패를 잡아당기면서
깎는다. 이 때, 대패질면의 표면에서 거스러미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려면 나뭇결이
올라가는 방향으로 대패질을 하여야 한다.
|
|
옆면 대패질 |
대팻집을 90˚로 세운 다음. 왼손은 목재를 누르고 오른손으로는 대팻집을 감아 쥐고
깎는다.
|
|
마구리면 대패질 |
목재를 멈치에 고정된 직각 마구리대면에 대어 목재를 고정시키고,
옆면 대패질하듯이 깎는다.
|
|

|

|
[ 평면대패질 ] |
|
④ 대패날 조정
대패를 계속해서 사용하다 보면, 대팻날의 나오는 정도가 달라지게 되는데, 대팻날을 조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
|
대팻날 넣기 |
대팻날의 머리 부분을 망치로 두들겨 날끝이 대팻집 바닥으로부터
0.05~0.2mm 정도 나오도록 조정한다.
|
|
|
대팻날 빼기 |
대팻집 머리의 양쪽 귀를 교대로 대팻날과 나란하게 망치로 두들겨
대팻날과 덧날을 뺀다.
|
|
|

[ 대패날 조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