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스크랩] 보강토 옹벽

김프로님 2007. 4. 21. 23:18
보강토옹벽이란
옹벽 뒷쪽에 흙을 쌓을때 그냥 흙을 쌓는게 아니라 흙 사이사이에 그물망같은걸
넣어서 흙의 자중에 의해 그물망이 눌리고 그 그물망은 옹벽을 붙잡아주어
옹벽이 무너지지않고 더 튼튼히 지탱하도록 만든 구조입니다
특성
1. 높이 제한이 없어 경제성 극대화

- 수직한 벽면을 갖은 것으로 한정된 용지를 유용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일반옹벽은 7~10m이상이면 특수설계가 요구되나 보강토 조립식 옹벽의 시공실적은 높이 28m로서 거의 무제한이다. 따라서 지반 지지력이 동일한 높이의 흙 쌓기를 했을 경우 충분하다면 별도로 기초 처리가 불필요

2. 공기 단축에 의한 경제성


- 일정한 성토 두께마다 보강재가 포설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얇은 성토층을 다짐하는 것으로 되어 다짐이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적다.

3. 부등침하 방지로 균열 방지

- 자체 중량과 강성에 의해 토압에 저항하는 구조인 콘크리트 옹벽에 비해 소형벽면재와 보강재의 연결 및 보강재 흙 사이의 마찰에 이해 저항하는 것으로 보다 유연한 구조로 볼 수 있기 때문에 기초지반에 다소 부등침하에도 벽면재와 보강재의 기능손상이 어느 정도 침하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4. 현장 유용토 등의 할용에 따른 경제성

5. 구조 역학적인 시스템

6. 입증된 안전성

7. 자연스런 외관

8. 자연질감의 자연적 효과

<!--tb2 &--><!--tb3-->
용도
콘크리트 옹벽 보강(일반 옹벽, 교대날개벽, BOX옹벽)
성토사면 보강(급경사 성토, 댐, 제방)
도로, 연약지반 보강(고속도록, 철도, 기초보강)
하천, 저수지, 사면보강(수도, 하천, 공원 등)
<!--tb3 &--><!--tb5-->
옹벽과 비교
구분 볼록식 보강토 옹벽 철근 콘크리트 옹벽
구 성 - 표준형 블록 : 460×500×200
-블록 : 458×300×100
- 고정 클립 : φ 13×340
- 콘크리트
- 이형철근
- 옹벽 가설제
- 신축이음 및 파이프
- 뒷채움재 토공 및 다짐
기초처리 잡석 기초로 기초처리 간단 기초 터파기로 블록 근입 깊이를 포함하여 H/20만 근입 콘크리트 및 파일등을 고려하며 기초 처리 복잡기초 터파기 1M 이상
공사시기 계절과 관계없이 시공 가능 현장 타설 콘크리트로 동절기 시공 불가능
공 기 기성 제품으로 시공이 용이하여 공기 단축뒷채움토의 부설 및 다짐 등의 반복 수행으로 공사기일 단축 거푸집 설치, 철근 조립,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뒷채움 작업으로 공기 지연
미 관 - 임의 곡선 처리 기능
- 전면 스필릿 처리로 자연석과 같은 느낌으로 친 환경적임
- 생상 및 무늬의 종류 다양으로 미관이 수려함
- 옹벽면이 거칠고 투박함
- 임의 곡선 처리가 불가능
배 수 - 블록간 결합 방식으로 전면 배수 처리됨
- 블록 속채움 잡석으로 유공관 불필요
일체 강성 구조물로 배수처리가 불리하며, 수압으로 인한 Bullging현상
뒷채움토
선 정
현장토 유용 현장토 유용
배수구멍 설치부 주위는 잡석 채움이 필수적
뒷채움재
토공작업
블록 설치와 부설다짐이 병행하여 시공되므로 옹벽 공사와 뒷채움재 성토가 동시에 완료 (부지 확보)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 기간 후에 부설 작업을 실시해야함
부등침하에
따른 내구성
고강재 설치에 따른 흙의 상호 결속기능 및 하중의 균등 분포로 부등침하에 따른 내구성이 크다 (충격과 지진에 강함) 옹벽이 강성체 이므로 부등 침하가 쉽게 발생하고, 하중의 집중 현상은 더욱 파괴를 가속 시킴. (충격과 지진에 약함)
높이 제한 높이의 제한이 거의 있음.(15.0m 이상 고 옹벽 시공 가능) 높이 제한이 있고 8m 이상에는 특수 설계를 필요로 하며, 불필요한 공사비가 증가됨.
출처 : 건설관리자료
글쓴이 : 너울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