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철근콘크리트구조

김프로님 2007. 4. 25. 16:49
1)주근의 간격(철근 콘크리트의 공통사항)
    ① 2.5cm이상,  ② 주근 지름의 1.5배 이상,  ③ 자갈 최대 지름의 1.25배
2)이음 길이- ① 압축응력을 받는 곳: 철근 지름의 25배(25d) ☞ 그림
                 - ② 인장응력을 받는 곳: 철근 지름의 40배(40d)
3) 철근콘크리트의 단면의 크기를 바꾸지 않고 부착 강도를 높이는 방법?
               - 가는 철근을 여러 개 사용한다.(즉 주장을 늘린다. 또는 철근의 표면적을 증가시킨다)
4) 철근콘크리트 기둥
  ① 최소 철근 개수- 장방형 기둥-4개, 원형 기둥- 6개
  ② 최소 단면적    - 600㎠
  ③ 최소 두께       - 20cm 또는 기둥 간사이(기둥간거리)의 1/15 이상
  ④ 주근은 D13 이상을 사용한다.
  ⑤ 띠철근(=대근)이나 나선형 철근을 넣는 이유- 기둥의 좌굴 방지
(#좌굴: 휘어 파괴되는 현상)
  ⑥ 띠철근(=대근 Hoop)의 간격
      ㉠ 기둥 주근 지름의 16배 이하    ㉡ 띠철근 지름의 48배 이하
      ㉢ 30cm이하                              ㉣ 기둥 단면의 최소 폭 이하 중 가장 작은 값
  ⑦ 콘크리트 기둥 4개가 만드는 적당한 바닥 면적의 크기- 30㎡
5) 철근콘크리트 보
  ① 철근콘크리트 보의 춤은 기둥 간사이의 1/10∼1/12
  ② 보의 전단력에 대한 강도를 크게하기 위하여 넣는 배근은?: 늑근(=스터럽)
  ③ 보의 단부에 늑근을 특히 많이 넣는 이유?- 보에 생기는 전단력에 대한 저항하기 위해
  ④ 주근은 D13 이상을 사용한다.
      늑근은 Ø6이상의 철근을 사용하고 간격은 보 춤의 3/4이하 또는 45cm이하로 한다.
  ⑤ 굽힘철근의 휘어올리는 위치는 보 안목길이의 1/4부분이다.
  ⑥ 사장력(전단력의 일종)으로 인한 보의 빗 방향 균열 방지책은 늑근의 양을 늘인다.
     
 (상부 주근은 양을 늘리는 것이 틀림)
  ⑦ 보의 중앙부 철근배근      보의 단부 철근 배근
 
 6) 철근콘크리트 슬라브(슬랩)
  ① 단변방향의 인장철근을 주근이라 한다. 기타 철근은 부근 또는 배력근이라 한다.
  ② 최소 두께- 8cm이상
  ③ 주근이나 배력근은 Ø9 또는 D10 이상의 철근을 사용
  ④ 주근의 간격- 20cm 이하,  배력근의 간격- 30cm이하
  ⑤ 2방향 슬래브란?:    = ℓy /ℓx  ≤ 2  (즉 장방향 길이는 단방향 길이의 2배까지)
  ⑥ 슬랩에서 철근이 가장 많이 들어가는 곳- 단변 방향 단부
7) 내력벽
  ① 벽의 두께가 25cm이상일 때는 복근 배근 한다.
  ② 내력벽의 사용철근?- D10 이상(9∼12mm)
  ③ 벽체 철근의 간격- 45cm이하
  ④ 개구부 주위에는 13mm이상의 철근을 배근 한다.   
8) 피복 두께- ①기둥과 보: 3cm   ②기초: 6cm   ③슬라브: 2cm  
그림
    (피복두께는 콘크리트 표면에서 가장 가까운 철근까지의 두께를 말한다.)
9) 이형철근에 마디를 넣은 이유는?- 부착 강도 증가
10) 콘크리트와 철근 사이에 부착력에 영향을 주는 것?
     ① 콘크리트 강도
     ② 철근 표면적
     ③ 철근 표면의 리브와 마디 (철근의 항복점은 해당 없다) 그림
11) 정착길이: 철근이 콘크리트에 묻혀 빠져 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길이
                    (# 왼쪽 그림은 옥상층으로 인장철근의 정착길이 40d가 중요)
       옥상층의 경우                                         위층이 있는 경우
12) 콘크리트 단부에 헌치를 두는 이유?- 단부에는 전단력이 크기 때문
13) 단관비계의 연결 철물?-  커플러
14)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고강도 강재나 피아노 선을 사용 재축방향에 미리 압축력을 주고 만드는 콘크리트
15) 무량판 구조
   ① 바닥판의 두께는
15cm 이상으로 한다.
   ② 기둥 폭은 층 높이의 1/15이상이며 30cm이상으로 한다.
                                       (기둥중심 거리의 1/15이 틀린 답)
   ③ 단면 형태는 바닥판, 받침판, 기둥머리, 기둥으로 만들어진다.
   ④ 철근의 배근 방식은 2방식, 3방식, 4방식, 원형식이 있다.
16) 무량판 구조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배근 방법- 2방식 또는 4방식
17) 장선 슬라브의 장선 나비?- 10cm 이상   
그림
18) 배근 모양
  ①예1)
  ②예2)
                                                                                              ◈반곡점-철근이 구부러지는 1/4 지점.

출처 : Tong - cine210님의 cine210님의 기본통통

출처 : Tong - cine210님의 cine210님의 기본통통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이해를 돕기위한 " 방부목 "  (0) 2007.04.27
[스크랩] 구체공사  (0) 2007.04.26
철근배근 허용 오차  (0) 2007.04.25
단면2차 모멘트 개념  (0) 2007.04.25
건축 일반  (0) 2007.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