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스크랩] 공정이론---기초공사

김프로님 2007. 11. 30. 18:53
기초벽은 지층이나 크롤 공간(crawl space:1층 바닥과 그 아래 지면 사이의 낮은 공간)을 둘러싸는 것으로,벽과 바닥,지붕 등의 건물하중은 기초벽과 지정(기초판 포함)을 거쳐 지반에 전달된다. 미국과 캐나다의 여러지역에서는 가압처리재(방부목)와 내수합판,블럭,벽돌 등을 사용하여 다양하게 지층과 기초벽을 구성하지만 국내에서는 현장타설 철근 콘크리트로 시공하는 것이 현실이다.
 

  • 기초벽의 높이

    1) 기초의 높이가 충분히 높으면 마감지반면의 경사를 이용하여 양호한 배수를 할 수 있다.
    2) 기초벽은 주택의 바깥쪽 마감지반면 보다 최소 20cm이상 위로 올려 목재도장과 골조부재를 토양의 수분으로부터 보호해야 한다.
    3) 흰개미를 주기적으로 검사하고 골조부재에 대한 지상 수분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비닐 시트를 이용한 토양 커버를 설치하고 크롤 공간을 충분한 높이로 시공한다.
    4) 전면 지층의 경우에는 기초벽의 높이를 보통 2.4m로 한다.
    5) 기초벽에 면한 마감지반면은 원래 지면 보다 10~30cm 높여 배수 위치까지 경사를 둔다.
    6) 크롤 공간 주택에서 지면과 장선(floor joist)하단과의 거리는 45cm이상으로 시공하여야 한다.
    7) 기초벽 내부의 지면이 외부 마감 지반면 보다 낮은 곳은 지름 10cm정도의 유공관을 묻어 기초 외부의 마감지반면까지 연장하여 배수시키도록 한다.

 

 

  • 현장타설(부어넣기)콘크리트를 사용한 기초벽(크롤 공간을 중심으로)

    1) 벽체의 두께와 형태는 해당 층의 높이와 비내력벽의 길이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20~25cm로 시공하며 콘크리트 블록 벽은 20~30cm로 시공한다.
    2) 크롤 공간 기초벽의 높이는 동결선 수준과 바닥 아래의 적정 높이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이 높이는 지면에서 골조부재(floor joist)하단까지 45~60cm이다.땅속 깊이 동결하는 지역에서는 1m정도로 한다.
    3) 지하층을 설치하는 경우 지층 바닥으로부터 장선 하단까지 벽의 실제 높이는 2.1m이상으로 한다. 더 높일 경우 큰보와 파이프 등을 설치하고도 적절한 헤드룸을 확보할 수 있다.
    4) 창문과 문 등 개구부의 틀은 거푸집을 세우면서 설치하여야 한다.
    5) 거푸집 안쪽에 못으로 높이를 표시하여 기초벽 상단이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시공하여야 한다.
    6) 콘크리트를 부어넣기 전에 거푸집이 제 형상을 유지하도록 가새 등으로 견고하게 지지시킨다.
    7) 콘크리트는 계속하여 부어넣어야 하며 부어넣을 곳 전체에 걸쳐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고 기포를 제거하기 위하여 막대로 젓거나 진동시켜 구석구석까지 콘크리트를 밀어 넣는다.
    8) 지나친 진동은 콘크리트의 자갈을 분리시켜 기초벽을 약화시키므로 지나친 진동은 피한다.
    9) 토대를 설치하기 위한 앵커볼트는 중심간격 2.4m간격으로 콘크리트가 양생되기 전에 설치한다.
    10) 콘크리트가 양생되고 충분한 강도에 도달하여 시공초기에 가해지는 하중을지지할 수 있을 때까지 최소 2일 이상, 외기 온도가 영하일 경우에는 일주일 이상 거푸집을 제거하지 않는다.
    11) 바닥 골조와 지층 슬래브를 설치하기 전에 흙되메우기를 하지 않아야 한다.
    12) 콘크리트의 표면이 충분히 건조되어 양호한 접착력을 낼 수 있을 때 지정의 바깥쪽 면에서 마감 지반선까지 타르나 아스팔트의 점도가 큰 코팅으로 방습처리한다.
    13) 바깥쪽 지정 측면에 유공관과 자갈 되채우기를 하여 수분을 함유한 토양의 하중이 기초벽에 작용하는 것을 막고 물이 빨리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

유공관(배수구)설치 위치

  • 옥외 마감 지반면 아래에 위치한 지층이나 주거공간을 에워싼 기초 주위
  • 경사지거나 낮은 지역
  • 지층과 바닥의 습기를 막기위하여 지하수의 배수가 필요한 지역
  • 지정의 바닥과 거의 같은 위치에 설치한다.

  • 토대의 고정

    1) 토대는 13mm 앵커볼트를 약 2.4m간격으로 설치한 기초벽 상단에 고정된다.삽입 깊이는 20cm이상 이어야 한다.
    2) 콘크리트 못이나 기계로 박는 못으로 고정되기도 하지만 이는 바람직하지 않다.특히 높은 풍속과 폭풍이 빈발하는 지방에서는 토대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3) 콘크리트 기초벽 상단과 토대 사이에는 실러를 사용하여 균일하지 않은 면을 메우면서 수분의 침투를 막는다.

 

  • 목재보 설치를 위한 기초벽의 파냄

    1) 지층의 보나 큰 보를 목재로 사용할 때,기초벽을 파내는 방식을 사용하게 되는데 보의 측면과 마구리에서 최소 12mm의 여유 틈을 확보하여 환기가 되도록 한다.
    2) 가압처리 방부목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벽파냄이 너무 빡빡하면 보나 큰 보의 수분이 충분히 빠져나갈 수 없어 부후의 위험이 발생한다.

 

  • 크롤 공간의 환기와 토양 커버

    1) 지층이 없는 주택의 경우 바닥 아래와 지면 사이에 생기는 크롤 공간은 환기구를 설치하여 환기 시키고 0.15mm이상의 폴리에칠렌 필름을 지면에 깔라 토양 수분으로부터 목재 골조 부재를 보호하여야 한다,
    2) 토양 커버를 사용하는 경우 환기구의 면적은 지면의 1/1,600 이다. 예로 110㎡의 지면에 대하여 필요한 환기면적은 0.07㎡이다. 환기구는 크롤 공간에서 서로 마주 보는 쪽에 2개의 작은 환기구나 그 이상의 갯수로 나누어 설치하고 방부 방충망을 씌운다,
    3) 토양 커버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의 환기구 면적은 지면의 1/160 이다.
    4) 추운 날씨에는 닫아 두어 열손실과 파이프 등의 동결을 줄일 수 있는 형태의 환기구 사용도 가능하다.

  • 콘크리트 바닥 슬래브/일체식 슬래브
  • 1)바닥 슬래브

    a) 상층토(top soil)를 제거하여 하수거와 수도관을 설치하여야 하며 그 위에 10~15cm 정도의 두께로 자갈이나 깬자갈,깨끗한 모래로 덮고 잘 다진다.
    b) 0.15mm이상의 폴리에칠렌 필름(증기 지연재라고 한다.)등의 두꺼운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하여 습기가 올라오지 않도록 한다.접합부는 최소 10cm 이상 겹치고 구멍이 나지 않도록 주의한다.폴리스틸렌 등의 강성 발포 단열재(스티로폼)사용시,접합부는 테이프로 바른다.
    c) 바닥 슬래브 높이는 주택 주위의 마감 지반면 보다 충분히 높고 배수가 잘 되도록 시공하되 슬래브의 상단은 지면으로부터 20cm 정도가 되도록 시공한다.
    d) 영구적인 방수,비흡수성의 강성 단열재를 슬래브의 주각 주변에 설치하여야 한다. 수직으로는 슬래브의 안과 밖에서 단열재를 아래쪽까지 시공하고,수평으로는 슬래브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60cm의 길이까지 설치한다.
    e) 콘크리트 슬래브의 최소 두께는 89mm이다.
     f) 수평을 맞추고 자막대기로 고른 후 콘크리트가 아직 소성인 상태에서 목재나 쇠손으로 표면을 마감한다.

    2) 일체식 슬래브

    a) 바닥 슬래브와 지정기초가 조합된 일체식 슬래브는 동결의 염려가 없고 토양조건이 특히 양호한 온난기후를 가진 지방에서 사용하기 좋은 시공방법이다.
    b) 지정은 철근으로 보강하고 원래의 지반면 아래로 최소 30cm 이상 들어가야 한다.
    c) 지정의 하단은 배수가 잘 되고 성토하지 않은 견고한 지면위에지지되어야 한다.

    3) 바닥 슬래브의 단열조건

    a) 열전달에 대한 저항성
    b) 수분의 흡수나 함유에 대한 저항성:습기는 단열재의 압축강도를 감소시켜 효율을 저하시킨다.
    c) 습기나 서리에 노출될 때의 내구성
    d) 바닥하중과 슬래브의 무게,팽창력에 의한 압축 저항성
    e) 균과 곤충 공격에 대한 저항성

  • 보강 블록 옹벽

    1) 지반면 위 최대 높이는 120cm이다.
    2) 동결선 아래쪽에 넓은 지정을 설치한다.
    3) 콘크리트를 부어넣기 전에 지름 16mm철근을 90도 구부려 설치한다.
    4)철근은 지정의 뒤쪽으로부터 앞까지 설치하여 벽높이까지 올린다.
    5)수직부위의 철근은 콘크리트 블록 코어의 토양 가까운 쪽에 설치하여야 한다.
    6)지정의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2-코어,두께 30cm의 콘크리트 블록을 설치하여 위로 구부린 철근이 블록의 코어를 통과하도록 한다.
    7)블록 몰타르가 양생된 후 목재 거푸집을 블록 상단에 설치한다.
    8)10cm간격으로 16mm철근을 배근하여 수직 철근과 결속 후,10cmx30cm의 철근 콘크리트 보를 설치하여 블록을 일체화시킨다. 이 때 콘크리트가 블록의 코어 속에 충전될 수 있도록 막대로 잘 저어준다.
    9)콘크리트가 양생된 후,30~60cm두께의 자갈로 벽뒤를 되채우기하고 지정 상단에는 유공관을 묻어 배수가 잘 되도록 한다.

  • 철근 콘크리트 옹벽

    1)보강 블록 대신 현장타설(부어넣기)콘크리트로 시공하는 것이다.
    2)벽의 지정은 동결선 이하로 묻는다.
    3)거푸집을 설치하여 지정과 벽이 일체로 되게 하여 콘크리트를 부어넣는다.
    4)벽면의 거푸집은 수직으로 설치하지만 벽뒤면은 비스듬하게 시공하여 벽의 베이스 부분이 더 두껍게 설치한다.
    5)지름 16mm의 철근을 중심간격 30cm가 되도록 격자형태로 배근하고 결속선으로 묶는다.
    6)지정의 거푸집속에 콘크리트를 부어넣고 부분적으로 양생된 후,벽체의 수직 부위에 콘크리트를 부어넣는다.
    7)옹벽 뒷면에 두께 30~60cm의 자갈채움과 유공관을 묻어 배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출처 : 농목수의 목조건축 이야기
글쓴이 : 농목수 원글보기
메모 :

'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시공공정--마감공사  (0) 2007.11.30
[스크랩] 시공공정---바닥골조  (0) 2007.11.30
[스크랩] 건축상식 :: 건축 명언들  (0) 2007.08.16
[스크랩] 석재  (0) 2007.08.12
[스크랩] 집구조...  (0) 2007.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