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골재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하여 시멘트 및 물과 혼합하는 모래, 부순 모래, 자갈, 부순 자갈, 부순 돌, 바다모래, 고로 슬래그 잔골재, 고로 슬래그 굵은 골재 등 이와 비슷한 재료로 콘크리트 1㎥당 약 70%를 차지한다.
1. 콘크리트 골재에 요구되는 성질
2. 잔골재와 굵은 골재. 잔골재 - 10㎜체(호칭치수)를 전부 통과하고 5㎜체를 중량비로 85% 이상 통과하며, 0.08㎜체에 거의 다 남는 골재
굵은 골재 - 5㎜체(호칭치수)에서 중량비로 85%이상 남는 골재, 5㎜체에 다 남는 골재를 말함
잔골재율, 굵은 잔골재비
3. 골재의 성질
알카리 골재 반응 - 포틀랜드시멘트 속의 알칼리 성분이 골재중의 실리카와 화학반응을 일으킴으로서 콘크리트가 이상팽창을 발생시켜 그것으로 인하여 콘크리트에 거북 등 모양의 균열을 일으키고, 휨 붕괴가 유발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것을 알칼리 골재반응이라고 말한다.
반응 모식도
알카리 골재 반응의 종류 ① 알카리-실리카 반응 : 대표적인 반응으로 알카리 금속이온과 수산기 이온이 골재의 비결정질 실리카 혹은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의 실리카 사이에 발생한다. 이 과정에서 알카리-실리카 겔이 형성되어 수분을 계속 흡수 팽창한다. ② 알카리-탄산염 반응 : 점토질의 돌로마이트 석회석과 시멘트의 알칼리 사에에서 발생하는 유해한 반응이다. ③ 알카리-실리케이트반응 : 암석중의 충상구조인 Vermiculite가 알카리와 수분의 존재하에 팽창하는 것이 원인이다.
알카리 골재 반응의 영향 / 방지대책
함수상태 - 골재는 결코 수분을 가지지 않는 상태에서 표면에 수분이 흐르게 되는 상태까지 각각의 함수 상태가 있다. - 건조 골재 ⇒ 워커빌리티 / 강도 감소 ① 절대건조상태(절건상태) : 골재의 내부조직에 변화가 생기지 않을 정도의 온도인 100~110℃로 유지한 건조로에서 일정한 무게가 될 때까지 건조시킨 상태로 함수율이 0인 상태이다. ② 공기중 건조상태(기건상태) : 실내에 방치한 경우 골재입자의 표면과 내부의 일부가 건조되어 공기 중의 습도와 재료의 습도가 평형이 된 상태이다. ③ 표면건조 포화상태(표건상태) : 골재입자의 표면에는 물이 없으나 내부의 공극에는 물이 꽉차있는 상태로서 콘크리트 배합설계 시 기준의 상태이다. ④ 습윤상태 : 골재입자의 내부에 물이 채워져 있고, 표면에도 물이 부착되어 있는 상태이다.
흡수율
흡수율에 영향을 주는 요인 (단위수량 증가원인) ① 골재의 석질이 치밀하지 못하면 흡수율 증가 ② 다공질일수록 흡수율 증가 ③ 풍화가 심하게 진행된 사석과 연석을 포함한 것은 흡수율 증가 ④ 비중이 클수록 흡수율 증가
비중과 흡수율 관계 : 역수관계
4. 단위 용적중량과 실적률
단위 용적중량 : 골재의 단위 용적중량은 기건상태에서 골재의 1㎥의 중량 실적률 : 실적률은 골재의 단위 용적 중의 골재 사이의 빈틈을 제외한 골재의 실질 부분의 비율, 골재의 입도, 입형이 좋고 나쁨을 알 수 있는 지표.
① 실적률=w/ϱ×100(%) ② 공극률=(1-w/ϱ)×100(%)=100-d(%)
5. 혼합수(배합수)
혼합수 혼합수(mixing water)는 콘크리트의 비비기에 사용하는 물로, 콘크리트의 용적의 약 15%정도를 차지하며 콘크리트에 필요한 유동성을 주고, 시멘트와 수화 작용을 하여 경화를 촉진시키는 콘크리트의 기본 재료이다. - 배합수의 유해물질 함유 ⇒ 응결, 경화 및 강도 감소, 체적변화, 녹등 발생 ⇒ 깨끗한 물 사용 필요
배합수의 종류 ① 상수도물 : 배합수로 사용에 적합하다. ② 하천수, 지하수, 회수수는 사용시 유해물질 함량의 주의가 필요하다. ③ 해수 : 무근콘크리트에 사용가능하나, 장기강도/내구성 저하 및 에플로레센스 유발
♡ 방수재
1. 방수재료의 종류별 특징과 장단점
♡ 목재
※ 목재의 벌목시기 - 수목의 성장이 정지, 수액이 빠져나간 겨울이 좋으나 작업환경이 난이하여 종합적으로 가을이 좋음 ※ 강도 : 활엽수>침엽수 ⇒ 활엽수가 주로 수입 및 사용
1. 목재의 구조 나이테 : 수간의 횡단면상에 나타나는 동심원의 조직. 춘재와 추재의 1쌍의 나비
심재와 변재
2. 목재의 결함
갈라짐(Crack) : 불균일한 건조 및 수축에 의하여 생기는 것 옹이(Knot) : 가지가 줄기의 조직에 말려들어간 것 ⇒ 외관을 손상시키며 인장 및 휨강도가 저하 송진구멍 : 목질 틈서리에 송진이 모인 것 입피(껍질박이) : 수목이 성장도중 수목 세로방향의 외상으로 수피가 말려들어 발생된 흠 뒤틀림 : 휘거나 비틀어지는 등 기형으로 변형되는 것 혹 - 섬유가 집중되어 볼록하게 된 부분으로 뒤틀리기 쉬우며 가공하기도 어렵다. 썩정이 - 부패균이 목재 내부에 침입하여 섬유를 파괴시킴으로써 갈색으로 변색, 부패된 것.
3. 목재의 장단점
4. 목재의 건조
목재를 건조 목적 • 목재 수축에 의한 변형및 손상 방지 • 목재의 강도 향상 • 못, 나사의 유지력 증가 • 접착성의 개선, 운반비 절감 • 도장성의 개선(도료의 침수성) • 열 / 전기 절연성의 증가 • 방부, 방충, 난연제 등 약제주입 용이 • 부패, 변색 및 충해 방지
건조시 발생되는 손상 할렬 : 건조시 발생되는 힘이 목재자체의 강도보다 클 때 목재의 축 방향으로 터지는 것 틀어짐 : 목재가 건조 중에 휘거나 비틀어지는 등 기형으로 변형되는 것 변색 : 균 또는 목재에 함유되어 있는 수용성 추출물과 열의 반응에 의하여 생김
자연건조
인공건조 : 인위적으로 설정한 건조조건을 이용하여 천연건조에서는 도달할 수 없는 낮은 함수율까지 급속하게 그리고 손상없이 목재를 건조시키는 것이 목적 열기건조 : 온도와 습도가 조절되는 건조실내에 목재를 잔적한 후 건조스케줄에 의해 목재를 건조하는 방법, 일반적인 방법이다. 진공건조법 : 부분적인 진공상태에서 물의 끓는점이 낮아지는 원리를 이용하여 목재를 건조하는 방법이다. 진공건조는 고온건조의 장점을 지니면서, 고온건조에서 발생하는 건조결함이 최소화된다. 조재의 열기건조를 위한 예비건조로서의 효과
제습건조 : 열교환기에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목재를 가열하고, 목재에서 증발된 수분을 응축시켜 제거하는 건조방법. 중규모 건조실에 적합
5. 목재의 가공 제품
합판 : 통상 목재를 얇게 절삭한 단판에 접착제를 도부하고 홀수매가 되도록 적층하되 인접 단판간의 목리(섬유방향)가 서로 직교하도록 구성하여 제조한 1매의 판상제품
합판의 특징 ① 절삭, 휨가공, 접합 등의 작업이 용이 ② 무게에 비해 강도적 성질이 우수 ③ 건조한 목재를 사용하므로 전기절연성이 우수 ④ 음향이나 기계적 진동에 대한 흡수능력이 우수 ⑤ 열전도도가 작고 비열이 큼 ⑥ 특유의 친숙한 시각 및 촉감을 나타내며 단판의 적절한 조합으로 미관적 가치가 높은 재료로 제조할 수 있음
집성재 : 제재판 또는 소각재 등을 섬유방향이 일치되도록 길이, 폭, 두께 방향으로 집성, 접착하여 제조한 목질재료
※ 합판과 집성재 차이
라미우드 : 원목의 2차 가공제품 표면에 특수 래핑필름을 접착한 라미네이트 목재시스템 - 특징 : 뒤틀림, 휨 등의 변형이 없고, 무늬와 질감을 가짐
파티클보드 : 식물성 섬유를 접착제로 성형, 열압하여 제판한 비중 0.4 이상의 판. - 특징 : 강도에 방향성이 없고 큰 면적의 판을 만들 수 있음
코펜하겐 리브판 : 긴 판에다 표면을 리브로 가공한 것 - 목재루버라고도 하며 리브재 옆에 생기는 빈틈과 뒷면 띠장 부분의 공기층이 고음을 처리하게 되어 음향 효과가 좋다 |
'건축재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집수정 (0) | 2009.09.22 |
---|---|
[스크랩] 철골조로 건물을 짓는 이유 (0) | 2009.09.22 |
[스크랩] 구조물은 어떻게 서있는가? (0) | 2009.03.22 |
[스크랩] 도면 약어 - 재료, 도료, 구조 .. (0) | 2008.09.02 |
[스크랩] 도면약어 - 일반 .. (0) | 2008.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