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스크랩] 건축관련용어집.

김프로님 2007. 2. 25. 22:16

ALC바닥

ALC는 바닥에서 지붕까지 단일자재를 사용하여 집을 지을 수 있다. 내외벽에는 ALC블록을 비닥과 지붕에서는 ALC패널을 사용하면 집의 주요 구조체가 구성되고 계단과 인방도 ALC 사용한다. 여기에 내외부 마감은 ALC에 적합한 플라스터를 사용하면 마감공사도 완료된다.

이렇게 ALC 하나의 자재로 집을 지을 수 있다는 것은 건축주나 건설회사에 많은 장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하나의 자재만을 사용하면 공종이 단순해지고 작업효율성이 높아 공사기간의 단축 및 공사비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시공관리가 용이하고 건축물의 전체적이 품질관리가 철저히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자재의 사용으로 바닥에서 지붕까지 실내의 균일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바닥에서 지붕까지 ALC만을 사용한다는 것은 즉 합리적인 건축이 가능하다는 의미


CAD시스템

건축분야에서의 CAD시스템에 대한 관심과 활용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미국 건축분야에서의 CAD시스템의 이용 현황을 살펴보면, 하드웨어는 일반적으로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을 메인컴퓨터(Main Computer)와 접속하여 사용하고 있다. 미국에 잇는 설계사무소의 CAD시스템 보급비율을 살펴보면 ACMA-7.2人/대, SOM-11.3人/대, SSOE-18.2人/대 등이며, 일부 설계업체에서는 차후 모든 설계자들에게 워크스테이션을 배치할 장기계획을 세우고 있다.

대부분의 CAD이용 설계회사들은 범용적인 기능을 위주로 개발된 CAD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워크스테이션용 S/W로써 INTERGRAPH, GDS, SIGMA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범용작도기능을 중심으로 개발된 S/W들은 사용의 용이성이나 기능면에서 이용자의 만족도가 높지 않으며, 3차원 모델링, 자동작도, 각종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는 S/W는 아직 가격이 높은 편이다.

정부관계의 업무는 CAD에 의한 도면이 아니면 입찰할 수 없도록 되어 있으며 앞으로 이용을 촉진하지 않으면 생존할 수 없다는 인식을 각사 모두 갖고 있다.

이와 같이 미국 건축설계업계에서의 CAD이용은 착실하게 실무에 정착되어 가고 있다. 현재 미국의 이용상황으로 보아 앞으로 CAD시스템의 개발이나 보급에 있어서 고려할 사항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CAD를 보급하고 실무에 정착시키기에는 시스템이 아직 고가이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PC와의 역할 분담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이 유리하다.

(2) 설계, 구조, 설비등의 각 분야간, 회사간의 통신회선을 통해 데이터를 공통적으로 이용하고 업무를 동시에 병렬적으로 추진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3) 소프트웨어의 개발은 각각의 설계사무소에서 행하는 것이 아니고 개발전문회사에서 전담해 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소프트웨어는 각사의 특수사정에 대응할 수 있도록 고도의 적용성(customization)이 요구되고 있다.

(4) 그래픽으로 건축설계이용은 작성비용이 높아 아직 실용적인 것은 아니지만 3차원기능을 가진 CAD시스템으로 도면작성 등과 데이터를 공통적으로 이용한다면 실용화가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Deck Plate

이니카의 데크 플레이트는 종래의 시공 건축물은 하중, 공사기간, 시공상의 난점, 과다한 비용지출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완전히 해결한 최첨단건축 및 교량자재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조립 작업의 합리성과 스피디한 기능성으로 업계의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이니카 DECK-PLATE 앞선 정보와 최첨단 설비로 이루어진 노력의 결실입니다.

∘특 징

  - 건축의 하중을 감소합니다.

  - 시공이 간편하여 공사기간을 단축합니다.

  - 부대설비 시공이 용이합니다.

  - 공사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습니다.

  - 용도가 다양합니다.

∘용도

  - 2콘크리트 타설시 거프집대용

  - 바닥보강재의 역할

  - 구조적 보강재의 역할

∘성형재질

  - HR / CR / H.GI / C.GI / 갈바륨

 


H형강

단면이 H형인 형강(形鋼). 건축물․선박 등 대형 구조물의 골조나 토목공사에 널리 쓰이는 구조용 강재(鋼材)인데   열간압연(熱間壓延)에 의해 제조된다. H 중앙의 가로부위를 웨브(web), 양쪽의 세로부위를 플랜지(flange)라 한다. 플랜지가 300㎜ 이하인 것을 주니어사이즈, 300㎜ 이상인 것을 시니어사이즈라고 한다. 

단면이 H형인 형강(形鋼). 건축물․선박 등 대형 구조물의 골조나 토목공사에 널리 쓰이는 구조용 강재(鋼材)인데   열간압연(熱間壓延)에 의해 제조된다. H 중앙의 가로부위를 웨브(web), 양쪽의 세로부위를 플랜지(flange)라 한다. 플랜지가 300㎜ 이하인 것을 주니어사이즈, 300㎜ 이상인 것을 시니어사이즈라고 한다. 동일한 단면을 가진 것으로 I형강이 있는데, H형강에서는 플랜지 두께가 끝부분까지 일정하고 플랜지 끝부분이 둥글지 않으며 I형강에서는  나비가 높이보다 작으나 H형강에서는 나비가 높이와 같은 치수인 점 등이 서로 다른 점이다. 나비가 넓은 것을  와이드플랜지 H형강이라 하고, 전체적으로 단면이 정사각형 모양이기 때문에 건물의 기둥 등에 편리하게 사용된다.

 


Network 공정표

네트워크 공정표는 작업과 결합점과의 관계로 표현되어지는데, 네트워크 공정표의 기본원칙에는 다음과 같은 ①공정원칙, ②단계원칙, ③활동원칙, ④연결원칙이 있으며, 이원칙들은 공정표 작성시에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

∘공정원칙

  - 모든 공정은 각각 독립된 공정이다.

  - 모든 공정이 반드시 수행되어야만 전체 공사가 완료된다.

∘단계(Event)원칙

  - 어떤 결합점으로 연결된 모든 활동이 완수될 때까지 그 단계에 후속되는 모든 작업은 그 시점에서 발생할 수          없다는 원칙

∘활동(Activity)원칙

  - 각 작업(활동 : Activity)은 자원과 시간을 소비하는 공정활동으로 어떤 활동이 시작될 때 이에 선행하는 모든         작업활동은 완료되어야 한다.

∘연결원칙

  - 각 결합점은 모두 연결되어 있어야 하며

  - 연결은 한쪽방향의 화살표로만 표시되어야하며 좌측에서 우측으로의 일방통행의 원칙이 적용된다. (Looping 방지)

∘네트워크 작성상의 일반원칙

  - 화살선은 역진 혹은 우회곡선을 사용하지 말 것

  - 가능한한 요소작업 상호간의 교차를 피할 것

  - 무의미한 모의 작업(Dummy)은 피할 것

  - 알아보기 쉽고, 자료를 기입하기 편리하게 그릴 것

∘네트워크의 표시방법

  - 네트워크 공정표에서 작업상호간의 관계라든가 전체적인 작도방법을 일정한 기법에 의거 함축적으로 표현하는         것은 공정관리의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 공정표를 원활히 사용하기 위한 표시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작업의 분할표시

  ② 작업의 집약표시

  ③ 동시작업의 표시(병렬처리)

  ④ 종속.독립관계의 표시

  ⑤ 교차작업의 표시

  ⑥ 반복작업의 표시

 


PC포장 침하와 Lift-up 공법

근래 일본에서는 많은 공항이 매립지나 높은 성토부위에 건설되고 있는데, 이 경우의 포장에 있어서는 건설 후 지반의 압밀에 다른 침하나 부등침하가 예상된다. 이러한 포장의 침하  보수에 있어서, 윤(輪)하중이 큰 공항포장 등에서는 아스팔트의 적용이 곤란하고, 또 콘크리트는  그 양생을 위한 시설의 폐쇄기간이 길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콘크리트 포장에서는 이에 대한 해결책의 하나로서 콘크리트슬래브(slab)를 들어 올리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는데, 이 방법은 공항의 에이프런(apron)과 같은 넓은 면적의 포장에서는 콘크리트가 무겁과 갈라지기 쉬우며, 휘어지기 어렵기 때문에 침하된 슬래브를 들어 올려 보수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다라서, 이  방법은 슬래브를 들어 올리기 위한 잭(jack)의 용량이나 간격 등을 고려할 때, 무근 콘크리트 포장에 비하여 슬래브의 두께를 작게 할 수 있고 휨강도가 큰 PC(Prestressed Concrete)포장에 적합한 방법이다. 최근 일본 운수성 항만 기술연구소에서는 PC스르래브이 침하를 복원 보수하기  위하여 종래의 Lift-up방법(pull-up 방식, screw jack 방식 등)의 몇가지 문제점을 해결한 새로운 Lift-up공법을 개발 하였다.

이 공법은 PC포장의 침하부분에 일정한 간격으로 슬래브에 구멍(150mm)을 뚫은 후, 전용   굴착기를 이용해서 기층(base course)에 원형공간(450mm)을 만들어 콘크리트의 반력판을 만든 다음, 그 구멍 속에 삽입할 수있도록 작게 분할한 부품들을 조립해서 전동(電動)유압 잭(lift-up jack:용량-30tf, lift-up 가능높이 -15cm)을 설치한다. 그 후에 컴퓨터의 제어로 유압 잭을 동시에 슬래브와 기층위의 반력판에 작용시켜서 일정한 높이까지 슬래브를 들어올린 다음, 슬래브와  기층위의 반력판에 작용시켜서 일정한 높이가지 슬래브를 들어올린 다음, 슬래브와 기층과의 틈속에 시멘트 그라우트(grout)를 채워서 복원하는 공법이다.

 


ㄱ자쇠

ㄱ자쇠는 환기덕트를 만들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단면이 큰 함석재의 덕트는 띠쇠․ㄱ자쇠 등으로 테를 둘러 보강하고 견고히 설치 고정한다. 특히, 굴곡부․분기부․도입구 및 배출구의 접속은 기밀하고 완전하게 가공․설치한다.

 


가구식 구조

구조물을 건축할 때 2개의 수직부재인 기둥(post)들이 3번째 부재인 상인방(lintel)을 지탱하고 있는 구조. 상인방은  기둥 윗면을 가로질러 수평으로 놓여 있다. 모든 건축의 통로는 이 체계로부터 나온 것이고, 출입문․창․지붕이 보통 벽의 일부이기 때문에 이 체계의 원형은 주랑(柱廊)이나 골조식 구조에서 볼 수 있다.

상인방은 변형되거나 파괴되지 않으면서 자신의 부하(負荷)뿐만 아니라 가해지는 부하까지  견딜 수 있어야 한다. 벽돌이나 석재는 인장력이 약해서 상인방의 길이가 짧은 곳에만 사용할 수 있는 데 반해, 강철은 긴 상인방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벽돌 상인방은 모르타르의 응집력에 의존하므로 인장력이 특히 약하다. 이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 벽돌건물에서는 한 물체로 된(단일 슬래브) 석재 또는 목재를 쓰거나 보다 강한 물질의 상인방을 사용한다.   기둥은 부서지거나 뒤틀리지 않으면서 상인방과 부하를 견뎌야 한다. 특히 기둥의 재질은   압축에 대해 강하다.

 


가는살문

- 팔각돌림살문 : 현재 많은 사람이 찾고 있는 전통 살문 중 하나이다 팔각돌림살은 살의 배분에 특히 신경을        써야 본래의 아름다움을 찾을 수 있다.

 

 

- 거북살문 : 거북이의 모양을 하고 있어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의미가 있다. 현대의 건축에서 거실중문, 아파트 등       여러 곳에 사용된다. 역시 살의 배분을 잘 맞추어야 살문의 아름다움을 맛볼 수 있다

 

 

- 세살문 : 문의 기본적인 모양으로 곳게 뻗은 살이 깔끔한 느낌을 주어 보는 이에게 마음을 곳게 하고 흐트러진     심신을 바로 잡는 내면적인 뜻이 있다고 한다. 살들이 조밀하게 역겨 있어 강한 느낌을 주며 우리나라 옛 가옥     및 사찰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현재도 많이 사용되는 모양이며 살을 한두개 정도 추가 시켜 다른 모양으로의      전환이 용의 하다.

 

 

가새

건축 등의 구조체(構造體)에서 주요한 직선재(直線材)를 4각형으로 조립할 경우 대각선 방향으로 대는 보강재  (補强材)의 총칭. 4각형을 3각형의 단위로 분할하는 것으로서, 골조(骨組)가 변형하는 것을 막고, 그 면에 작용하는 수평력(水平力)을 부담한다. 주로 바람이나 지진의 힘에 저항하기 위하여 건물의 기둥․토대(土臺)․들보 등으로 구성되는 내력벽(耐力壁)의 보강에 사용된다.

건축 등의 구조체(構造體)에서 주요한 직선재(直線材)를 4각형으로 조립할 경우 대각선 방향으로 대는 보강재(補强材)의 총칭. 4각형을 3각형의 단위로 분할하는 것으로서, 골조(骨組)가 변형하는 것을 막고, 그 면에 작용하는 수평력(水平力)을 부담한다. 주로 바람이나 지진의 힘에 저항하기 위하여 건물의 기둥․토대(土臺)․들보 등으로 구성되는 내력벽(耐力壁)의 보강에 사용된다. 또한 마루바닥의 평면이나 가옥 구조와 들보 사이에 수평가새를 넣어서 외력(外力)을 내력벽을 포함한 간막이 골조에 널리 전달시키는 경우도 있다. 가새에는 수평력의 방향에 따라 압축 또는 인장력 (引張力)이 작용하기 때문에, 압축력을 부담하려면 그것이 접하는 기둥과 같은 치수 또는 3할 이상의 굵기의 것을 이용하고, 그 이하의 얇은 가새나 철근가새, 평강(平鋼)이나 형강(形鋼)을 사용한 철근가새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각개통기

통기관의 배관 방식으로 각 위생기구로 부터의 배수관 (트랩에 가까운 하류측)에 ,각각 통기관을 부착하여 통기를 하여 트랩에 봉수 의 보호, 배수관내의 가스의 배기를 한다.

 


각석

울산광역시 울주군(蔚州郡) 두동면(斗東面) 천전리(川前里)에 있는 선사․역사시대 유물. 나비 9m, 높이 2.7m. 자연석이면서도 인공으로 다듬은 듯 반듯하고, 15˚ 각도로 기울어져 있어서 풍우에 의한 마손(磨損)을 덜 받았다. 암벽 전체에 새겨진 무늬와 문자는 잡다한 내용이나 그 형태를 보면 그림이 먼저 있었고 글씨는 뒤에 새겨진 듯하다.

울산광역시 울주군(蔚州郡) 두동면(斗東面) 천전리(川前里)에 있는 선사․역사시대 유물. 나비 9m, 높이 2.7m. 자연석이면서도 인공으로 다듬은 듯 반듯하고, 15˚ 각도로 기울어져 있어서 풍우에 의한 마손(磨損)을 덜 받았다. 암벽 전체에 새겨진 무늬와 문자는 잡다한 내용이나 그 형태를 보면 그림이 먼저 있었고 글씨는 뒤에 새겨진 듯하다. 상부의 무늬는 조탁기법(彫琢技法)을 썼으며 하부의 무늬는 선각(線刻)에 의하여 만들어졌는데, 이것은 제작시대 및 제작자가 달랐음을 뜻한다. 한편, 상부에는 마름모꼴무늬․굽은무늬․둥근무늬․삼각무늬 등이 겹 또는 연속으로 나타나는데, 이로 미루어 신석기시대 무늬토기의 양식을 이어받아 청동기시대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상부 중심부에는 당시의 어떤 종교의식이나 신앙관념과 관련 있는 표현으로 보이는 도안화된 얼굴의 인물과 태양을 나타낸 듯한 둥근무늬 등이 새겨져 있다. 또 각석 아래쪽에는 대개 삼국시대부터 통일신라시대에 이르기까지 여러 대에 걸쳐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선각화(線刻畵)와 명문(銘文)이 뒤섞여 있어 신라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이용되고 있다.

 


간석

- 화엄사각황전앞석등

전라남도 구례군(求禮郡) 마산면(馬山面) 황전리(黃田里) 화엄사 각황전 앞에 있는 석등. 높이 6.36m. 통일신라시대에 만들어진 화강암석등으로 현존하는 석등 가운데 가장 크며, 부분적으로 균열이 있으나 완전한 형태로 남아 있다. 기본형은 8각(八角)이며 하대석 각면에 안상(眼象)이 조각되고 그 위에 귀꽃이 장식된 복련8엽(複蓮八葉)이 새겨졌으며, 윗면 얕은 굄위에 구름무늬[雲文]가 조각된 하단과 8각 소루형(小累形)인 상단에 2단의 간석(竿石) 굄이 있다. 간석은 고복석(鼓腹石) 형식으로 편구형(扁球形)이며 중심에 가로줄 2줄이 돌려지고 4개의 꽃무늬가 조각되어 있다. 간석 위에 단판(單瓣) 8엽의 연화(蓮華)가 수평으로 조각된 앙련석(仰蓮石)을 올렸고, 그 위에 소로형의 8각 화사석(火舍石) 굄이 있다. 화사석은 8각 1석으로 4면에 화창(火窓)이 뚫려 있다. 옥개석(屋蓋石)은 모서리마다 꼿꼿이 서고 큼직한 귀꽃이 달린 8각형으로 꼭대기에 8각제형(八角梯形)․8각주형(八角柱形)․8각앙련(八角仰蓮)․구름무늬복발형[雲文覆鉢形] 등이 층층이 놓이고 옥개석과 같은 형식의 작은 보개(寶蓋)가 놓였으며, 다시 높직한 보륜(寶輪) 위에 보주(寶珠)가 얹혔다. 간석 밑과 위의 비례가 맞지 않아 위쪽이 아래쪽에 비해 무거워 보여 둔중한 느낌을 준다. 국보 제 12호

 


감잡이쇠

일반 건축물에서 각 부분의 기능과 성능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부속적으로 부착, 사용되는 금속제품. 이음․맞춤 보강철로 건축용 부재의 이음과 맞춤․조립․붙여대기 등에 쓰이는 철물은 매우 다양하다. 주로 건축용 부재의 이음 및 맞춤을 더욱 긴결(緊結)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강재 이음․맞춤에 사용되는 볼트․너트․리벳․와셔 등이 있으며, 목재에는 못․나사못․꺾쇠․볼트류․맞춤못․감잡이쇠․꺾쇠안장쇠․띠쇠․쐐기 등이 쓰인다. 콘크리트나 조적벽체용으로서는 인서트(insert)․드라이핀․하이앵커 등이 사용된다.

 


강관

강철로 만든 파이프. 유체 수송용, 기계의 구조물, 일반 구조물용 등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바깥지름 50cm 이하의 이음매 없는 강관과, 바깥지름 50cm 이상의 이음매강관으로 구분된다. 이음매 없는 강관은, 전기로(電氣爐) 동에 의해서 만들어진 질이 좋은 강철을 냉간인발법(冷間引拔法)으로 만든다. 바깥지름 35cm 이하의 것은 열간가공법(熱間加工法)으로 만든다. 보일러의 증기관, 압착공기관(壓搾空氣管), 수압기(水壓機) 등의 압력수관(壓力水管) 등에 사용된다.

이음매강관은 강판을 말아 원통형으로 만들어 전기용접 또는 가스용접을 하여 만드는 용접강관, 리벳으로 접합한 리벳 이음매강관 등이 있다. 용접강관은 고압용으로, 리벳 이음매강관은 저압용으로 사용된다. 가스․중기․물 등을 보내는데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강관은 이음매 없는 강관 또는 단접강관(鍛接鋼管)인데, 이것은 보통 가스관이라고 한다.

 


강관구조

 

 

강도

물체의 강한 정도. 재료에 부하가 걸린 경우, 재료가 파괴되기까지의 변형저항을 그 재료의 강도라고 한다. 인장강도, 압축강도, 굽힘강도, 비틀림강도 등이 있다.

인장강도는 시험편을 서서히 잡아당기는 인장시험으로 측정하며 압축강도는 짧은 기둥모양의 시료에 축방향으로 압축하중을 가햐여 측정한다. 비틀림강도는 둥근 기둥모양의 시료가 비틀림에 의해 파괴되었을 때 가해진 비틀림 모멘트로부터 계산에 의해 구한다.

 


강도시험

섬유강도시험 - 강도시험에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것은 인장(引張) 강도시험기이며, 그 밖에도 파열(破裂) 강도시험기, 인열(引裂) 강도시험기, 마모(摩耗) 강도시험기, 충격(衝擊)시험기 등이 있다. 인장강도시험기는 인장 기구에 따라 수동식, 공기 또는 액체 실린더식, 전동식으로 구분되며, 하중기구(荷重機構)로 구별하면 활동분동(滑動分銅) 마그넷, 스프링, 흔들림추의 변위, 사슬에 의하는 것 등 여러 가지 방식이 있다. 인장강도시험기에는 단섬유(單纖維)의 강도나 신도(伸度)를 시험하는 것, 섬유 속의 강도를 시험하는 것, 실의 강도와 신도를 시험하는 것, 직물의 강도와 신도를 시험하는 것 등 시험대상과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의 시험기가 있다.

이 강도시험기는 타래실의 인장강도를 시험하는 데 쓰이는데, 전동기로 일정한 인장속도로 잡아당겨서 절단되었을 때의 하중과 신도를 알 수 있게 되어 있다. 쇼퍼형 직물인장강도시험기는 직물이나 판지 또는 강한 실 등의 시험에 쓰이는데, 하중은 흔들림추의 변위로 알게 되어 있으며, 또한 하중-신장곡선을 자동으로 그리도록 되어 있다.

하중기구는 수동이나 자동 어느 것에도 클러치로 자유롭게 바꿀 수 있게 되어 있다. 하중-신장곡선의 자동기록장치는 기계적․전기적 또는 광학적인 여러 가지 기구가 고안되어 있다. 근래에는 저항선 스트레인게이지를 이용한 만능형 인장강도시험기가 생산관리용․연구용 등으로 널리 쓰이고 있다. 이 시험기는 시험용량을 몇 그램부터 몇 톤까지, 인장속도는 매분 0.01 mm 이하부터 매분 2 m까지 광범위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전자기기를 이용한 기록장치도 부착되어 있어서 고도의 정밀시험을 할 수 있다.

파열강도시험기는 고무풍선을 직물로 감싼 다음 부풀게 하면 직물은 최후에는 찢어진다. 파열강도시험기는 이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직물을 엷은 고무판과 함께 원형 쇠고리로 채운 다음 고무관쪽으로 기체나 액체로 압력을 주면 직물은 고무와 함께 부풀며, 최후에는 찢어지게 되는데, 이때의 기체나 액체의 압력 또는 부풀어 오른 높이로써 직물의 강도를 비교하게 된다.

충격시험기는 실이나 직물에 순간적으로 충격을 주어 절단하는 데 쓰인 일의 양을 측정하여 충격에 대한 저항력을 아는 데 쓰인다. 마모강도시험기는 주로 직물의 마모에 대한 저항력을 알아보는 데 쓰인다. 시료를 시험대 위에 올려놓고 시료 위를 사포로 마찰시켜서 내마모성을 비교한다.

한국산업규격에는 인플레티드 다이어프램식을 채택하고 있다.

 


강성

재료에 변형을 가할 때 재료가 그 변형에 저항하는 정도를 나타낸 것.

탄성체에 외부의 힘이 가해졌을 때의 변형은 힘이나 모멘트의 크기 외에 탄성체의 형상, 지지방법, 재료의 탄성계수 등에 따라서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재료의 강성은 단위변화량에 대한 외력의 값으로 나타낸다. 인장에서 신장은 외력에 비례하는데, 단위신장을 주는 외력을 신장강성이라고 한다.

빔을 구부릴 때 빔의 처짐곡선의 곡률(曲率)은 휨모멘트 M에 비례하며, (탄성률 E)×(단면 2차 모멘트 I)에 반비례한다. 곡률은 휨모멘트 M이 같아도 E×I가 작을수록 크다. 그러므로 EI는 처짐곡선에서 곡률의 크기를 나타내는 계수이다. 이것을 휨강성이라고 한다. 또 막대를 비틀 때, 단위 길이 당의 비틀림각은 비틀림모멘트에 비례하지만 단위 비틀림각을 주는 비틀림모멘트를 비틀림강성이라고 한다.

 


강재

제강할 때에 생기는 비금속성 찌꺼기. 제강로의 종류에 따라 전로(轉爐)강재․평로(平爐)강재․전기로(電氣爐)강재 등으로 나뉘며, 제강법에 따른 강재의 염기도에 따라 염기성 강재와 산성 강재로 구분된다.

전로제강법에서는 노 속에 넣은 물질 중 정련 때 강 속에 포함되지 않고, 가스화하여 배출되지 않는 것은 강재가 된다. 산성 전로(베세머 전로)에서는 노 속에서 정련되는 금속량의 510%에 달하는 강재가 생긴다. 염기성 전로(토머스 전로)에서는 탈인(脫燐)을 하기 위하여 석회를 속에 넣으므로 강재의 양이 많아져서 정련금속 중량의 1535%에 이르게 된다. 성분은 대략 산화칼슘 CaO 4555%, 오산화인 P2O6822%, 산화망간 MnO 510%, 규산 SiO2 57%, 철 Fe 812%이다. 이 강재는 토머스 인산비료(燐酸肥料)로 비료가 된다.

 


강재창호

강재(鋼材)를 주재료로 한 새시(sash)․도어 등의 창호. 알루미늄 합금제 창호․목제창호 등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주로 철근콘크리트구조의 건축에 사용한다. 강재로는 보통강과 스테인리스강을 사용한다. 보통강은 방청처리(防處理)를 충분히 하고, 25년마다 다시 방청제를 칠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점차 사용하지 않게 되었고, 그 대신 알루미늄 합금제 창호가 많이 사용된다.

18:8 의 스테인리스강(Cr 18%, Ni 8%)을 사용하나, 값이 비싸기 때문에 주로 빌딩․상가용으로 사용한다. 개폐방법․모양․규격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한국공업규격(KS)에서 새시 등에 대한 치수, 풍압에 대한 강도, 기밀성, 수밀성, 표면처리방법 등의 기준을 규정하고 있다.

 


강절점

부재와 부재의 접합의 한 형식으로 접합된 부재 상호간의 각도가 외력을 받아도 서러 이동도 회전도 할 수 없는 접합으로 라멘의 절점은 강접합 이다.

 


강판

강철로 만든 판. 판 두께에 따라 6mm 이상인 것을 후판(厚板), 그 이하 1~6 mm의 것을 중판, 1mm 이하인 것을 박판(薄板)이라 한다. 이것은 건축․교량․차량․선박 등에 사용되는 일반구조용인 열간압연강재(熱間壓延鋼材), 용접성이 우수한 용접구조용 강재, 항복점(降伏點)이 높은 비조질고장력강(非調質高張力鋼)․조질고장력강이 있다. 비바람에 노출되는 건축․교량․철도차량, 대기오염이 심한 공장지대, 염해(鹽害)를 받는 곳 등에 사용되는 내후성(耐候性) 강판과 저온용강판․냉간압연강판(冷間壓延鋼板)․표면처리강판․표면특수형상강판 등이 있다.

 


개구보

지나다닐수 있는 구멍

 


개별실 급탕방식

사용개소 마다 탕비기 설치

개별식(국소식) 급탕 방법 : 순간온수기, 저탕형 탕비기, 기수 혼합식

 


개산견적

기존에 실시햇던 비슷한 건축물공사의 경험이나 시행자료, 통계치,실험치에 의해서 대략적으로 공사비를 산출하는 방법

 


개패조정기

- 자동전압개패조정기

직류발전기․동기발전기(同期發電幾) 등에서 발전기의 출력전압을 부하(負荷)나 속도의 변동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하는 장치. 약칭AVR. 이에 의한 전압 조정은 발전기의 출력전압을 검출하여 이것을 설정값과 비교하고 그 편차에 따라 여자전류(勵磁電流)를 변화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자동전압조정기는 제어 방식에따라 연속식과 불연속식으로 크게 구분된다. 연속식에서는 파워트랜지스터(power transistor)․사이리스터(thyristor) 등에 의해 연속적으로 제어된다. 불연속식은 온․오프식이라 하는데 출력전압이 어느 일정 값 이상으로 변할때 제어 동작이 일어나며 불감대(不感帶)를 가지고 있다.

 


거더

거더란 대들보를 말하는것으로 거더의 종류로는 플레이트 거더, 합성거더 등이 있다.

- 플레이트 거더

강판․L형강 등을 리벳․용접으로 붙여서 만든 도리 또는 보. 가장 좋은 단면형상은 보의 중심으로부터 될 수 있는 대로 멀리 판(板)을 배치한 것이므로 I형의 단면형상으로 된 것이 많다. 최근에는 속이 빈 상자형의 것도 많이 이용된다. 최소 단면으로 비교적 큰 강성을 갖도록 제작할 수 있으나, 복부는 압축력을 많이 받아서 압궤(壓潰)될 우려가 있으므로, 지지점이나 집중하중점에는 보강재를 사용해야 한다. 플레이트거더는 교량 가설시에 많이 사용된다.

 


- 합성거더

서로 다른 재료로 거더를 합성하여 휨저항을 증대시킨 거더. 복합거더라고도 한다. 철근콘크리트구조의 바닥을 가진 강형교(鋼橋)에서는 바닥은 다리 위를 지나는 하중을 다리의 본체인 주(主)거더에 전달하는 구실을 할 뿐만 아니라 주거더와 합성하여 휨에 대하여 일체로 작용하도록 하는 경우가 많다. 이것이 강(鋼) 콘크리트 합성거더이다. 이 경우에 휨을 받으면 철근콘크리트 부분은 압축에 저항하며, 강거더 부분은 주로 인장에 저항하여, 각각 재료의 특징을 살려 협력하므로 경제적인 구조형식이라고 할 수 있다.

 


건축

건축이란 인간의 여러 가지 생활을 담기 위한 기술․구조 및 기능을 수단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공간예술이다. 건축은 용도라는 목적성에 적합하여야 하며, 적절한 재료를 가장 합리적인 형식을 취하여 안전하게 이룩되어야 한다. 이로써 건축의 본질은 쾌적하고도 안전한 생활의 영위를 위한 기술적인 전개와 함께, 공간 자체가 예술적인 감흥을 가진 창조성의 의미를 가진다. 이 공간예술을 다루는 작가, 즉 건축가의 입장에 있어서 건축의 공간은 실용적 대상이고, 3차원의 지각적(知覺的) 대상이며, 자기인식의 실존적 대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단순한 건조기술(建造技術)을 구사하여 만들어진 결과로서의 구축물을 건물(building)이라 하고, 공간을 이루는 작가의 조형의지(造形意志)가 담긴 구축의 결과를 건축으로 표현하고 있다.

N.페프스너는 이 건축과 건물이라는 의미를 다음과 같이 구분하고 있다. ■■차고(車庫)는 건물이고, 대성당(大聖堂)은 하나의 건축이다. 사람이 들어가는 데 충분한 넓이를 갖춘 것은 모두 건물이지만, 건축이라는 말은 미적 감동을 목표로 설계된 건물에만 사용된다.■■ 이런 의미에서 사람의 생활을 위해 건조되는 댐․교량 등의 토목구조물은 건축에 포함되지 않으며, 분묘․탑․기념비 등도 역시 건축과 유사한 방법으로 구조되나, 인간의 생활을 담는 기능이 아니므로 또한 건축과 구별해 생각하여야 할 것이다.

 


건축을 이루는 요소는, 매우 다양한 결합으로 판단되나, 대체로 다음의 3가지로 정의할 수 있다.

① 예술적 감흥을 목표로 하는 공간형태(空間形態), ② 진실하고도 견실한 구조기술(構造技術), ③ 편리성과 유용성으로서의 기능이다.

다만 이와 같은 3가지 요소는 낱낱의 성질로서 남는 것이 아니며, 개별적인 해결로써 이루어지는 것도 아니다. 이 건축의 3요소는 서로가 상호 완결적인 관계로서 종합적으로 이루어질 속성에 있는 것이다. 인간생활과 공간과 기능을 엮어내는 작업을 설계(設計)라 하며, 이 설계작업 자체도 역시 이 3요소를 종합적으로 결합시키는 작업이다. 그러므로 아름다운 것만으로, 기능적인 것만으로, 또는 구조체 만으로써는 건축을 이해할 수 없고, 이 요소들의 종합적인 해석을 통해서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건축의 예술성이란 단순히 아름다움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상당히 복합적인 의미로서의 조형(造形)을 통해 그 목적이 달성된다. 이는 ① 성능이 좋은 공간, ② 구조기술의 솔직한 표현, ③ 소재가 가진 본연의 아름다운 성질, 그리고 이들의 종합으로 이루어지는, 균일한 관계로써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궁극적으로 건축은 공공예술의 성격을 가지고 있으므로, 항시 사회문화적인 존재로서 생각되어야 한다. 이런 의미에서 건축은 건축주의 소유가 아니며, 건축가 자신의 것도 아닌 역사와 사회의 것임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건축은 그 자신의 개체적인 건축성뿐만 아니라, 그 주변의 환경적 요소들과 조화되므로, 감흥적이어야 한다는 입장을 벗어날 수 없다. 하나의 거리를 구성하고 있는 건축은 개개의 조형성이 뛰어나면서도, 거리 전체에 대해 균일한 태세에 있지 않으면 안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건축의 수명은 몇 세기에 걸쳐서 유지될 수 있는 역사적 대상이며, 이로써 건축은 개체적인 존재의 의의와 사회적인 존재로서의 의의를 동시에 갖추도록 하여야 한다는 사회적인 책임이 뒤따르는 것이다.

 


건축계획

하나의 건축을 계획하고 설계하기 위해서 여러 전문 분양의 기술을 바탕으로 이들 여러 기술 사이의 모순을 해결하고 조정하여 조합하는 일이 필요하다. 이러한 종합적 기술을 건축계획이라고 한다. 건축 계획은 인간 생활과 건축 공간의 대응 관계를 중시한다 생활면에서의 요구를 올바르게 파악함과 동시에 이를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건축 공간을 만드는 기술과 학문이 건축 계획상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된다고 보는 것이다.

 


건축계획결정방법

건축계획의 방법은 건축주의 요구로부터 시작된다. 주택은 건축주가 건축하려는 자기의 집을 설계자에게 설계를 위탁하게 된다. 건축에 대한 요구는 그 가족 구성원에 따라 서로 다른 내용으로 나타날 수 있는데 주부의 입장에서는 부엌 식사실 가사실 등 가사 공간에 대학 요구가 나올 것이고  또 아이들은 아이들 나름대로의 요구가 있을 것이다. 이때 설계자는 건축주의 요구 및 의견을 정확히 파악하고 종합하여 설계에 반영하게 된다.

 


건축원론

건축계획을 세우기에 앞서 빛․소리․열․공기․빛깔 등 인간에게 가장 기본적인 조건을 충족시켜 주기 위한 학문.

일조(日照)․공기조정(空氣調整)․채광(採光)․조명(照明)․음향(音響)․색채(色彩) 등을 잘 조화시켜서 인간이 생활하거나 활동하는 데 가장 좋은 환경을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건축공간

건축 공간이란 기본적으로 구조체와 공간으로 되어 있다 공간은 건축의 내부 공간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외부 공간이나 여러 개의 건물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외부 환경 등도 건축 계획에서 취급하는 공간이다.

- 건축 공간의 인식

인간은 건축 공간을 조형적으로 인식한다. 시각을 바탕으로 귀 코 손 피부 등 신체 전체로 인식하는 것이다. 따라서    건축 공간의 인식을 시각에 의해 얻어진 것에만 한전한다면 이는 위험한 일이고 건축 공간 계획에 있어서는 시각뿐만 아니라 그빡에 감각 분야까지도 충분한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 내부 공간과 외부공간

일반적으로 건축 공간은 벽을 경계로 해서 안쪽으로 둘러싸인 공간을 내부 공간이라 하며. 내부 공간을 둘러싼 공간을 외부 공간 즉 실외라고 한다. 건축은 인간의 생활을 담는 그릇이므로 내부 공간의 창조에 힘을 기울여 건축물을 완성시켜야 한다.

외부공간은 자연 발생적인 것이 아니고 인간에 의해서 의식적,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외부의 환경을 말한다. 외부공간은 하나의 외부 공간만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건축물을 집단으로 위치했을 때 건축물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전체를 말한다.

- 물리적 공간과 심리적 공간

공간이나 공간 내에 있는 물품을 편리하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실의 크기 높이가 적합해야 한다. 공간의 가장 기본적인 치수는 정지해 있을때나 움직일 때 인체 상태를 측정해 봄으로써 알 수 있다. 심리적 측면에서 생각해 보면 인간은 건축 공간에 포함되는 것이 아니라 이와 대응되어 있는 존재라 볼 수 있다. 인간은 건축 공간에 의해서 규제와 영향을 받는 반면에 시대상, 생활상의 변화를 건축 공간에 반영하기 때문에 건축 공간은 계속해서 변화와 발전을 하게 된다.

 


건축 설계의 진행방법

프로젝트 설계의 단계별 진행방법 혹은 절차를 의미한다.

 


건축설비공학

기계공학과 전기공학을 건축용으로 재편성함.

 


건축의 구성

형태와 공간을 효과적으로 배합하기 위해 대칭요소를 활용할 수 있다.

 


건축의 어원

희랍어의 architection 그리고 라틴어의 architectura에서 나온 것으로 어느것이나 아키텍투라(Archi/Tectura:기술)을  의미한다.

 


건축재료학

물리학과 화학의 응용 및 확장

 


건축적산

건축도면에 따라서 대상 건축물의 생산에 필요한 사전원가로서의 공사비를 각 부문별로 계산하여 합계를 냄으로써  전체 공사비를 예측하는 일

 


건축 프로그래밍 방법

설계의 진행과정에서 일어나는 각종 정보의 처리방법을 의미

 


검정벽돌조

불완전 연소로 구운 벽돌

 


갤버보

연속보의 단점을 개선한 연속보의 한 종류.

 


격자보

교량에서 다리의 본체(本體)인 교축방향(橋軸方向)의 보를 주보라고 하는데, 이 주보는 몇 개가 나란히 놓이는 것이 보통이며, 이것들이 다리에 가해지는 하중(荷重)에 대하여, 서로 협력하여 다리 전체로서 한 덩어리가 되어 지탱하도록 하는 것은 구조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유리한 일이다. 이러한 목적을 이룰 수 있도록 주보에 대하여 가로방향의 보를 배치함으로써, 주보와 가로보가 평면적인 격자형(格子形)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종래에도 교량에서는 이와 같은 보의 배치 방식을 사용하였으나, 주보의 협력을 기대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근래에는 오히려 적극적으로 주보가 서로 한 덩어리가 되어 협력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 공작하게 되었다.

건축에서의 마루짜기나 지붕짜기에서도 종횡으로 보를 배치하여 격자형을 이루게 함으로써 이와 같은 효과를 기대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것도 역시 격자보의 일종이다.

 


견  적

사전원가계산에 재무회계와 유기적으로 연결된 제도로서의 견적 원가계산과, 단순히 제품이나공사계약 및 입찰가격을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견적 원가계산의 두 종류가 있다. 단순히 견적이라고 하는 경우는 후자일 때가 많다. 견적내용을 구체적으로 기재한 문서가 견적서이다. 특히 청부계약이나 매매계약의 경우, 입찰을 하지 않고 업자를 결정할 때는 계약을 결정하기 위하여 견적서를 면밀히 검토한 후 쌍방의 합의하에 계약이 이루어진다.

 


견치돌

앞면에 나타나는 부분을 면(面)이라고 한다. 쌓아올리는 방법은 간지석 뒤쪽 간격에 잡석․자갈 등을 넣어 고정시켜 가면서 쌓는다. 돌담․옹벽․호안(護岸) 등에 사용되며 한국․일본에서는 옛날부터 사용되어 왔다. 성(城)에서 많이 볼 수 있으며, 축대는 그 대표적인 것이다.

 


결합통기

도파통기라고도 하며, 오 배수관의 압력변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한다.

 


경  도

지구상의 한 지점을 지나는 자오선과 런던의 그리니치천문대를 지나는 본초자오선(本初子午線)의 각도를  그 지점의 경도라 한다. 본초자오선을 중심으로 동서로 나누어, 각각 동경 180°, 서경 180°로 한다.

지구는 24시간에 대체로 360° 회전하므로, 그 회전각도와 경과시간은 비례한다. 그래서 경도는 각도 대신 시간으로 표시하는 일이 있다. 경도 15°는 1시간, 15'은 1분, 15"는 1초에 해당한다. 따라서 어떤 지점의 지방시(地方時)와 그리니치시(時)의 시차로 그 지점의 경도를 알 수 있다. 배 위에서는 크로노미터를 그리니치시에 맞추고, 천문관측으로 측정한 지방시와 비교해서 임의 지점의 경도를 구할 수 있다.

이 밖에 지표에서는 삼각측량으로 거리와 방향을 측정해서 경도를 구하는 측지학적 방법도 있다.

 


경도시험

압입강도, 충격강도, 스크래치 경도, 롤링시험

 


경제적내용수명

유지비, 개조비, 보수비 등을 생각할 때 개축하는 쪽이 나은 시기를 가리켜 경제적 내용수명이라 한다.

 


고온건조기후

이 기후에서 가장 중요한 과열로, 신체로부터 충분한 열방산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 기후는 온도가 높고 일사량이 많으며 일교차 및 연교차가 크고 바람이 강하게 불며, 많은 모래와 먼지를 동반한다. 리비아 중동지방에 속하며 두꺼운 벽처리(주간에는 열차단, 야간에는 축열이용)를 해야한다.

 


고온다습기후

과열이 가장 큰 문제가 된다. 기온과 습도가 모두 높아 증발에 의한 냉각작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다. 평균 기온 20도 이상, 상 대습도 80% 1년 중 1달 이상 열방출 및 공기의 원활한 유동을 위하여 개방적으로 그늘이 지도록 처마를 길게 내린다.

 


고정하중

기둥․들보․벽․마루 등 구조체 자체의 중량과 이것의 마무리재의 중량 및 상시 구조물 위에 고정되어 사용되는 하중을 합계한 것이다.

 


공  간

즉, 심리학적으로 말하면, 시각이나 촉각 등의 작용에 의한 공간지각(空間知覺)에 입각하여 공간표상(空間表象)으로서 주어지며, 철학적으로는 그 공간표상에서 출발한 경험적 공간을, 어떤 특별한 요소에 의해서 성격이 부여된 선험적 공간(先驗的空間)과 구별하고 있다.

기하학에서의 공간의 개념은 역사와 더불어 변모하였다. 처음에는 2차원, 3차원의 유클리드공간이 그 대상이었으나, 《기하학원본》에서 제시된 평행선의 공리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하여 그 공리를 바꾼 로바체프스키공간, 리만공간 등의 비유클리드공간이 탄생하였다. 한편, R.데카르트가 해석기하학을 창안한 후, 유클리드공간이 수를 사용하여 해석적으로 표현되고 연구되었다. 이후 공간은 해석학과 관계를 맺어, 해석학의 대상이 공간적으로 표현되기에 이르렀으며, 이에 따라 공간 개념이 확대되어 n차원공간을 생각하게 되었다.

미분기하학의 대상은 일반적인 리만공간이며, 상대성이론에서도 사용된다. 비유클리드공간의 연구로 발전된 공간은 유클리드공간과 더불어 벡터공간론이 되고, 무한차원의 벡터공간으로 생각되었던 힐베르트공간은 양자역학의 연구에 불가결의 무기가 되었다.

현대수학에서는 일반적인 집합을 공간이라 하고, 그 원소(요소)를 점으로 하는 추상공간이 연구대상이 되며, 여기에 위상을 도입한 위상공간(位相空間), 또는 선형공간(線形空間)․함수공간(函數空間) 등이 중요시된다. 또한, 물리학에서는 통일장이론(統一場理論)의 연구에 각종 접속공간(接續空間)을 도입하고 있다.

 


공간영역

기준 평면을 입체의 개구부 위로 늘어뜨림으로써 확장될 수 있다.

 


공간지각

인간이나 동물이 생활하고 있는 공간은 상하․좌우․전후의 세 방향으로 퍼져 있다. 이와 같은  3차원의 세계에서 살아나가려면 그 3차원의 범위를 감각을 통해서 알지 않으면 안 된다. 인간은  시각․청각․촉각 등의 감각을 통해서 공간적 범위를 감지할 수가 있다. 이것을 공간지각이라고 한다. 그 중에서도 시각을 통해서 지각되는 공간이 가장 명확하다.

일반적으로 지각된 공간은 자기의 신체를 중심으로 상하․좌우․전후의 방향으로 나뉘며, 자기로부터의 거리의 원근에 따라 구별된다. 또한 중력 방향이나 지각 공간 내의 주요한 대상과의 관계에 따라서도 위치가 정해진다. 그러나 이 지각된 방향․거리․위치 관계는 반드시 물리적  공간의 성질을 그대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고, 또한 유클리드기하학이 나타내는 공간의 여러  성질에 따르지 않는 경우도 있다.

 


【수직․수평 지각】 공간의 중요 방향인 수직과 수평의 지각은 평형감각에 의한 중력방향 및 가속도 방향의 지각, 시각에 의한 대지의 수평선이나 건축물의 수평․수직면의 지각, 신체의  자세에 관한 근육감각이나 의자 등의 지지면(支持面)에 대한 촉각 등의 여러 요인에 따라 규정된다. 그러므로 파도에 흔들리는 배에서 수면을 보는 경우, 선회하는 비행기에서 대지를 보는 경우, 긴 고갯길을 자전거로 달리는 경우 등 신체의 일부가 기울어진 불안정한 자세의 경우에는  각 요인이 초래하는 수직․수평감이 서로 모순되기 때문에 객관적인 수직․수평방향을 지각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때로는 혼란된 불안정한 지각상태에 빠진다.

 


【시공간의 구조】 지각된 공간 속에는 많은 지각 대상이 포함되어 있으며, 그것들은 제멋대로 흩어져 있는 것이 아니고, 지각에 관한 일반법칙에 따라 질서를 지키고 있다. 가령 서로 유사한 것들이나 서로 근접한 것들은 저마다 그룹을 이룬다(群化의 법칙). 별하늘이 성좌로 나뉘어 보이거나 같은 형의 아파트군(群)이 한 덩어리로 보이는 것은 그 예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눈에 비친 대상 가운데 어떤 것은 그림으로서 인상적으로 떠올라 보이고, 어떤 것은 땅으로서 배경에  가라앉아 보인다(그림과 땅과의 관계). 따라서 그림이 된 대상은 모양과 크기를 가진다. 이때 대상의 물리적인 크기나 성질이 같다 해도, 그것이 시공간의 어떤 부분에 제시되느냐에 따라 외관적 모양이나 크기 등이 달라지는 수가 있다(시공간의 異方性). 같은 모양, 같은 크기의 것을  좌우로 놓았을 때 오른쪽의 것이 더 크게 보이거나, 달이 지평선 가까이 있을 때에는 중천에 있을 때보다 휠씬 커보이는 것(달의 錯視)이 그 예이다.

 


【깊이의 지각】 시각의 경우, 공간의 좌우․상하의 넓이는 주로 망막상의 위치에 따라 규정되지만, 깊이의 지각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다음과 같이 많은 요인을 생각할 수 있다. 망막상(網膜像)의 핀트를 맞추기 위해 수정체의 두께를 바꿀 때의 근육감각(조절), 두 눈으로 같은 대상을 보기 위해 두 시선의 방향을 안쪽으로 모을 때의 근육감각[輻輳], 두 눈에 비치는 상(像)의   차이[兩眼視差], 관찰자 또는 대상이 운동할 때의 운동속도의 차이(운동시차), 평행선이 멀리  갈수록 서로 접근하는 따위의 관계(투시도법), 두 개의 대상간의 중첩관계, 같은 크기의 것이라도 멀리 갈수록 작은 망막상(網膜像)을 주고, 멀리 있는 것일수록 명암의 차가 작고, 엷어지고, 음영에 따라 요철(凹凸)이 나타나 보이게 하는 데는 특히 양안시차가 크게 작용한다. 스테레오 스코프는 양안시차를 이용하여 사진이나 그림에 심도감(深度感)과 입체감을 준다.

 


【청공간】 청각의 경우에는 두 귀에 와 닿는 음파의 강도와 시간차가 방향감과 입체감을 생기게 한다. 이 원리를 이용한 것이 스테레오 레코드나 스테레오 방송이다.

 


공기조화기

공기의 여과, 냉각, 송풍 외에, 필요에 따라서가열, 가습기능을 갖는 기기를 유닛으로 1조의   케이스 속에 조립해서 각 실마다 설치하는 것을 말하며, 대규모의 경우에는 열원만을 중앙에 설치하는 것, 창걸이 밀폐형 공기조화기, 패키지형 공기조화기, 팬코일 유닛 등이 있다.

 


공정표

공사의 진행순서와 작업방법 및 작업일정을 종합해 공사의 진도를 나타내는 표. 이공정표에 의하여 재료에 주문과 반입, 노동량의 수배, 공사의 실시 검토, 조정을 하여야 함.

공정의 표시법에는 막대 공정표 횡선식 및 그래프식 공정표, 네트워크에 의한 공정표 등이 있음.

 


공 업

공업에 이바지할 것을 목적으로 자연과학적 수법을 써서 신제품․신제법(新製法)․신기술을 연구하는 학문. 어원(語源)인 엔진(engine)은 라틴어의 <고안(考案)>에서 유래하며, <엔지니어(engineer)>란 군사용구(軍事用具)․시설, 예컨대 쇠뇌[弩砲]․부교(浮橋)․공격탑(攻擊塔) 등을 설계․사용하는 직업인(職業人)을 일컫는 말이었다. 그 직업인 동료들로부터 존경을 받았던 영국인 J. 스미튼은 시민공학(市民工學;civil engineering)을 제창하여, 1771년에 그 때까지의 군사공학이 아닌 가로(街路)․급수(給水)․운하 등 일반시민들에게 도움이 되는 직업인을 결집(結集)하였다. 1818년에는 세계 최초의 시민공학회(市民工學會;Institution of Civil Engineering)가 영국에서 결성되었으며, 공학을 <자연에 있는 크나큰 동력원(動力源)을 사람에게 유용하도록 지배하는 방법(기술)>이라고 정의하였다. 따라서 이 학회는 전체 공학을 대표하고 있었는데, 운하․교량․도로를 건설한 T. 텔포드가 초대회장에 취임했듯이, 토목공학이 주류를 차지하고 있었다. 그 후 증기기관차가 발달하여 이 학회에서 G. 스티븐슨을 초대회장으로 하는 기계공학회가 47년에 분화(分化) 독립하였다. 또한 전신기기(電信機器)의 발달로 W. 지멘스를 초대회장으로 하는 전신공학회가 71년에 창립되었는데, 전력기기(電力機器)의 급속한 발달로 81년에는 전기공학회(電機工學會)라 개칭하였다. 공학의 전문분화(專門分化)는 20세기에 들어서자 더욱더 진척되어, 화학공학․재료공학․원자력공학 등이 탄생되었고, 기계․장치․시설 등의 노동수단체계(勞動手段體系) 이외의 인간․사회부문에도 공학적 방법을 적용하는 인간공학․경영공학․사회공학․교육공학․도시공학․환경공학(環境工學)․정보공학(情報工學) 등 인문․사회과학과의 새로운 경계영역(境界領域)을 설정하고 있다. 공학의 방법은 자연과학부문에도 적용되어서, 생물공학․우주공학(宇宙工學)․해양공학(海洋工學) 등의 경계영역에까지 잇따라 진출함으로써 이학(理學)․농학․의학의 공학화(工學化), 그리고 공학의 이학화(理學化)를 초래하고 있다. 그러나 너무나도 세분화․전문화된 공학을 교육적 입장에서 통일시켜 자연과학의 기초이론에서부터 재편성하고자 하는 기초공학, 그리고 기술사(技術史)에 의하여 공학에 인문․사회과학적 시점(視點)을 도입하는 공학개론(工學槪論)의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공학의 인접개념(隣接槪念)인 기술학(技術學;테크놀로지)과의 구별이 논의되어 공학이란 공업기술학(工業技術學)이라는 정의(定義)도 볼 수 있는데, 어원과 원류(源流)를 더듬어 가면 공학은 직업전문적(職業專門的), 기술학은 일반교양적인 역사적 성격의 차이를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광 도

물리학용어. 광원(光源)에서 얼마만큼 강한빛을 내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물리량(物理量). 일정한 방향에서 본 물체 전체면의 밝기를 정의하는 양(量)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것을 나타내는 단위로 <cd(칸델라)>가 사용된다. 1cd는 1입체각(立體角) 안에 광원에서 방출되는 11m(루멘)의 광속(光束)이 전파되고 있을 때의 광도인데, 여기서 광원의 넓이는 정의되어 있지 않다. 이는 광원을 넓이가 없는 점광원(點光源)으로 간주하기 때문이다. 광원에서 나가는 빛의 양은 방향에 따라 달라지므로 광도를 나타낼 때에는 어느 방향에 대해서인가를 표시하여야 한다.

가장 밝은 항성(恒星)의 광도는 이것의 수만 배나 된다. 천체의 광도를 절대 등급으로 나타내지 않고 지상에서 관측한 겉보기의 밝기(등급)로 나타내는 경우도 있지만, 이는 부정확한 표시법이다. ) 천문학용어. 천체의 광도이며, 천체를 표준거리 10pc(파섹;약 32.6광년)만큼 떨어진 데서 보았을 때의 실시등급(實視等級)인 절대등급(絶對等級)이라는 단위로 나타낸다. 예를 들면, 태양은 절대등급이 +4.8등인데, 이것을 칸델라로 환산하면 태양의 광도는 약 2.8×10

 


광막 반사(Veiling Reflection)

정반사 또는 지향성이 강한 확산반사에 의한 빛이, 보는 대상과 겹쳐,마치 대상에 빛의 막이 겹친 것처럼 보이는 현상. 대상의 휘도대비가 저하해 보기 어려워진다

 


광속(Iuminous Flux)

광원에서는 다양한 파장의 에너지가 방사된다. 이 중 380780[nm]의 파장범위만 빛으로 인간의 눈에 느껴진다. 방사속을 눈의 감도필터(시감도)에 걸쳐서 본 양을 광속이라고 한다. 기호로는 Φν, Φ를 이용하며 단위는 루멘[lm]이다.

 


구성의 수학적 도심

 


구심적 접근

전체를 처음부터 장악하여 명확하게 규모와 질서를 전개시키면서 자기완결형식으로 정리하는 방법

 


구조계산서

구조계산서라 함은 구조물의 설계 조건, 형식 검토, 구조 계산 내용 등 구조물의 설계와 관련하여 계산한 문서를 말한다.

 


구조도면

   

 

설계의도를 시공자와 제작자에게 정확하게 전달하여 이해가 되게 한다. 특히 외형과 건물의 구조의 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것

 


구조설계

구조해석에서 구해낸 힘을 바탕으로 건축물을 디자인 할 때, 철근을 몇 가닥 쓸 것인지 부재의 크기는 얼마로 할 것인지 등 여러 가지를 정하는 과정

 


구조역학(構造力學, Structural Mechanics)

각종 구조물에 외부의 힘이 작용할 때 구조물 내부가 어떤 힘을 받아 어떻게 변형하는지를 정역학(靜力學)의 일반원리를 응용하여 연구하는 응용역학의 한 분야이다. 구조형식 및 단면의 결정까지 포함하는 경우를 구조해석이라고 할 때도 있는데, 일반적으로 구조역학은 여러 외력에 의해서 구조물의 받침점에 생기는 반력(反力), 구조물의 내면에 생기는 변형력(내력) 및 구조물의 변형, 나아가서는 구조물의 내하성상(耐荷性狀)을 연구한다. 이와는 별도로 재료 고유의 역학적인 성질을 다루는 재료역학이 있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그 구별이 뚜렷하지 않으며, 역학․탄성학(彈性學)․소성학(塑性學)․진동학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공학은 하중(荷重)을 지탱하거나 전달하기 위해서 각종 소재(素材)를 조립해서 만든 구조물이 그 하중에 대해 충분히 안정적인지 또 동시에 그 기능을 유지하는 지 등을 연구한다. 따라서 구조역학은 토목공학․건축학․기계공학․선박공학․항공공학 등 공학 각 분야의 기초학문이 된다.

취급하는 대상으로 보․기둥․트러스․라멘․아치․케이블․판 등이 있으며, 이것들을 다시 조합하면 입체적인 구조물이 형성된다. 구조역학의 기본이 되는 것은 힘의 균형조건, 변형의 적합조건 및 에너지 최소원리이다.정정구조는 힘의 균형만으로도 반력이나 내력을 구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미지(未知)의 힘의 수가 균형식의 수보다 많은 것을 부정정구조물이라고 하는데, 변형의 적합조건을 고려하지 않으면 풀 수 없다. 그 해법(解法)은 크게 응력법(應力法)과 변형법(變形法)으로 나눌 수 있다. 응력법은 내력을 미지수로 하고 부재(部材) 끝의 변위량(變位量)과 내력의 관계식 및 변형적합조건식을 조합해서 푸는 방법이다. 변형법은 변위를 미지수로 하고 어떤 점에 모이는 부재의 변위가 그 점의 변위와 같다고 생각하여 부재 끝의 변위성분과 내력의 관계식 및 균형조건식을 조합해서 푸는 방법이다.

구조물의 변형을 구하는 방법으로는 에너지원리에 입각한 해법과 힘과 변형의 관계를 나타내는 탄성방정식을 푸는 방법이 있다. 구조물의 좌굴한계하중(挫屈限界荷重)이나 고유진동수의 계산은 고유값으로의 성격을 지니며, 내하성상의 구명을 위해서는 소성학의 지식도 필요하다. 컴퓨터 활용으로 해석하는 방법에도 큰 변화를 볼 수 있으며, 행렬해석(行列解析)․유한요소법등의 관점으로 볼 때 새로운 구조역학의 체계화도 이루어지고 있다.

 


구조해석

건축물에 가해지는 힘이 얼마인지 알아내는 과정이다

 


구축성

 


구축적 정체성

 


규모계획

규모계획은 예상수요에 의해 정해지는 것이다. 넓이 결정에는 극장 등의 경우는 이용자, 또 회의실이나 교실 등에서는 이용집단, 그리고 식당이나 주방 등은 공간과 설비장치와의 상관관계를 고려해 경정하게 된다.


극한강도 설계법

재료의 소성을 고려하여 구조물의 파괴가능성을 검토하는 방법. 하중은 계수를 곱하여 사용한다. 여기서도 구조부재들은 통상적으로는 탄성한도 내에서 거동한다.

 


근대건축의 4원칙

빈의 건축가이며 미술대학 교수였던 오토 바그너(Otto Wagner)가 말한 것으로 이것을 말한다.

1) 목적을 정밀하게 파악하여, 이를 완전하게 충족시킨다.

2) 시공재료의 적절한 선택.

3) 단순하게 만든 경제적인 구조.

4) 이상을 고혀한 지극히 자연스럽게 성립된 형태이다.

또 이것 말고도 ■■예술은 그저 필요에 의해서만 지배 된다■■라는 말을 남겼다.

 


금속재료(金屬材料, Metallic Material)

금속결합을 하고 상온에서 고체상태(예외 : 수은)이며, 고체상태에서 대부분 결정(crystal : 동일 형태의 단위정[unit cell]이 3차원 공간에서 반복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고체)을 이룬다. 금속재료는 자유전자에 의해 결합되는 금속결합을 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금속 특유의 성질을 가진다. 금속재료는 수많은 자유전자 때문에 높은 열 및 전기전도성을 지니며 불투명하다. 그리고 비방향성 결합과 국부적인 전하중성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쉽게 변형이 되고, 영구변형이 가능하다.

 

 


지구상의 100여 가지 원소 중 약 반 정도가 금속에 속하며, 대표적인 금속으로는 철․알루미늄․마그네슘․구리․니켈․티타늄․금 등이 있다. 철(Fe)은 구조용 재료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자성재료로 이용된다. 알루미늄은 가볍고 내식성․전기전도성이 우수하며, 자동차․항공기 재료로 쓰인다. 마그네슘은 알루미늄보다 3분의 2정도 가벼워 자동차․항공기 소재로 이용되며 부식이 잘 된다. 구리는 전기전도성이 우수하여 전기재료로 이용된다. 니켈은 내식성․내열성이 우수하며 항공기 소재로 이용된다.

 


급수배관방식

급수배관의 설치방식은 물이 흐르는 방향에 따라 다음의 세 가지방식으로 대별된다.

1) 상향공급방식

수도직결방식, 압력탱크방식 및 탱크리스부스터방식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이며, 기계실 또는 하층의 천    장에 주관을 설치하여 상부의 사용개소에 물을 공급하는 배관방식이다.

2) 하향공급방식

고가탱크방식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는 방식이며, 최상층의 천장에 주관을 배관하고 하부의 사용개소에    물을 공급하는 배관방식이다.

3) 혼합방식

고가탱크에서와 같이 수원이 거물의 가장 높은 곳에 있기 때문에 수리적, 경제적으로는 배관의 설치공간과 배관    의 점검, 수리를 위한 공간이 필요하게 되므로, 아파트나 호텔 또는 병원 등의 최상층은 다른 층보다도 높은 충    고를 필요로 한다. 이런 경우, 두 가지 방식이 혼합된 형태의 배관 방식을 택한다.

 


급탕배관방식

급탕배관은 배관방식과 공급방식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단관식                  ┌단관식

배관 방식 │               공급방식 │  

          └복관식                  └복관식

단관식 배관은 가열장치 또는 저탕탱크에서 위생기구까지의 급탕배관이 공급배관 한 개가 설치되는 방식이며, 복관식은 환탕관이 추가 설치되는 방식이다.

단관식 배관으로 하면 한동안은 찬물이 나오고 나서 더운물이 나온다. 이는 물이 열에 대해 불량도체이고 관경이 작은 배관 내에서는 대류현상도 일어나기 어려우므로 가열장치로 가열하여도 정지한 물은 관의 말단까지 좀처럼 따뜻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단관식 배관이 길면 많은 양의 냉수를 낭비하여 경제성 및 사용상으로도 좋지 않다.

단, 가열장치에서 기구까지의 거리가 비교적 짧은 주택, 소규모건물 또는 장시간에 걸쳐 상당량의 더운물을 연속적으로 사용하는 영업용주방, 욕탕 등의 계통은 설비비의 절약과 배관에서의 열손실을 적게 하기 위하여 단관식이 많이 사용된다. 설비비는 비싸지만 항상 더운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환탕관을 설치한 복관식 방식이 사용된다.

 


급탕설비

위생설비에서 대변기, 소변기 등을 제외한 위생기구에 더운물을 보내는 것을 급탕설비라 한다. 급탕이란 위생설비에 사용되는 더운물로서 영어로는 domestic hot water 라 하며, 난방설비에 사용되는 더운물은 온수, 영어로는 hot water라 하여 일반적으로 건축현장에서는 급탕, 온수로 분류 사용된다.

 


기경성

시멘트나 몰타르 같이 물과 섞었다가 수분이 증발 하며 다 마르면 그 모양으로 딱딱하게  굳는 현상

 


기념비적인

그 건축물의 기능성이나 목적이 아니라 그 건물 자체. 상징적 의미를 가진 것을 말한다.

 


기 둥(柱)

건축물의 간살을 표준하여 주춧돌 위에 세워서 보, 도리 등을 받치는 나무. 기둥은 흔히 둥근 기둥이나 모기둥이 쓰이는데, 절의 건물에는 대부분 圓柱가 쓰인다. 또한 기둥은 그 위치나 쓰임에 따라 平柱, 隅柱, 內高柱, 隅高柱, 四天柱, 刹柱, 東子柱, 活柱 등으로 나누고, 기둥을 깍는 기법에 따라 통기둥, 흘림기둥, 배흘림기둥 등이 있으며, 그밖에 귀솟음, 오금법 등의 법식도 있다.

 

 


기둥의 분절

 


기본설계

본설계는 건축주의 의도를 조직화하여 기본적인 사항을 간추려서 설계의 대강(大綱)을 보이는 단계이며, 기획에 관한 협의 및 조사, 배치도․평면도․입면도․단면도 등 기본설계도의 작성, 설계설명서의 작성, 공사비 개산서(槪算書)의 작성을 내용으로 한다

 


기수 혼합식

개방형수조에 사일렌서(증기흡입기)를 설치하고, 증기를 직접 불어넣어 물을 가열하는 방법과, 믹싱밸브(기수혼합밸브)에 의해 증기와 물을 혼합하여 온수를 얻는 방법이 있다. 이들은 공장, 병원 등 증기를 쉽게 얻을 수 있는 곳에서 사용되고, 장치가 간단하며 설비비도 싸고, 증기의 전열량을 물어 줄 수 있는 반면, 보일러에는 사용 중 새로운 물을 보급해야 한다. 또 상당히 높은 증기압을 필요로 하고, 물을 혼합할 때 소리가 나므로, 설치장소에 제한을 받는다.

 


기 준

평균적인 수준. 사회적․실천적으로 바람직한 성질이나 수준을 가리켜 표준이라는 뜻으로 쓰기도 한다. 통계적 의미를 내포한 심리학에서는 테스트 득점의 분포 특성을 가리키는 지표로 삼고, 피험자의 조(粗)득점을 환산하여 표준 득점을 구하기 위한 목표로 삼는다. 정신연령․교육연령․해당학년․지능편차값․학력편차값․퍼센타일(百分位數)순위․품등단계 등이 있다.

 


기준면

높이를 측정하는 데 기준이 되는 면. 즉, 0m의 해면이지만 장소․목적에 따라 기준면을 취하는 방법은 다르다. 예를 들면, 하천 공사에서는 각 하구(河口)의 저수위를 기준면으로 취하는 곳이 많다

 


기초(Foundation)

구조물(構造物)의 초석. 기초공사라고도 한다. 건축물이나 교량․댐 같은 구조물의 자체무게에 의한 수직방향의 하중(荷重)과 지진․바람 등이 구조물에 가하는 수평방향의 하중을 지반에 전달하기 위한 공작물을 말한다. 구조물 하부에 넓게 설치한 하부구조체와 말뚝 등 지반 둘레에 설치되는 공작물로 구성된다. 구조물 상부구조의 하중은 강재(鋼材)나 콘크리트로 만든 기둥․벽에 집약되어 지탱되며, 항상 기둥에 작용하는 압축력은 단면 1㎝² 당 강철기둥이 1000kgf, 콘크리트계 기둥은 수십 kgf 정도이다. 이에 비해 구조물을 얹는 지반의 허용내력(許用耐力)은 어지간히 단단한 모래지반일지라도 1㎝²당 수 kgf에 불과하여, 기둥과 벽을 지반에 직접 세우는 것은 일반적으로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푸팅(footing)으로 기둥과 벽의 하부지반과의 접촉면을 넓게 하여 지반의 단위면적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반의 내력에 알맞게 할 필요가 있다. 목조사원(木造寺院)의 기둥 밑에 초석(礎石)을 놓는 것은 바로 푸팅에 해당된다. 일반적으로 푸팅에는 철근콘크리트가 쓰이며, 목조주택 등 가해지는 하중이 크지 않은 구조물의 경우는 철근없는 콘크리트도 쓰인다. 구조물의 중량이 크거나 표면 부근의 지반이 약할 때에는 푸팅만으로 구조물을 안전하게 지탱할 수 없기 때문에, 말뚝 등을 이용하여 깊은 곳에 위치한 튼튼한 지반에 하중을 전달할 필요가 있다.

 


기초의 종류와 특징

기초는 상부구조물로부터의 하중을 지반에 전달하는 방식에 따라 직접기초․말뚝기초․케이슨기초로 크게 나뉜다.

 


⑴ 직접기초 : 구조물의 하중을 푸팅으로 직접 지반에 전하는 형식의 기초. 깊이 56m 이내의 비교적 얕은 지점에     일정한 두께 이상인 양질의 지반이 있을 경우에 많이 사용되며, 보통의 토사(土砂)지반에서는 일반적으로 지반     과 푸팅과의 접촉면을 파서 쇄석(碎石) 등을 이용해 단단히 고정시킨다. 직접기초는 지반에 푸팅을 하는 방법에     따라 다시 독립푸팅기초․연속푸팅기초․복합푸팅기초․전면기초의 4가지로 분류된다. ① 독립푸팅기초 : 하나의       기둥이나 독립된 굴뚝․탑 등의 밑에 단독으로 설치되는 것이다〔그림 1-a〕. ② 연속푸팅기초 : 수평기초라고도       하며 푸팅부분이 긴 띠 형태로 되어 있으며 〔그림 1-b〕, 기둥 밑의 푸팅면적만으로는 지반이 단위면적당 하     중을 견뎌내지 못할 경우에 기둥 사이를 연결하는 형식으로 설치되고, 벽 밑에도 벽을 따라 설치한다. ③ 복합     푸팅기초 : 2개 이상의 기둥을 하나의 푸팅으로 지탱하는 형식으로 〔그림 1-c〕, 푸팅의 넓이가 부지(敷地)의     경계로 한정되거나 기둥간의 간격이 좁은 경우에 이용되는데, 바닥면의 무게중심이 그 부분에 가해지는 하중의     무게중심과 가능한 한 일치되게 한다. ④ 전면기초 : 거푸집기초라고도 하여 구조물의 바닥면 전체로 하중을지     반에 전달하는 방식으로 〔그림 1-d〕, 매트 모양의 두꺼운 철근콘크리트판으로 하기도 하고 철근콘리트판을      대들보로 지탱하는 형태로도 한다. 상부구조의 평면상 한 부분이 더 무거워지는 하중의 편재(偏在)가 있을 수도     있으므로 각 부분의 지반침하를 고려하여 설계해야 한다. 따라서 그만큼 설계가 어렵다.

 


⑵ 말뚝기초 : 구조물의 하중을 말뚝 등의 구조물로 지반에 전달하는 방식의 기초로서, 직접기초로는 지탱하기       곤란한 연약지반이나 구조물의 중량이 클 때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구조물의 하중을 깊은 곳에 있는 양질의 지     반에 전달한다〔그림 2〕. 피어(pier;기둥 모양의 구조물)를 이용하는 피어기초는 건축분야의 경우 말뚝기초에      포함되지만 토목분야에서는 케이슨기초에 포함시키는 경우가 많다. 푸팅부분은 직접기초와 같이 독립푸팅기       초․연속푸팅기초․복합푸팅기초․전면기초가 있으며, 대들보의 형태를 띠기도 한다. 하중을 지탱하는 저항메커     니즘에 따라 ① 주로 말뚝 선단부의 딱딱한 지층으로 수직하중을 지지하는 받침말뚝 ② 주로 말뚝 주변에 작용     하는 흙과의 마찰력을 이용하는 마찰말뚝 등으로 나뉜다. 시공방법에 따라서는 공장에서 제작된 말뚝을 기계로     때려 지반 속으로 넣는 방식, 땅 속에 구멍을 뚫어 말뚝을 묻는 방식, 땅 속에 뚫린 구멍에 콘크리트를 쳐 현장     에서 직접 말뚝을 만드는 방식 등으로 나뉜다. 한편 연약하고 두꺼운 지층을 관통하여 받침말뚝을 만든 경우      매립토로 인해 연약지층이 압력에 밀려 침하하게 되면 흙이 말뚝에 대해 상대적으로 내려 앉는 현상이 일어나     며, 지지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의 마찰력이 생기게 된다. 이에 대비해 말뚝에 아스팔트성 윤활제를 발라 마찰력     을 줄이기도 한다.

 


⑶ 케이슨기초 : 케이슨은 강성(剛性)과 내진력(耐震力)이 뛰어난 기초재료이다. 지중(地中)이나 수중에 적당한 지     반이 있지만 방토(防土)나 임시막음만으로는 양질의 지반까지 굴착이 불가능할 경우에 이용된다. 원칙적으로 양     질의 지반에 도달시켜야 하며, 수직방향의 지지내력(支持耐力)은 선단지지력(先端支持力)에만 의지한다. 시공 방     법에 따라 오픈케이슨과 공기(空氣)케이슨으로 나누어진다.

 


기초구조

기초는 자중, 적재하중 등 기타의 외력을 받아 최종적으로 지반에 전달하기 위해 만든 하부지중 구조물로 미관에 관계없으며, 보수 및 보강이 불가능하고 건축물의 하중을 안전하게 지반에 전달하는 목적으로 지중에 설치된 구조부분을 말한다.

지정은 기초를 안전하게 지탱하기 위하여 기초를 보강하거나, 지반의 내력을 보강하는 지반 다지기, 잡석다짐 및 말뚝박기 등을 한 부분을 말한다.

 

 


기하학적 공간

 


기획설계

건축주와 계약을 결정하고 건축주의 건물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는 데서 시작한다. 건축주 요구조건을 들은 후, 조건의 모순이나 지나친 요구를 정리하여 설계의 목표를 설정한다. 그 후에 설계조건을 결정하고 필요한 정보를 수집한다.

부지에 관한 정보 : 부지의 면적, 형태, 법규, 급배수 등의 공급시설, 주변환경 등

건축에 관한 정보 : 이용자수, 기능, 소요실, 사용패턴, 가구비품, 규모, 구조 등

이 밖에, 문헌자료조사, 현지조사 등을 통하여 설계조건을 준비한다. 그리하여 설계조건을 만족하는 기본구상을 요약한다.

 


기후환경

기후(Climate)란 특정지역에서의 장시간에 걸친 기상의 평균상태와 그 특성을 말하며, 기상(Weather)이란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대기의 상태이다. 기후스케일은 공간적으로는 지구 전체로부터 나뭇잎에 이르기까지, 시간적으로는 수천 년에서 시시각각까지 변화한다.

 


깔도리(Plate)

토 대 : 벽돌벽에 고정하는 수평부재

밑깔도리 : 골조벽의 하단 수평부재

위깔도리 : 천정장선이나 서까래등 부재를 지지하는 골조벽의 하단 수평부재, 평평하게 설치되는 수평골조부재

 


꺾쇠

연장, 도구 잇댄 두 나무가 벌지 않도록 두 나무 사이에 박는 'ㄷ'자 모양의 쇠토막. '꺾쇠를 치다' 또는 '꺾쇠를 지르다'라 함.

 


꿸대

절충식 심벽의 뼈대로서 기둥과 기둥 사이에 가로 꿰뚫어 넣는 수평재로 외를 엮어 대는 힘살이 된다.

 


나무구조(木構造, Wooden Construction Timber Structure)

건물의 벽체․지붕 등의 뼈대를 나무로 짜 세운 가구식(架構式) 구조체를 나무구조 또는 목조(木造)라고 한다.  나무구조에는 세 가지 양식(樣式:style) 이 있다. 그 하나는 옛날부터 전하여진 전각(殿閣)․사원(寺院) 등의 동양고전식(東洋古典式) 구조법이고 또 하나는 이것을 모체(母體)로 하여 한국에서 발전된 한식 구조와 일본에서 개량한 일식 구조가 있다.  한식 구조와 일식구조는 세부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같은 술법이고, 다만 한식 구조는 그 대부분이 고전식 술법이 남아있고 일식은 그간 양풍구조(洋風構造)를 많이 도입한 점이 있다.  셋째는 구미(歐美)에서 전하여진 소위 양풍구조이다.  그러나 이 셋은 지금에 있어서는 뚜렷한 구별을 할 수 없을 만큼 서로 절충하여 쓰이게 되었고, 또 이 외래 구조법도 이미 충분히 소화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동양 고전식 구조법은 향토적 기념건물에 쓰일 뿐이며, 한식 구조법은 주택이나 소규모 건물에 많이 쓰이고 큰 건물, 큰 간사이 건축은 양식 구조로 한다.

나무구조로서 벽체를 벽돌․돌․진흙 등으로 두껍게 만드는 목골구조(木骨構造 : timber frame construction)가 있고, 특수한 철물과 비교적 가는 나무를 짜 세워 큰 간사이(large span)의 지붕틀을 구성하는 큰 간사이목조가 있다. 또 이 큰 간사이 구조법을 간략하게 소규모건축에 쓰이는 경골구조(輕骨構造 : balloon construction)도 있다.  목조건축은 철근콘크리트조․벽돌조․석조건축에 비하여, 건물의 무게가 가볍고, 구조공작이 쉽고, 공사기간도, 경비도 적게 드는 관계상 가장 많이 쓰이는 구조이다.  그러나 나무구조건축은 내화(耐火)․내구(耐久)적이 아닌 점이 큰 결점이다.  또 고층건축이나 큰 간사이의 건축은 곤란하고 이층 정도의 건축이나 그리 크지 않은 임시적 건물에 쓰일 뿐이다.  목조라도 밖벽에 모르타르를 바르거나 목골구조로 하면, 어느 정도 내화성은 있게 될 것이지만, 완전하지는 못하므로, 건축법에는 준내화구조(準耐火構造)로 되어있고, 도시건물의 밀집한 지역에서의 화재의 위험과 목재 부족이 더욱 심한 현재로서는, 목조건축은 극력 피하고, 내화력이 있는 벽돌조․블록조 또는 철근콘크리트조로 할 것이 요망된다.

 


1. 장 점

(1) 비중이 작아 가공이 용이하고 건축물의 자중이 적다.

(2) 비강도(비중에 대한 강도)가 크다.

(3) 열전도율이 작아 방한(訪寒)․방서(防暑)적이다.

(4) 색채 및 무늬가 있어 미려하고 친밀감이 있다.

(5) 수종이 다양하고 구입이 비교적 쉽다.

 


2. 단 점

(1) 비내화(非耐火)적이다(섭씨 250도에서 인화되어 450도에서 자체발화함).

(2) 함수율에 따른 변형이 크다.

(3) 부패 및 충해가 있어 비내구(非耐久)적이다.

(4) 가구식 구조이므로 특별한 보강을 하지 않고는 고층건물이나 큰 간사이 건축물에 사용할 수 없다.

 

 


나무판

나무를 인공적으로 가공하여 얇은 판 모양으로 만든 것

 


난방설비

외부로의 열 손실이 있는방에 장치를 통하여 손실열을 공급하여 실내를 필요온도로 유지하기 위한 설비

 


납작마루

납작마루는 콘크리트 지반과 단단히 다진 지반위에 직접 장선을 놓거나, 어떤 때에는 지반에 동바리를 놓고 이것에  멍에 및 장선을 걸친 구조이다.

 


내구성

재료가 장기간에 걸쳐 외부로부터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작용에 저항하는 성능

 


내력벽

내력벽은 마루면에서 상부하중을 벽을 통해서 아래로 전하는 것이고. 내진벽은 지진 때 건물에 가해지는 수평력에   대해, 경우에 따라서는 절반 이상의 힘을 부담한다.

 


내벽

판벽 바름벽 붙임벽 경량칸막이벽 등으로 나뉜다.

 


내용수명

사용할수 있는 기한

 


내장수

대나무 야자수 등

 


내적평형

구조체의 내부에서의 부재들과 그 부재에 작용하는 힘과의 평형

 


내화벽돌

사용에 편리하도록 특정의 형상으로 만든 SK26번 이상의 내화도를 가진 벽돌

 


내화성

일반적으로 고온에 견디는 성질.

 


내화재료

일반적으로 고온에 견디는 물질

 


내화피복

철골구조 건축물의 기둥 보 바닥 천장 등 주요 구조부에 대한 내화피복

 


냉매방식

룸 에어컨 방식과 패키지 에어컨 방식이 있다

 


널반자

반자틀을 짜고 그밑에 널을 치올려 못박아 붙여대는 것

 


노무계획표

노무인원의 배분계획을 세우고 누적표를 작성하여 필요인원을 확보하는데 이용

 


다목적공간

거실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어야 함은 물론, 아늑하고 포근한 실내의 분위기를 조성하여 가족들의 즐거운 휴식처가 되며, 또 감성적인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여건이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거실은 가족을 위주로 한 취미와 정서가 담겨있는 실내분위기로 조성해야 한다. 독립된 공간과 단순한 디자인으로 거실의 내부를 넓게 만든 후 가구와 장식품을 적절히 배치하여 아늑하고 쓸모있는 거실의 요건을 같추는 것이 중요하다

 


단관식

한동안은 찬물이 나오고 나서 더운물이 나오게 하는 방식

 


단면도

물건의 내부 구조를 명료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이것을 절단한 것으로 가정한 상태에서 그 단면을 그린 그림

 


단순보

2개의 받침점으로 받쳐지는데 한쪽이 힌지지점, 다른 쪽이 롤러지점 으로 되어 있는 보.

 


단위화

각각의 재료를 단위로 나타낸 것

 


단위공간계획

치수와 깊은관계를 가진 것으로 생활과 공간과의 적정한 관계를 명확히 하기위한 것이며 공산의 크기 즉 넓이 형태 용적 그리고 구성재의 길이와 면적등의 치수를 파악하는 것

 


단일덕트변풍량방식

열매에 따른 분류에서 단일덕트방식에 속함

 


단일덕트정풍량방식

열매에 따른 분류에서 단일덕트방식에 속함

 


단일수직평면

수직면에 전명공간은 잘 규정되어 있지 않은데 이면은 그 영역에 단일 가장자리를 경계지을 뿐이다.

 


달대

단자특을 내어 달기 위해서 달대받이에 긴 결

 


달대공

철물로 조이면서 세운 후 수직수평 및 줄바르기를 검사하고 잘못된 곳이 있으면 수정하여 바로잡은 다음 중돌이 용마루대 서까래 등을 거는 것

 


달대받이

콘크리트 바닥판 하단에 인서트를 묻어두고 볼트연결

 


달대볼트

상부는 인서트와 접하고 하부는 단자틀받이를 잡아맨다

 


달반자

위층에 바닥틀 또는 지붕틀에 달아맨 천장으로 목구조에서 주로 쓰이며 철근콘크리트 구조에서는 설비를 위해 많이 사용하고 있다

 


대류

열의 세 가지 전달과정 중 하나(다른 두 가지는 전도, 복사)로, 열 때문에 유체가 상하로 뒤바뀌며 움직이는 현상

 


대비현상

우리는 일상 몇 가지의 색을 동시에 보게된다. 이럴 경우 몇 가지의 색이 상호작용을 하므로, 1가지의 색을 볼 때와는 다른 현상이 일어난다. 그 대표적인 것이 대비 현상이다.

 


대칭

점이나 직선 또는 평면의 양쪽에 있는 부분이 꼭 같은 형으로 배치되어 있는 일.

 


대칭적평면

대칭되어 있는 평면

 


대칭조건

축이나 구심점의 존재를 함축하고 있지않으면 대칭은 존재할수 없다.

 


댐퍼

제진기, 흡진기 라고도 한다. 완층기가 주로 최초의 1행정에 대한 힘의 상태를 문제로 하는 데 비해, 댐퍼는 그 후의 진동경과 및 정상상태에 있어서의 진동을 대상으로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이 두 가지를 겸한 장치가 적지 않다. 예를 들면 자동차, 철도차량 등의 바퀴와 차체 사이에 장치되어 있는 현가장치, 항공기가 착륙할 때 충격을 피하기 위해 다리에 장치한 완충기 등이 있다. 그 외에 문이 급격히 개폐될 때의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문에 장치하기도 한다. 또 굴뚝, 노, 덕트 등 공기, 가스의 송퓽량을 가감하기 위한 문도 댐퍼라고 한다.

 


데카르트 체계

공간의 어떤 점이라도 X Y Z 축으로써 정확히 위치를 연결할수 있으나 모든점을 모드 균질한 것으로 하여 버리는 것

 


도막방수

사용하는 재료에 따라 모르타르 방수, 콘크리트 방수, 아스팔트루핑 방수, 합성고분자 루핑 방수, 합성고분자 재료를 사용하는 도막방수 등이 있다. 커튼월의 패널 줄눈 기타 국부적인선, 점의 방수에는 아스팔트계의 코킹재나 합성수지재의 탄성, 탄소성의 실런트재를 사용하는 실링 공사 등이 있다.

 


도시기후

인간의 활동에 기인하여 자연과 달라진 도시지역의 기후를 말하며, 그 현상으로 대기오염, 도시지역의 온난화현상을 들 수 있다. 이는 분진, 자동차 배기열, 건축구조물 및 지표면의 축열, 일사  흡수열의 증가 등으로 인하여 발생한다.

 


도장재료

유동상태로 사물의 표면에 바르면 얇은 층으로 되어, 시간이 흐름에 따라 표면에 부착한 채로 고화하여 연속적인 피막으로 형성하여 그 면을 덮어 물체를 보호하고 미관을 충족하는 것을 말한다.

※ 도장재료의 종류

유성페인트, 수성페인트, 에나멜페인트
 안료와 유지 또는 풀 등을 혼합한 물을 주원료로 한 것으로, 유지가 건조고화 하거나 수액이 증발하여 불투명한 피막을 만드는 것.
 
수지성페인트(용제형, 에멀전형, 무용제형)
 안료와 합성수지 신나를 주원료로 한 것으로 용제에 용융시킨 것과 용제에 용융시키지 않은 것이 있다.
 
바니스(Varnish) (유성, 휘발성)
 천연 또는 인공수지를 유지 또는 용제로 용융시킨 것.
 
스테인(Stain) (수성, 유성, 용제용)
 안료를 물, 기름 또는 용제에 용융시킨 것으로 주로 목재착생용에 이용됨.
 
옻칠(생옻칠, 정제칠)
 옻나무 수피에서 분비액을 정제한 것으로 피막은 투명, 불투명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익지 않은 감을 점구에 다져 물을 가하여 수일 후 천으로 짜서 채취한 액체로 주로, 목재의 착색과 모호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도  포

(약 따위를)겉에 바르는 것. 일종의 보호하기 위한 방법.

 


도피통기

통기관의 종류로써 배수계통과 통기계통 사이의 공기유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설치한다. 도피통기는 배수계통에서의 압력변화로 인한 사이폰작용이나 역압작용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독립기초

기초판이 1개의 기둥을 받치도록 된 기초로 철근콘크리트구조 또는 나무구조, 철골구조,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 등에 사용한다.

 


돌구조

돌을 쌓아 올려 벽체를 구성하는 구조형식으로 벽돌구조와 같이 조적조에 속하며, 현재 건축용 석재는 대부분 표면마감재, 즉 장식재로 사용된다. 돌구조는 외관이 장중 ? 미려하고 내화성이 있으며, 마모 및 풍화에 대한 염려가 없다.

 


돌붙이기

내벽의 돌붙임공사에는 습식공법과 건식공법이 있다. 이중 습식공법은 석재를 긴결철물을 써서 공정하지만 그 뒤벽과의 사이나 줄눈에 모르타르를 채워서 부착시키는 것이고, 건식공법은 커튼월 또는 벽에 얇은 돌판을 붙일 때 모르타르 등으로 뒤사춤을 하지 않고 긴결철물을 써서 고정하는 공법이다.

 


돌쌓기

쌓기법에는 막쌓기 및 바르층쌓기가 있고, 거친돌쌓기와 바른층쌓기로 구분한다.

- 거친돌쌓기 : 제면쌓기라 하고 잡석, 간사 등을 적당한 크기로 쌓는 방식으로 담 등에 사용한다.

- 다듬돌쌓기 : 돌의 맞댄 면을 일정하게 다듬어 쌓으며 튼튼하고 외관이 미려하다.

 


반구형(半球形)의 지붕. 쿠폴라(cupola)라고도 하며, 보통 공기를 엎어 놓은 모양의 지붕(천장)을  가리킨다. 원시적이고 단순한 셸터(오두막)가 둥그렇고 평평한, 돔 모양의 지붕을 가지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무덤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돔 구조가 언제 어떻게 해서 탄생한 것인가는  명확하지 않으며 여러 곳에서 독립적으로 생긴 것으로 생각된다.

 


동  굴

암석(岩石)이나 빙하(氷河) 속에 자연의 영력(營力)으로 형성된 공동(空洞). 일반적으로 사람이 그 속으로 들어가기에 충분한 정도의 넓이와 태양광선이 닿지 않는 어두운 지대가 있는 것을 말한다. 동굴에는 종유동(鍾乳洞;石灰洞)․해식동(海蝕洞)․풍식동(風蝕洞)․응회암동(凝灰岩洞)․용암동(熔岩洞) 등이 있다.

 


동바리마루

1층마루의 한가지구조로서 동바리돌 위에 동바리를 세우고 그 위에 멍에를 걸고 또 그 위에 장선을 걸쳐서 마룻널을 박는 방식이다.

 


동  선

생명체에 혈액순환계통이 필요하고 각 도시간에 항공로, 철도, 도로 및 수로가 필요한 것과 같이 각 부분들은 서로 연결이 되어야 한다. 이러한 연걸수단을 동선이라고 한다.

 


동선계획

조금이라도 쓸데없는 공간을 제거하고 사람들이 생활할 때에 최대한 편리 할 수 있도록 하는 계획.

 


동적평형

움직이면서 평형을 이루는 것을 동적평형이라 한다. 자동차, 비행기 등의 움직이는 것들은 이러한 동적 평형까지도 고려해야 한다.

 


동적 시험

재료의 동적 하중을 가하면서 시험하는 것으로, 비교적 실제 상태와 근사한 조건의 시험이라고 할 수 있다.

 


듀  벨

일종의 산지로서 목재의 접합부에 힘이 작용하면 볼트가 파고드는 현상을 막기 위한 보강철물이다. 듀벨은 전단력에, 볼트는 인장력에 작용시켜 접합재의 이음을 보강한다.

 


드  가

프랑스 화가. 파리 출생.  그는 경마․오케스트라․발레 등의 주제를 동물․인체의 움직임이나 전경․후경을 대비시키는 색다른 구도와 대상을 높은 곳에서 내려다보는 시점 등 그 당시 유행한 풍속판화에서 익힌 기법을 구사해 참신한 작품을 제작하였다.

 


띠  쇠

보강철물의 한종류로 띠형으로 된 철판에 못구멍을 뚫은 것이다.

 


라멘구조

부재를 견고하게 접합하여, 각 부재가 접합부에서 일체가 되도록 한 구조. [사진 1]과 〔그림 1〕의   철근콘크리트구조 건축 골조처럼 그 구성요소의 보와 기둥이 강접합(剛接合)되어 있어서 〔그림 2〕  처럼 각 접합부에 모인 재단측(材端側)에서 재축선(材軸線)에 대한 접선이 이루는 각이 변형 후에도  변화하지 않은 것으로 보이는골조를 라멘(Rahmen)이라 하며, 그 골조 형식을 이용한 구조물이 라멘구조이다.

 


래티스보

보의 한종류. 가공품은 들지만 큰 보춤이 가능하며, 덕트 및 배관의 관통도 용이하다.

 


램브란트

작풍은 대상에 대해서는 사실적이지만, 빛의 효과에 대해서는 최대의 이상주의자였고, 색채 및 명암의 대조를 강조함으로써 의도하는 회화적 효과를 올리는 데 그 특색이 있다. 즉, 색이나  모양이 모두 그 빛 자체이며, 명암이야말로 생명의 흐름이었다. 오늘날 그를 가리켜[혼의 화가][명암의 화가]라고 일컺는다. 대표작으로는 [자화상] [성가족] [엠마오의 그리스 도] [십자가 강하] [병자를 고치는 그리스도] 등이 있다.

 


로우탱크식

도기 등의 로우탱크에 일정량의 물을 모아 두었다가 레버핸들을 조작하여 급수하는 방식이며, 볼탭에 의하여 로우탱크에 다시 급수를 한다. 관의 압력은 0.3㎏/㎠ 이상으로 낮아도 되므로  급수관정도 15㎜를 사용하며, 세정시 소음이 작다.

 


롱  샹

프랑스의 건축가 르 코르뷰제가 만든 교회이름.

 


루이스 칸

에스토니아 출생. 5세 때 미국으로 건너갔다. 펜실베이니아대학 건축과를 졸업하고 건축가로서 출발하였으나 별다른 업적이 없었다. 주목을 받게 된 것은 1955년 모교의 교수로 취임하고부터이다. 이때부터 필라델피아의 도시센터 계획 등의 도시에 걸맞는 스케일 속에서 건축의 새로운 모습을  보여주는 계획안을 발표, 1960년 완성한 동 대학의 리차드 의학연구소 건축이 그의 평판을 일약  세계적으로 만들었다.  형태가 기능을 끌어낸다 라고 한 그의 유명한 말에서도 알 수 있듯이 건축형태를 상징적으로 취급한 태도가 업적의 중심을 이룬다. 현대건축가 중 가장 많은 논란과 상찬(賞讚)을 받는 건축가의 한 사람이다.

 


르 코르뷰제

스위스의 라쇼드퐁 출생. 본명 Charles- douard Jeanneret. 스위스의 미술학교에서 공부하고 펠레와 베렌스의 건축사무소에서 얼마 동안 일하였으나 20대 전반은 주로 유럽과 중근동 각지를 여행하면서 그곳의 도시건축을 연구하였다. 본격적인 활동이 시작된 것은 1920년대 이후로, 잡지 《에스프리 누보:LEsprit Nouveau》와 많은 저서, 도시계획과 실제 작품을 통해서 마침내 국제적인 합리주의 건축사상의 기수가 되었다. 집은 살기 위한 기계라고 하는 그의 유명한   아포리즘으로 상징되는 신선한 기계미학이 이 시기의 모든 제작에 일관되어 있고, 이와 같은 건축사상은 《건축을 향하여》 《도시계획:Urbanisme》 등, 이 시기의 저서에 잘 나타나 있다.  또한 같은 사상이 구체적인 도시의 스케일로 나타난 것이 《현대도시》(1922)와 《플랑 부아쟁》(1995) 등이다.

 


르네상스 건축

르네상스 건축은 균형잡기에서 수학적인 규칙에 따랐으며 또한 이미 보아온 대로 건축가가   의식적으로 계산하여 연출하던 조화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리  듬

건축에서의 리듬은 작업(모든 종류의 근육운동)을 즐겁게 하는 그러한 규칙적인 되풀이를 리듬이라고 한다. 리듬은 규칙적이거나 불규칙적으로 패턴화된 요소나 모티프에 의해 특성을 띠는 활동이다.

 


리버스-트랩식

대변기의 한 종류로 사이폰제트식과 거의 동일하나 트랩으로부터의 배출관의 길이나 유수면이 약간 적고, 소음도 적은 편이다.

 


리벳접합

리벳접합은 두장 이상의 강판을 접합하는 방법으로 일종으로 볼트와 너트 대신 8001,000도로 달군 리벳을 리벳해머 등으로 쳐서 붙이는 접합방법으로 현재는 잘 사용하지 않는다.

 


리브슬래브

슬래브에 한 종류로 모양은 한 쪽 방향으로 주름을 준 모양이다.

 


리프트업 공업

현장타설 콘크리트공사에서 볼수 있는 지주 등의 가설물이 불필요하며, 공기단축, 정밀도의 확보라는 점에서 근대적 공법의 하나로 꼽힌다.

 


마감재료

창호를 다 달고 나서의 마지막 마무리 공정. 유리, 석고보드, 알루미늄, 플라스틱, 합판 등이 있다.

 


마루널 깔기

1층마루는 동바리마루와 납작마루로 나누며 지반에서 어느 정도 띄어 설치한다. 동바리마루는 동바리돌 위에 동바리를 세우고 그 위해 멍에를 걸고 또 그위에 장선을 걸쳐서 마룻널을 박는 방식이며, 납작마루는 간단한 창고 등 마루를 낮게 설치 할 대 바닥에 1012㎝의 장선만을   4550m간격으로 배치하고 마룻널을 까는 방식이다. 2층마루는 홀마루, 보마루, 짠마루로 구분한다. 홀마루는 복도 또는 칸사이가 작을 때, 보를 쓰지 않고 직접 장선만을 걸어서 마루를 까는   방식이고, 보마루는 보를 걸고, 장선을 걸어서 마루를 까는 방식이다. 짠마루는 큰보를 걸고, 작은보,  장선, 마룻널순으로 까는 방식이다.

 


마모시험

재료가 마모에 저항하는 성질이나 마모에 영향을 주는 조건을 조사하는 시험.

 


마찰말뚝

마찰력을 이용한 기초 부재. 단단한 지반이 너무 깊이 있는 경우 말뚝표면과 지반 간의 마찰력을 이용 건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말뚝이다.

 


마찰말뚝

끝이 견고한 지지지반(支持地盤)까지 도달하지 않고 주위의 지반과 마찰력에 의해서 위로부터의 하중을 지탱하는 말뚝.

 


마틴부버

이스라엘의 현대 철학가

 


막구조

자중을 포함한 외력에 저항하기 위해 휨과 비틀림저항이 적은 천이나 고무 등을 구조재로 사용한 구조

 


말뚝

땅 속에 박아넣는 기둥.

 


말뚝내력

말뚝이 지탱할 수 있는 힘

 


말뚝박기

말뚝을 지면에 넣는 것

 


맞댄용접

2개를 1나로 맞댄,각,t 이으는 용접

 


맞춤

구조물에서 기둥 ?보 ?가새 등의 부재를 맞추는 접합방법.

 


먼셀의색구

색의 3속성(명도,채도,색상)을 구로 나타낸 것

 


멀티존방식

공조기 내에서 냉.온풍이 혼합되는 형식

 


메슨리시메트

도장,조적모르터에 사용하는 것

 


면적의 단위

면적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cubit,foot)

 


모듈

공업제품의 제작이나 건축물의 설계나 조립시에 적용하는 기준이 되는 치수 및 단위.

 


모듈러구조

공장에서 거의 완전한 건물로서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유니트를 제작한 구조

 


모듈의치수

양적 단위의 치수

 


모르타르

시멘트와 모래를 물로 반죽한 것.

 


모살용접

겹침,t 로 이으는 용접

 


모세관 작용

트랩의 오우버플로우 부근에 머리카락 또는 솔,헝겊이 걸린 경우에는 모세관현상으로 봉수가 빠져나가는 현상

 


모자이크

모르타르나 석회 ?시멘트 등으로 접착시켜 무늬나 그림모양을 표현하는 기법.

 


모형

기존 또는 계획 예정인 대상물(실물)의 입체적인 특성을 명시하기 위해 실물을 본떠 만든 것.

 


목재

여러 가지 이용 목적으로 벌채한 수목.

 


목재 반자틀

반자를 들기 위해서 나무로 가로세로 짜서 만든 틀

 


목재접합

목재를 이어 붙이거나 탛아서 맞붙은 것

 


목재창호

목재로 만든 창이나 문.

 


목재의 접합이나 고정에 쓰이는 것.

 


무기재료

무기물 재료를(세라믹, 석재)

 


무량판 슬래브

테두리에 보가 없는 슬래브

 


물리적 내용수명

물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수명

 


물시멘트비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를 반죽한 직후의 물의 양과 시멘트 양과의 중량비(重量比).

 


물의 운동량에 의한 관성

물의 급속하게 배수할 경우 압력에 변화가 일어남

 


물질적 구법

단순히 중력에 대한 대응 방식

 


미기후

지표면으로부터 지상 1.5m 사이의 접지기층(接地氣層) 기후.

 


미닫이문

옆으로 밀어 여닫는 문.

 


미닫이창

옆으로 밀어 여닫는 창.

 


미르치아 엘리아데

루마니아 출신 종교학자

 


미서기문

방문 두 짝을 한편으로 밀어 겹쳐서 여닫는 문.

 


미서기창

방문 두 짝을 한편으로 밀어 겹쳐서 여닫는 창.

 


미장재료

미장에 쓰이는 재료.

 


미적감동

아름다움에 대해 감동을 받는 것

 


바닥

물체의 거죽을 이룬 부분.

 


바닥구조

바닥을 이루고 있는 부분들의 서로 짜인 관계나 그 체계

 


바닥성능

바닥이 지닌 특성과 능력

 


바닥재

건물의 바닥에 쓰는 건축 재료

 


바닥종류

바닥의 종류

 


바로크

1718세기에 유럽, 특히 프랑스․이탈리아 등지에서 유행한 그림․건축․조각․문학․음악․장식 미술 등의 한 양식.

 


바름바닥

인조석 갈기, 시멘트 모르타르, 현장테라조 바름 등의 공법을 말함

 


바름반자

천장의 최종마무리에 석고 플라스터, 회반죽,  모르타르등을 바른 것

 


바름벽

미장재료(美粧材料)를 하나씩 발라서 마무리하는 벽.

 


반복

되풀이함.

 


반사율

입사(入射) 에너지와 반사 에너지의 비율.

 


반사일사

직달일사와 확산일사가 지표면에서 다시 반사되어 받는 일사.

 


반자틀

반자를 들이기 위하여 나무나 철사로 가로세로 짜서 만든 틀

 


방사형대칭

중앙의 한 점에서 사방으로 바퀴살처럼 죽죽뻗친모양이 대칭을 이룸

 


방수

물이 새거나 스며들거나 넘쳐 흐르는 것을 막음

 


방습

습기를 막음

 


방향성

방향의 성질

 


방화구획

화재가 건축전체에 번지지 않도록 내화구조의 바닥 ?벽 및 방화문 또는 방화셔터 등으로 만들어지는 구획.

 


방화재료

화재를 막을 수 있는 재료

 


배수방식

상수도 등의 물을 여러 군데로 보내는 방식

 


배수설비

배수를 위한 장치등을 갖추는일

 


배치

갈라 나누어 늘어놓음. 배포(排布). 포치(布置).

 


버팀대

쓰러지지 않게 받치는 장대. 지주(支柱).

 


범살문

문살을 가로세로 넣어 짠 문.

 


베르메르

네덜란드 화가. 델프트 출생. 화상(畵商)의 아들로 태어나 1655년 아버지의 사망 후 그 사업을 승계하였다. 화가 C. 파브리티우스의 영향을 받았다. 1653년 델프트의 화가조합에 등록하고, 같은 해 K. 보르네스와 결혼하였다. 62~63년, 69~70년, 두 번에 걸쳐 화가조합 간부를 지냈다. 그는 극히 지필(遲筆)이고, 더구나 거의 소품(小品)이어서 현존하는 작품은 35점 정도이고, 1~2명의 가정 내 생활을 묘사한 것이 대부분이다. 그 밖에 종교적 소재의 것과 풍경화가 있으며, 특히 마우리츠호이스미술관의 《델프트의 조망》은 명작으로 유명하다. 그의 그림은 색의 조화가 뛰어나, 적?청?황 등 정교한 대비로 묘사된 실내정경은 활짝 갠 날 북유럽의 아침의 대기를 생각하게 하며, 밝고 확 트인 부드러운 빛과 색의 조화 속에 차분하게 가라앉은 정취와 고요함을 넘치게 하고 있다. 초기의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의 뚜렷한 대비는 말년에 이를수록 엷어지고 있다. 그 밖에 《편지를 읽는 여자》 《터번을 두른 소녀》 《레이스를 짜는 여자》 《화가의 아틀리에》 등이 있다.

 


비올레르

프랑스의 건축가

 


집의 둘레나 방을 둘러막은 부분

 


벽구조

벽체(壁體)와 바닥슬랩의 면재(面材)만의 조합(組合)으로 구성되는 구조

 


벽돌구조

주체가 되는 구조부를 벽돌로 쌓아 올리는 구조

 


벽재

벽지에 외따로 있음

 


벽체

건물의 벽이 되는, 측면이 넓고 두께가 얇은 부분

 


벽체구조

벽체를 이루고 있는 부분들의 서로 짜인 관계나 그 체계

 


변재

통나무의 겉부분

 


변형

물체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나타나는 형상이나 부피의 변화

 


변형도

변형이 일어나는 정도

 


변형하중

어떤 이유로 건물이 변형됨으로써 발생한 하중

 


보(beam)

 

 


수직재의 기둥에 연결되어 하중을 지탱하고 있는 수평 구조부재.

건축구조에 따라 형식과 명칭이 다르고, 사용되는 위치․크기․모양 등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다. 목조에서는 육송 및 나왕 등이 주로 쓰이고, 단일재를 쓴 단일보가 많이 사용된다. 또 둘을 겹쳐서 볼트로 죄어 만든 배합보(flitch beam)․겹보 등이 있다. 그 외에도 지붕틀․마룻바닥․사찰건축 등 사용되는 곳에 따라 명칭을 달리하고 있다. 철근콘크리트구조 또는 철근구조의 보는 목구조와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철근콘크리트구조에서는 기초의 부동침하(不同沈下)를 막기 위한 것과 기둥 밑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땅 속에 기둥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기초보(지중보)가 있다. 또 기둥간격이 큰 구조물에는 기둥과 기둥은 큰 보(Gerber)로 연결되고 각각의 큰 보의 중간에 단면이 작은 보를 십자로 건너질러서 상부 바닥인 슬래브를 형성한다. 또한 작은 보의 수를 증가시켜서 형성한 리브드슬래브, 작은 보를 격자형으로 형성한 워플슬래브등이 있다.

철골구조의 보는 구조물의 규모에 따라 달라지며, 초고층 건축에서는 H형강등, 단면이 큰 강재를 단일재의 구조재로 사용하지만 경량철골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 등의 경우는 I형강의 단일보 또는 앵글 등 여러 부재를 트러스형으로 조립하여 만든 트러스보 및 라티스형으로 조립하여 만든 라티스보 등이 있다.

보의 모양은 일반적으로 직선재가 쓰이지만 특수한 형체로는 휘어진 보도 있다. 보는 축에 직각 방향의 힘을 받아 주로 휨에 의하여 하중을 지탱하는 것이 특징이고, 역학적으로 보를 지지하는 방법에 따라 양단을 지지하는 단순보, 중간에 받침점을 만든 연속보, 연속보의 중간을 핀(pin)으로 연결한 게르버보, 양단을 완전히 고정한 고정보, 고정보의 일단을 해방한 캔틸레버보 등으로 분류된다.

구조적 조건으로서는 하중에 의한 최대 휨모멘트에 견디고, 최대 전단력(剪斷力)에 견디어야 한다. 보의 단면은 일반적으로 휨모멘트에 의해서 설계되고 전단력에 의해서 검토하며, 때로는 처짐에 의한 검토가 필요하다.

 


보강 철물

- 못 : 목재의 접합이나 고정에 쓰이는 것.

재료에 따라 나무못[木釘]․대못[竹釘]․쇠못[鐵釘]으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쓰이는 못은 철제 둥근 못으로, 쇠를   두들겨 각형(角形)으로 만든 재래식의 못과 구별하기 위하여 둥근못[洋釘]이라고도 한다. 나무못보다 대못이 강하   며, 이 못에는 머리가 없고 형태는 사각이나 육각으로 목재가구, 장식용 상자 등에 사용한다. 쇠못은 철․구리․   황동을 재료로 제작하며, 그 종류와 용도가 다양하다. 철선을 이용하여 제정기(製釘機)로 대량 생산하는 쇠못이    가장 많다.

 


- 꺽쇠 : 나무와 나무에 연결할 때 쓰이는 것.

생김새는 디긋자처럼 생겼으며 굵기는 약 1Cm정도 이며, 길이는 약 1520Cm 정도 이며 양쪽끝이 뽀족합니다. 나무와   나무 즉 석가래와 기둥, 또는 기둥과 대들보를 연결 할때 외부에 망치로 팡팡 박아서 서로 고정하는곳에 쓰인다고      합니다.

 


- 볼트 : 건축재료나 기계부품을 고정하는 데 사용하는 기계요소.

둥근 봉에 나사를 낸 것으로, 일반적으로 머리가 달려 있다. 머리 모양은 육각형으로 된 것이 보통이지만 사각     형․원통형․접시형 등도 있다.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은 관통볼트로, 죄어 맞추는 것의 구멍에 볼트를 넣은 다음 너트로 죄어 고정시킨다. 관통구멍을 뚫을 수 없을 때는 구멍에 나사를 내어 볼트를 틀어 넣고 너트로 죄는 탭볼트(tap bolt), 미리 심어 놓고 밖에 있는 부분을 너트로 죄는 스터드볼트(stud bolt), 기계 등을 기초 콘크리트 위에 장치할 때 사용하는 기초볼트(foundation bolt) 등의 종류가 있다.

볼트는 보통 강제(鋼製)이며, 표면의 다듬질한 정도에 따라 다듬질 볼트․반다듬질 볼트․흑피(黑皮) 볼트 등이라 한다. 또, 놋쇠나 경합금으로 만든 볼트도 있다.

볼트의 나사부분이 받는 하중에는, 축방향에 하중과 비틀림을 받는 경우, 전단(剪斷)하중을 받는 경우, 축방향에 충격하중과 정하중(靜荷重)을 을 받는 경우 등이 있다.

 


보통 푸틀랜트 시멘트

1824년 영국의 J.애스프딘이 제조법을 발명한 시멘트.

일반적으로 시멘트라고 하면, 1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가리킬 정도로 일반 건축․토목공사등 공사현장 어느 곳에서나 사용되는 시멘트이다.

 


복관식

주택에서는 대부분 복관식을 이용하고 있다.

온수를 주관 내로 순환시켜 필요 유량을 방열기로 빼내는 방식

 


복사 난방

특수한 방열면(放熱面)으로부터의 열복사를 이용하는 난방법.

증기난방이나 온수난방장치를 한 방의 벽․바닥․천장 등의 표면온도는 실내기온보다 낮으므로 재실자(在室者)의 피부나 의복의 표면에서 복사에 의해 열이 방산된다. 실내의 주벽의 표면 온도를 높이면 재실자의 복사방열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실온을 다소 내려도 좋은 온감(溫感)을 얻을 수 있다. 보통 난방법을 복사난방법에 대응해서 대류난방이라 한다.

복사난방의 특징은 ① 인체의 표면이 방열면에서 직접 열복사를 받는다. ② 실온이 낮아도 난방효과가 있다. ③ 열복사는 상당히 높은 천장에서 바닥까지 도달하므로 보통난방으로는 거의 불가능한 천장이 높은 방의 난방이 가능하다. ④ 복사난방은 높이에 따른 실온의 변화가 적으므로 보통난방일 경우에 나타나는 두열족한(頭熱足寒)의 결점이 없고, 바닥복사난방일 때는 두한족열(頭寒足熱)의 인체보온 원칙에 합당하므로 쾌적한 환경을 만들 수 있는 점 등이다.

 


【복사난방의 종류】 복사난방에는 구조복사난방과 고온 패널식(panel 式) 복사난방의 두 가지가 있다. ① 구조복사난방:바닥․벽․천장 등 건물구조체 내부에 온수관 등을 매입해서 넓은 저온도의 방열면을 구성하는 방식인데, 열용량이 대단히 커서 예열시간이 길고 관성이 크므로 외기온(外氣溫)의 변화에 적절히 대처하기 어렵다. ② 고온 패널식:복사난방 천장면에 반사판이 달린 전열기․가스방열기 또는 증기 패널 등 고온의 방열기를 설치하는 방식인데, 천장이 특히 높은 방에 적합하다. 장치 자체의 열용량이 적고 방열기에 열매(熱媒)를 통하면 실내공기가 더워지기 전에 열복사에 의한 난방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복합 기초

기둥이 인접해있는 경우 2개의 기초를 합치는 기초이다.

 


볼노으(Bollnow)

독일의 철학자․교육학자.

국적 : 독일

활동분야 : 철학․교육

주요저서 : 《실존철학》(1943) 《실존철학과 교육학》(1957) 등

G.미시와 H.노르의 제자로 1953년부터 튀빙겐대학의 교수로 재직하였다.

M.하이데거, K.야스퍼스 등의 실존철학과 W.딜타이의 생(生)철학의 영향을 받아 실존철학적 색채를 띤 철학적 인간학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불안이나 절망보다는 신뢰나 희망이 보다 근본적인 생의 계기가 된다고 하여 실존주의를 극복하고자 하였으며, 교육에서도 어린이의 성장은 안정감이 그 기조가 된다고 주장하였다. 실존적 교육학의 의미에서 전통적인 연속성에 입각한 교육의 방법을, 만남․각성․훈계라는 비연속적인 교육의 방법으로 보완하고자 시도하였다. 《딜타이 전집》을 편찬하고, 정신사․교육사 및 철학적 인간학에 많은 공헌을 남겼다.

 


볼트

둥근 봉에 나사를 낸 것으로, 일반적으로 머리가 달려 있다. 머리 모양은 육각형으로 된 것이 보통이지만 사각형․원통형․접시형 등도 있다.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은 관통볼트로, 죄어 맞추는 것의 구멍에 볼트를 넣은 다음 너트로 죄어 고정시킨다. 관통구멍을 뚫을 수 없을 때는 구멍에 나사를 내어 볼트를 틀어 넣고 너트로 죄는 탭볼트(tap bolt), 미리 심어 놓고 밖에 있는 부분을 너트로 죄는 스터드볼트(stud bolt), 기계 등을 기초 콘크리트 위에 장치할 때 사용하는 기초볼트(foundation bolt) 등의 종류가 있다.

볼트는 보통 강제(鋼製)이며, 표면의 다듬질한 정도에 따라 다듬질 볼트․반다듬질 볼트․흑피(黑皮) 볼트 등이라 한다. 또, 놋쇠나 경합금으로 만든 볼트도 있다.

볼트의 나사부분이 받는 하중에는, 축방향에 하중과 비틀림을 받는 경우, 전단(剪斷)하중을 받는 경우, 축방향에 충격하중과 정하중(靜荷重)을 을 받는 경우 등이 있다.

 

 


봉강

막대강이라고도 한다. 압연에서 길이는 늘어나지만 폭은 줄어들지 않으므로, 롤을 예로 들면 모서리를 둥글게 한 직각삼각형 홈을 판 것을 맞추어서 소재(素材)를 압연해도, 홈의 폭은 소재의 폭보다 작게 할 수가 없다. 그러므로 한 번의 압연만으로는 소재의 폭과 두께를 알맞게 줄일 수 없어 목적하는 단면형상(斷面形狀)의 봉을 만 들 수가 없다. 이 때문에 둥근 봉․각봉(角棒)을 압연하려면, 한 번 통과할 때마다 45° 또는 90°를 회전시켜 압연해서 성형한다.

이것에 사용하는 홈롤의 단면형상은 [그림]과 같은데, 처음 소재는 어느 것이나 모두 각봉이다. 단면의 대각선이  상하(上下) 방향이 되도록 해서 ①의 홈에 넣고, ①과 ②, ③과 ④ 사이에서 소재를 축 둘레로 90°씩 회전시킨다.

 

 


부식

액체상(液體相)과 접촉하고 있을 때 일어나는 습식(濕蝕)과, 기체상만으로 비교적 고온일 경우에 일어나는 건식(乾式)으로 대별된다. 예를 들면, 상온에서 철이 녹스는 것은 습식이고, 고온 할로겐기체 속에서 각종 금속이 소모되는 것은 건식이다. 평상시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은 습식이지만, 그 메커니즘은 국부전지(局部電池)의 형식에 의해 설명된다. 즉, 같은 금속의 표면일지라도 미시적(微視的)으로는 물리적․화학적으로 각부의 상태가 다르므로, 그것들의 전극전위는 모두 다르다.

따라서 전위가 낮은 부분(電子가 풍부한 부분)은 전위가 높은 부분(전자가 적은 부분)에 전자를 주어 용해하고, 높은 부분에 도달한 전자는 이 부분에 용액 속으로부터 확산 또는 이동해 온 이온을 환원함으로써 소비되는데, 이 이동이 반복되면서 부식이 진척된다. 또 부식은 금속표면이 고르게 부식되는 전면부식과, 한정된 일부만이 부식되는 국부부식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특히 국부부식의 예는 많은데, 그 대표적인 것으로서, 스테인리스강이나 두랄루민에서 볼 수 있는 금속결정의 결정립계(結晶粒界)에 따라 부식이 진행하는 입간부식(粒間腐蝕)이나 금속표면의 방식피막(防蝕被膜)에 핀홀[氣孔]이 생겨서 거기에서 받은 부식이 내부로 급속히 진행되어 가는 점식(點蝕) 및 금속과 금속 간의 접점(接點)이 미동(微動)함으로써 생기는 접동부식(摺動腐蝕) 등을 들 수 있다.

접동부식은 금속표면의 피막이 접동에 의해 파괴되고,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의 파편이 금속 사이에 끼여서 동시에 산화한다고 생각된다. 이것들에 비하여 대기 안에서의 부식이나 산(酸)수용액 안에서의 금속의 용해 등은 전면부식의 예이다. 부식은 계속적으로 일어나는 성질이 있으며, 도금․도장(塗裝), 표면 산화피막의 형성, 전기방식(電氣防蝕) 등 부식 방지법도 여러 가지가 있다.

 


분뇨 정화조

종말처리장을 가진 하수가 있는 구역 외에서는 오수를 정화조로 정화처리한 후 하수도에 방류할 수 있다. 정화조는 건물마다 설치하는 경우와 몇 개의 건물이 공동으로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구조는 부패조․산화조․소독조로 이루어져 있다. 수세식 화장실에서 흘러들어 온 오수는 먼저 부패조에서 약 48시간 괴어 있는 동안에 침전분리하여, 오물은 혐기성세균에 의해 부패․분해되어 일부는 액화․가스화되어 그 용적이 줄어든다. 이러한 부패․분해에 의해 유기물은 무기물화되어 안정된다. 오수는 다음 산화조로 이동되며 여기에서 주방이나 욕실에서 흐르는 생활하수에 의하여 쇄석면(碎石面)을 흐르는 사이에 산소성균의 작용과 쇄석층 내의 유통하는 공기와의 접촉에 의하여 산화된다. 처리된 오수는 소독조에서 염소용액의 주입을 받아 소화기 계통의 병원균의 살균을 한 후 방류된다. 정화조는 가능한 한 화장실에 접근하여 설치하여야 하나 넓은 부지에 몇 개의 건물이 있을 때는 부지와 변소의 배치 등을 고려하여 부패조를 2개소 이상으로 분할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이것을 분리조라고 한다. 정화조의 위치가 낮아 하수도로 자연방류가 안 될 때에는 방류수를 펌프로 처리한다.

 

 


붉은 벽돌조

진흙을 완전연소로 소성, 외관이 미려하고 의장적 효과가 큼, 방습 난이

 

 


붙임 바닥

붙임바닥구조는 나무널판, 타일, 벽돌 등을 바탕위에 고정철물,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붙여서 마감하는 구조이다. 대표적으로는 마룻널, 플로어링 블록, 합판 등의 나무판을 바닥에 붙이는 방식과 돌, 벽돌, 타일, 인조석, 테라조 블록등의 무기질계 바닥판붙임, 아스팔트 타일, 고무타일, 플라스틱 타일 등 플라스틱계 타일을 붙이는 방식이있다.

 


붙임벽

석면플레이트판벽과 아연도 철판, 치장용 철판, 스테인레스강, 동판 등의 금속판, 그리고 그리고 돌이나 타일을 벽에 붙인다. 또는 속이 빈 대형의 점토를 구워만든 테라코타 타일을 붙이거나 유리블록을 쌓아 벽을 구성하기도한다.

 


블로우 아스팔트

가열한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또는 경질의 감압증류잔사유(VR)에 압축공기를 불어넣어 아스팔트 구성 분자끼리 축중합반응을 일으켜 분자량을 크게 한 것이다. 아스팔트시멘트와 비교 하여 감온성이 적어 상온에서 고체상태이나 내열성,내구성이 뛰어나 건축재 등 산업용에 많이 사용되며 도로포장에서는 시멘트포장의 채움재(Joint Filler)로 사용된다.

 


블록구조

오래전부터 간단한 구조물에 이용되어 왔지만, 근래에는 철근으로 보강하여 각종 건축물 벽체에 널리 사용된다. 특징은 부식하지 않고 내풍성이 좋으며, 내화성(耐火性)․내구성(耐久性)․보온성(保溫性)․방음성(防音性)․단열성(斷熱性) 등이 우수하다. 여름에 시원하고 겨울에 따뜻한 집을 비교적 안전하게 지을 수 있다. 또 시공하기가 수월하여 공기(工期)가 단축되고, 블록의 대량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 등이 있다. 그러나 방수(防水)․방습의 결함이나 강도적인 결점도 있다.

 


【형식】 블록구조의 형식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① 조적식 블록구조:블록을 단순히 모르타르로 쌓아 벽체를 구성하고 바닥․지붕 등은 목조․철골조․철근콘크리트조로 한다. 이 벽은 상부에서 오는 하중을 직접 받아 기초에 전달하는 내력벽(耐力壁)이다. ② 블록장막벽:철근콘크리트나 철골 등의 주체 구조체에 블록을 쌓는 벽이다. 경미한 칸막이벽과 같이 상부에서 오는 하중을 받지 않고, 그 벽 자체의 하중만을 지지하는 비내력벽이다. ③ 보강블록구조:블록의 빈 속에 철근을 넣고 콘크리트를 부어 보강한 것으로 상당한 수직하중․수평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가장 이상적인 구조이다. ④ 거푸집블록조:살 두께가 얇고 속이 없는 ㄱ자형․ㄷ자형․T자형․ㅁ자형 등의 블록을 콘크리트의 거푸집을 써서 그 안에 철근을 배근(配筋)하고 콘크리트를 부어 벽체를 만든 것이다.

 


【종류】 사용되는 골재에 따라 중량블록과 경량블록으로 나뉘며, 사용하는 곳에 따라 칸막이용의 장막벽블록, 라멘의 장막벽블록 및 모서리용과 가로근용 등이 있으며, 형(形)에 따라 기본형과 반절형(半切形:기본형 길이의 1/2)이 있다. 기본형의 치수는 길이 39cm, 높이 19cm, 두께 19cm․15cm․10cm로 줄눈의 나비 10mm를 가산하면 길이 40cm, 높이 20cm가 된다. 또 블록은 사용되는 골재에 따라 보통골재를 사용한 중량블록과 경량골재를 사용한 경량블록으로 나뉘며, 강도는 1급․2급․3급으로 구분된다.

 


【시공법】 블록구조는 막힌줄눈으로 쌓는 것을원칙으로 하고, 특별히 의장이 요구되는 경미한 벽은 통줄눈으로 쌓는다. 일반블록조의 구조는 벽돌구조 구조규준에 준한다. 블록쌓기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① 각단쌓기:블록쌓기의 밑창은 잘 청소하고 적당히 물축이기를 한 다음 깔 모르타르를 충분히 펴고, 블록은 규준틀에 맨 수평실에 맞추어 내리누르는 듯이 설치한다. ② 모서리 및 교차부쌓기:위치와 각도는 정확하게 하고 모서리에는 모서리블록을 사용한다. 막힌줄눈으로 할 때에는 아래윗단이 번갈아 물려지게 쌓는다. 교차부에는 바깥벽 또는 중요한 칸막이벽은 통과시키고, 직교하는 벽의 블록은 맞대어 쌓는다. ③ 인방블록쌓기:문골 나비가 좁고 문골 위에 테두리보가 가까이 있을 때는 인방블록 또는 가로근용 블록을 사용하고, 철근콘크리트로 채워 인방보를 설치한다. 인방보는 좌우의 벽에 20cm 이상 물리게 하여 주체벽과 연결시킨다. ④ 테두리보 밑쌓기:테두리보를 돌릴 때에는 그 밑블록의 빈 속을 채우거나 철판 등으로 뚜껑을 만들어 빈 속을 막고, 테두리보에 콘크리트를 부어 넣는다. ⑤ 문골 주위:창문틀은 창대까지 블록을 쌓은 후 세우고 옆블록을 쌓는 경우와 옆블록을 먼저 쌓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블록벽과 창문틀을 꺾쇠, 큰 나무못 또는 벽돌 등을 사용해서 고정시킨다

 


비금속 무기재료

세멘트, 콘크리트, 세라믹, 도자기 등..

 


비금속 유기재료

목재, 고무, 플라스틱, 가죽, 복합제 등..

 


비내력벽

구조적으로 하중을 받지 않는 벽으로 기둥과 보가 하중을 받을때 외부를 감싸는 벽돌, 블록, 커튼월이나 내부의 칸막이벽을 일컫는다.

 


비례

함께 변화하는 두 양 또는 수에 있어서, 한쪽이 2배, 3배…로 되면, 다른 한쪽도 2배, 3배…로 될 때, 이 두 양은 비례 또는 정비례한다고 한다. 이를테면, 철사의 길이와 무게, 일정한 속도로 달리는 자동차의 속도와 주행거리 등은 모두 여기에 해당한다. 이때 함께 변화하는 두 양을 x,y라 하면 x와 y 사이에는 y=kx인 관계가 성립한다. k는 x나 y와 관계 없는 일정한 수로서 비례상수라 한다. 일반적으로 비례관계의 그래프는 원점을 지나는 직선이다.

따라서 직선의 기울기는 비례상수 k에 의해 결정된다. y=kx에서 y가 a일 때 x가 b, y가 c일 때 x가 d이면, a=kb 및 c=kd이며 a/b=c/d가성립한다. 이 식은 a:b=c:d로도 나타낼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두 비 a:b와 c:d를 등호로 이은 식이 비례식이다. 이 비례식이 성립하면 a,b,c,d는 비례를 이룬다, 또는 비례한다고 말한다. 비례식이 a:b=b:c와 같이 연쇄비가 같을 때, a,b,c는 연비례를 이룬다고 하고, b를 a와 c의 비례중항이라 한다. 또,a:b=c:d와 같이 2개의 비가 단 하나의 식으로 표시되는 비례를 단비례라 한다. 이에 대응하여 ac:bd=e:f, 즉

 

가 성립하도록 복비와 단비 또는 복비와 복비에 따라 비례식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복비례 또는 상승비라고도 한다.

 


비례한도

응력도와 변형도는 정비례한도

 


비열

보통은 1g인 물체의 열용량, 즉 1g인 물체의 온도를 1℃ 높이는 데 필요한 열량을 말한다. 공업 방면에서는 1kg 물체의 열용량을 말할 때도 있다. 열량 단위를 cal로 나타낼 때 물의 비열은 1이 된다. 그리고 이 값은 수소 등 일부를 제외하면 예외적으로 크며, 물이 많은 물질 중에서 온도변화가 잘 일어나지 않는 물질임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물체의 비열은 온도에 따라 변화한다. 고온 및 극단적인 저온일 때는 별개로 하고, 상온 부근에서는 물질에 따라 고유한 값을 가진다고 보아도 된다. 그러나 기체에서는 부피를 일정하게 하고 열을 가했을 때와, 압력을 일정하게 하고 열을 가했을 때와는 값이 달라지는데, 나중 것이 더 크다. 이것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경우에는 열의 일부가 기체의 팽창이라는 외부로의 일에 소비된다. 그러므로 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그만큼의 열을 더 가해야 되기 때문이다.

보통 이런 경우의 비열을 정압비열(定壓比熱:cp)이라 하고, 이것에 대하여 부피를 일정하게 유지하였을 때의 비열을 정적비열(定積比熱:cv)이라 한다. 정압비열과 정적비열이 이렇게 다른 값을 가지는 이유는 일찍이 존 돌턴(John Dalton)에 의하여 지적되었다. 율리우스 R. 폰 마이어(Julius R. von Mayer)는 이 사실을 기초로 하여 열의 일당량(當量)을 이끌어냈다.

이론적인 계산에 의하면, 기체의 cp와 cv의 차는 약 2/M(M은 기체의 분자량)가 된다. 이 값은 상온․상압(常壓)하에서는 거의 정확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엄밀하게는 액체와 고체에 대해서도 cp와 cv를 구별해야 한다. 액체나 고체에서는 열에 의한 팽창을 억제하고 부피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렵다. 또 양자의 차는 아주 근소하므로, 보통은 정압비열을 그 물체의 비열로 한다.

1. 분자열

분자열은 비열에 분자량을 곱한 것, 즉 1㏖인 물체의 열용량을 말하며, 몰비열이라고도 한다. 이 값은 분자가 1개의 원자로 이루어지는 1원자분자의 경우에는 약 3㎈/deg, 산소․수소 등 2개의 원자로 이루어지는 2원자분자의 경우에는 약 5㎈/deg의 값(정적비열)을 가진다. 실험에 의하면 정압비열은 이 값보다 약 2㎈/deg씩 커진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 비열에 원자량을 곱한 것, 즉 1g 원자에 대한 열용량을 원자열이라고 한다. 대부분의 고체원소는 이 값이 약 6㎈/deg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것을 뒬롱-프티의 법칙이라고 하는데, P.L.뒬롱과 A.T.프티가 실험 결과 1819년에 발표한 것으로 원자량 추정에 이용한다.

기체분자열 및 고체원자열이 물질의 종류와 관계 없이 일정한 값을 나타내는 이유에 대해서는 고전통계역학에 의하여 밝혀졌다. 통계역학 입장으로 보면 물체가 얻는 열은 그 물체를 구성하는 많은 분자에 고루 배분된다. 따라서 1㏖이라는 같은 수의 분자를 가진 물체의 열용량은 필연적으로 일치한다. 1원자분자가 2원자분자보다 분자열이 작은 이유는 에너지의 배분 방법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2원자분자에서는 분자를 구성하는 두 원자 사이의 진동․회전에도 에너지가 배분되기 때문에, 1원자분자보다 분자열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원자의 운동에너지 외에 상호작용에 의한 위치에너지를 고려하면, 고체원소의 원자열은 그 값이 약 6㎈/deg라는 사실을 이끌어낼 수 있다.

20세기 이후 이들 법칙은 저온 영역에서는 성립되지 않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즉, 저온에서 고체의 원자열은 뒬롱-프티의 법칙에서 벗어나 감소하며, 절대영도에서 0이 되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이 문제는 A.아인슈타인이 다루었는데, 고체의 비열 문제에 양자론을 적용함으로써 그 이유가 해명되었다. 이것에 의하면, 고체의 각 원자는 같은 고유진동수를 가지고 운동한다. 하지만 그 진동에너지가 연속적인 값을 취하지 않고, 빛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양자화되어 불연속적인 값을 가진다. 그러면 저온에서 고체의 원자열이 감소하는 사실을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아인슈타인의 비열이론은 그후 P.디바이에 의하여 수정되어, 보다 실험결과와 일치하는 이론인 디바이의 고체비열 이론으로 발전하였다. 이것은 통계역학이 고전통계역학에서 양자통계역학으로 탈피하는 과정으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비중

어떤 물질의 질량과, 이것과 같은 부피를 가진 표준물질의 질량과의 표준물질로서는 고체 및 액체의 경우에는 보통 1atm, 4℃의 물을 취하고, 기체의 경우에는 0℃, 1atm하에서의 공기를 취한다. 비중은 온도 및 압력(기체의 경우)에 따라 달라진다. 무차원수(無次元數)인데, 고체․액체에 대해서는 그 값이 소수점 이하 5자리까지 밀도와 일치한다. 대부분 비중과 밀도는 그 값이 같다고 생각해도 무방하다.

 


비철금속

공업용 금속을 생산고 순으로 배열하면 철강이 엄청나게 많고, 그 밖의 전체 금속의 생산고를 합계하여도 양적으로는 철에는 전혀 미치지 못하지만 철과 비철로 분류하고 있다. 비철금속을 크게 나누면 예전부터 쓰이던 구리․납․주석․아연․금․백금․수은과 같은 것과, 비교적 새롭게 공업재료가 된 니켈․알루미늄․마그네슘․카드뮴과 같은 것과, 신금속이라 하여 최근 새로운 공업 발달에 의하여 실용금속이 된 우라늄․토륨․플루토늄․베릴륨․티탄․지르코늄․니오브․바나듐․하프늄․인듐․탄탈․몰리브덴․텅스텐․규소․게르마늄․나트륨․칼륨․갈륨 등으로 나눈다.

다른 분류에서는 면심입방(面心立方)금속․조밀입방(稠密立方)금속․체심입방(體心立方)금속 등과 같이 결정형으로 나누는 방법과, 비중 4.5쯤을 경계로 하여 중금속과 베릴륨․마그네슘․알루미늄․티탄․이트륨․나트륨․칼륨․칼슘 등의 경금속으로 나누는 방법과 니켈에서 알루미늄․마그네슘에 이르는 녹는점 6001,500 ℃인 대역을 경계로 하여 그 위아래에서 높은 녹는점(녹기 어렵다) 금속과 낮은 녹는점(녹기 쉽다) 금속으로 나누는 방법이 있다.

 


비파괴검사

NDT 또는 NDI로 약해서 부르는 경우가 많다. 물품 속에 공동(空洞) 등의 결함이 있을 경우, 파괴해서 조사하면 그 유무를 확인할 수 있으나 이러한 파괴검사는 낭비가 많아 모든 제품을 조사하는 데는 적합하지 않다. 용접부나 주물 속의 공동을 조사하는 데는 X선․γ선․β선 등의 방사선투과, 철판․단조품․관재(管材) 등의 상처나 내부의 결함을 조사하는 데는 초음파 탐상(探傷)이나 맴돌이전류시험, 물품 표면의 작은 상처의 발견에는 침투법(浸透法)이나 자분탐상법(磁粉探傷法)이 사용된다.

방사선투과시험에는 보통 X선이 쓰이는데, 물품과 같은 재료로 된 여러 가지 굵기의 철사를 물품과 같은 두께의 평판 위에 놓고 X선으로 사진을 찍어 각각의 선의 존재를 알 수 있게 X선의 강도나 노출시간을 조절함으로써 검출가능한 결함의 크기를 정한다. 이 방법의 원리는 결함 부분은 제품의 일반 부분과는 다른 물질(개재물) 또는 공동으로 되어 있어서 X선을 통과시키는 능력이 다른 것을 이용한 것으로서, 필름 위에는 이 결함 부분이 일반 부분과 다른 농도로 감광되므로 검출된다. X선이 아니고 γ선을 사용할 때는 코발트 60과 같은 방사선 동위원소를 사용한다.

맴돌이전류시험은 타진(打診)의 원리인데, 이는 마치 철도의 보선 작업원이 쇠망치로 차량 하체부의 기계류나 차축을 두드려서 그 부분의 결함을 발견하는 것과 같은 일을 귀에 들리지 않는 초음파로 하는 것이 초음파탐상법(超音波探傷法)이다. 발진장치에서 나온 초음파를 물품의 한 면에서 넣어 다른 면에서 반사되어 오는 음파를 받으면, 내부에 결함이 있을 때는 결함에서 반사되는 파(波)가 돌아오는 것으로 알 수 있는 원리이다. 맴돌이전류는 고주파유도 등의 방법으로 물품에 맴돌이전파류를 흘려 전류가 흐트러지는 것으로 결함을 발견한다.

방사선을 투과할 때도 초음파의 경우와 같이 검출된 결함신호를 알기 위해서는 2개 이상의 방향에서 입사시켜, 그 교점으로서 정할 수가 있고, 결함의 크기도 알 수 있다. 침투법 또는 자분탐상법은 표면의 흠을 찾는 데 사용한다. 색소나 형광체를 함유하는 액을 흠이 생긴 면에 발라서 스며들게 하고 표면을 잘 씻은 후 침투는 백묵을 칠하여 색소가 스며 나오는 것을 보고, 자분은 자외선 등으로 비쳐서 형광을 발하는 것으로 흠을 발견한다. 또 철강재에서는 자화(磁化)시켜 표면에 뿌린 철분이 흠이 있는 곳에서만 자기력선속(magnetic flux:磁束)이 세기 때문에 흡인되는 것을 이용하여, 착색된 자분으로 탐상할 수가 있다. 근래에는 레이저광선을 이용하여 비파괴검사를 실행하기도 한다.

 


건물이나 구조물의 들보나 도리.

 


빗대공

수평재와 기둥이 교차하는 구석에 비스듬히 취부하는 재.

 


빛 환경

건축에서의 빛 환경은 건축조명이라 하며 건축조명은 주광조명과 인공조명으로 나누어진다.

 


뿜칠

압축 공기로 미장재나 도장재를 분사시켜 표면을 입히는 작업 방법.

 


ㅅ자보

왕대공 지붕틀, 상대공 지붕틀의 평보와 대공머리에 빗걸쳐대어 중도리를 받는 경사재.

 

 


사고석

150mm200mm각으로 한식건물에 사용되는 돌 또는 주택의 외벽 또는 담장 등을 쌓는데 쓰이는 네모난 돌이고 면을 원칙적으로 대략 방형에 가까운 것으로 2면을 쪼개내어 면을 직각으로 잰 길이는 면의 최소변의 1.2배 이상일 것.

 


사이폰-볼택스식

세정수가 변기 내부벽을 타고 내려오면서 와류를 형성하면서 사이폰작용을 일으켜 변기를 세정하면서 오물을 배출하는 방식으로, 유수면이 넓어서 오물이 변기에 부착하지 않고 위생적이며 소음이 적은 편이다.

 


사이폰-제트식

사이폰 블렉스 방식의 사이폰작용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분사구멍(jet hole)을 설치하여, 세정수는 변기 내부벽 및 분사구명을 통하여 내려오면서 강력한 사이폰작용을 일으키도록 만든 방식으로 위생적․효율적이며 소음이 적다.

 


상대적 프로포션

 


상승된 기준면

지평면 위로 상승된 기준면은 모서리를 따라 수직표면을 설정한다. 이 모서리는 형태와 주변 공간 사이의 시각적 분리를 강화한다. 만일 기준면이 계속 상승해서 주변을 가로질러 위치하게 된다면 상승된 기준면은 공간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 될 것이다. 그러나 만일 모서리가 형태․색깔, 또는 질감의 변화에 의해 분절되면, 그것은 주위와 분리되고 구별되는 높고 평평한 면이 된다.

 


상항복점

내부조직에 탄성이 발생하여 급히 응력도가 하강하는 점

 


상향 공급방식

보일러 및 저탕조가 건물의 하부(지하실)에 설치되어 하부에서 건물의 수전(水栓)이 있는 상부까지 온수를 공급하는 방식이다.

 


색의 3속성

색상(色相, hue), 명도(明度, value), 채도(彩度, chroma)라 한다.

 


색체계획

밝고 연한 색을 주조 색으로 선택하고 악센트(accent) 색으로 변화를 준다.

작은 집을 꾸밀 때 색채 계획은 무엇보다 주요한 디자인 요소로 공간을 넓고 좁아 보이게 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

좋아하는 색이라고 코너마다 계획 없이 이색 저색을 사용하다 보면 집 전체는 더욱 좁아 보이게 마련이다.

그렇다고 지나치게 조심하다 보면 밋밋해 보이기 쉽다.

집안을 전체적으로 넓고 통일감 있게 꾸미려면 먼저 색채의 기본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적용해 보아야 한다.

 

 


서스펜션구조

막, 케이블, 스트러트, 그리고 인장력에 의해 이루어진 지붕은 균형적인 구조적 안정성을 제공한다. 좀더 매력적이고 유연성 있는 형태에의 적용이 가능하다. 케이블 시스템은 돔이나 스타디움과 같은 큰 스팬 (300M 이상)의 건물에도 적용된다. 인장력을 지지하기 위해 기초 및 앵커 시스템의 선정에 유의하여야 한다.

 


석재

석재 (石材) stone 채석한 암석을 가공 성형하여 건축 기타에 사용하도록 한 것. 건축용 석재에는 화강암, 안산암, 경석, 점판암, 사암, 의회암, 석회암, 대리속, 사문암 등이 있다.

 


선팽창계수

물체의 온도를 1℃ 올렸을 때의 그 길이의 늘어나는 비율.

 


선형공간

평면벡터에서와 동일한 계산법칙을 만족하는 덧셈과 실수배의 정해진 공간.

 


선형요소

도로의 중심선이 입체적으로 묘사되는 형상을 말하는 것으로 평면선형과 종단선형으로 나누어지는 선형을 구성하는 요소를 말한다. 평면선형은 직선, 원 및 완화곡선으로 이루어지고, 종단선형은 직선 및 종단곡선으로 이루어진다.

 


설계감리

적정한 공사계약의 체결에 따라 공사의 시공이 계약에 합치하도록 공정한 입장에 서서 공사 시공자를 지도하는 것을 감리라고 하는데 감리는 공사 시공자의 선정 및 계약방식의 결정에 도움을 주고 공사 시공자가 제출한 공사비 내역명세서의 내용을 체크해서 예산에 합치하도록 조정하는 것은 물론 설계의 의도를 명확히 하기 위해 건축상세도를 작성해서 시공도, 재료 등의 검사․승인과 현장에서의 공사지도를 담당하게 된다. 이처럼 감리는 설계와 마찬가지로 중요한 것이다. 따라서 철저한 감리가 행해 져야만 훌륭한 주택이 완성된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된다.

 


설계도면

설계도면은 규정된 기호와 선,문자,도법 및 도학등을 사용하여 설계자의 의사나 계획을 표현한 그림이다

 


설계도서

건축물의 건축 또는 대수선이나 건축설비의 설치 또는 공작물의 축조에 관한 공사용의 도면․구조계산서 및 시방서를 말함.

 


설비도면

사용되는 각종 기호 및 건축설비 도면을 표현하는데 필요한 기초 제도지식을 습득하고 연습함으로써 건축설비도면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릴 수 있다.

 


설비형 조절 방법

 


성형유리

유리블록, 유리벽돌, 프리즘유리를 말하며 유리블록은 투과광에 지향성을 가지게 하는 것에 뛰어나며 단열 차음효과가 크다. 유리벽돌은 유리블록보다 성능이 떨어지며 각종 형상이 있다. 프리즘유리는 투과광에 지향성을 가지게 하는것에 뛰어나며 하중강도가 크다.

 


성형판붙이기

 

 

 


세라믹제품

무기물질을 주원료로 사용하는 산화물(Oxide), 질화물(Nitride), 탄화물(Carbide)등의 재료를 뜻한다. 이러한 재료는 일반적으로 금속재료, 유기재료에 비하여 내식성, 내열성, 내마모성 등이 매우 크며 다양한 기능(전자기적기능, 기계적기능, 광학적기능, 생체적기능 등)을 갖는 현대공업재료 중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Computer의 기억소자 및 전자공업의 필수품인 반도체, 강유전체, 강자성체는 물론 원자력공업의 재료, 핵특성재료, 방사선 차폐재료, 항공우주공학의 특수 무기 제품, 특히 제3의 산업혁명을 가져올 초전도재료 등 세라믹의 용도는 매우 넓다. 우리 주변의 시멘트, 유리, 법랑, 내화물, 단열재, 건축용 점토제품, 도자기 등의 고전적인 세라믹의 예이며, TV의 C.R.T와 유리섬유등은 우리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세라믹 제품들의 예이다.

 


세락식

오물을 직접 트랩봉수에 낙하시켜 물의 낙차에 의하여 배출시키는 방식으로서, 오물은 유수 중에 매물되기 때문에 냄새는 비교적 적지만 유수면이 좁아 변기에 오물이 부착하기 쉽다.

 


세살창호

창호란 벽면 등에 부착시킨 문꼴에 창과 문을 말하며, 창문이라고도 말한다. 창호의 기능은 출입에 쓰는 출입구와 채광․통풍을 주로 하는 창으로 대별되고 구획용과 배연구․점검구 등으로도 쓰인다. 창호의 요구성능은 내풍압성․  기밀성․수밀성․차음성․단열성․방화성․내구성 등으로 대별된다.

세 살창호는 띠살, 격자살, 교살, 30℃소슬살, 60℃소슬살, 격자빗살, 격자교살, 육모소슬살, 세모소슬살, 삼각소슬살이 있다.

 


세출기

동양식 대변기에 사용되는 방식으로서, 오물을 받은 부분의 수심이 얕아서 오물이 노출되므로 냄새가 많이 나고 변기에 오물이 부착되기 쉬우므로 비위생적이다.

 


소성

재료가 외부에서 가해진 하중에 의해 변형을 하고 하중을 제거했을 때, 원래로 되돌아가지 않는 변형이 남는 성질. 이 변형을 소성 변형이라 하며 영구 변형이라고도 한다.

 


소성온도

900℃~1000℃사이이며 일반적인 온도는 960℃이다. 환원식 및 자연식 보다는 낮은 온도이다.

 


소요실

사람이 필요로 하는 공간


수-공기방식

기계실의 보일러․냉동기․공조기․덕트와 배관 및 실내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내유닛은 팬코일 유닛, 인덕션 유닛 및 온수방열기, 복사판넬 등이 있다. 기계실의 공조기에서 불어주는 공기는 일반적으로 정풍량으로 실내의 순환공기와 구분하기 위하여 1차 공기(primary air)라 하며, 실내공기는 2차 공기(secondary air)라 한다.

 


수경성

시멘트나 석고 등이 물과 화학 반응을 일으켜 응결. 경화하는 성질. = hydraulic setting

 


수정궁(Crystal Palace)

19세기에는 철과 유리 건축이 가능해지면서 새로운 빛의 공간이 차례로 생겨나기 시작했는데 그 대표적인 건축물의 예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은 철과 유리라는 새로운 공업재료를 사용해서 새로운 대량 생산 시스템을 이용한 새로운 공간의 출현이었다.

 


수직면의 전면 공간

수직면의 전면 공간은 잘 규정되어 있지 않다. 이 면은 그 영역의 단일 가장자리를 경계지을 뿐이다. 공간에 3차원 볼륨을 형성하기 위해서, 평면은 다른 형태요소와 상호작용해야 한다. 수직면의 높이는 우리의 키, 시선높이와   관련되어 시각적인 공간구성 능력에 영향을 주는 결정적 요소가 된다.. 예를 들어 60cm 높이의 평면이라면 공간의 감싸는 분위기를 주지는 못할 것이다.

 


수직형태

수평면보다는 능동적이며 공간을 한정하는데 더욱 필수적이고, 그 내부에 있는 사람들에게 강하게 감싸인 듯한 분위기를 주며 더욱이, 수직요소들은 한 공간을 다른 공간과 분리시킴으로써 내부와 외부 공간 사이의 경계를 설정한다.

 


순간식 급탕

건물 내의 세면기.욕실.주방싱크대등의필요개소에 별도로 설치하는 방식으로, 전기식과 가스식이 있다. 용량이 큰 가스식의 경우 별도의 배기통을 설치해야 하며, 실내에 설치하는 가스식은 급.내기설비를 해야 한다.

 


순응(Adaptation)

안구에 입사하는 빛의 양에 따라 망막의 감도가 변화하는 현상. 암순응(暗:Dark Adaptation): 망막의 감도가 높아짐. 명순응(明:Light Adaptation): 망막의 감도가 낮아짐. 간상세포- 빛의 감도는 높으나 광색/형태를 잘 판단 못함 추상세포

 


아치가 2차원적인 압축형태 작동적 구조라면 쉘은 3차원적인 것이다. 이론적인 쉘은 아무리 잘게 조각 내도 모든 부분에서 평평한면이 하나도 없는 형태로, 한마디로 전개도를 그릴 수 없는 도형이다. 쉘의 강도는 바로 여기에서 생긴다. 즉, 그 면을 평평하게 하려는 변형에 대한 저항에서 강성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쉘구조

지붕에 사용하는 구조재로서 곡면판을 외각(外殼)에 사용한 구조의 총칭. 셸 구조에는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① 장원통 셸(long barrel shell) : 주로 반원형의 단면을 사용한 원통으로서, 전체가 보의 작용을 한다. 경간(徑間)은 철근 콘크리트인 경우에 신축조인트 없이 건축할 수 있는 최대길이(약 60m)까지 가능하며, 셸의 높이(원형부분의 반지름)는 일반구형보의 경우와 같이 경간의 약 1/10~1/15이고, 셸의 살 두께는 원형부분의 지름의 1/30 내외가 적당하다. 또한 원형부분이 퍼지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양끝 마구리를 막는 것이 효과적이다.

 


② 단원통 셸(short barrel shell) : 아치 상호간을 박단부분(薄端部分)이 벌어지지 않도록 지중보로서 상호 연결을 하거나, 또는 완전히 땅 속에 고정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경간은 아치의 최대경간까지 가능하며, 200m 경간의 실례도 볼 수 있다. 아치의 간격은 보통 7~15m이다.

 


③ HP셸(hyperbolic paraboloid shell) : 직교하는 2개의 포물선(parabola)으로 이루어진 곡면을 가진 셸이며, 상향포물선이 하향포물선을 따라 이동하였을 때 생기는 곡면이다. HP셸의 수평단면은 한 쌍의 쌍곡선(hyperbola)이 나타나므로 쌍곡포물곡면 셸이라 불리며, 약칭으로 HP셸이라고 한다. HP셸은 직선만으로 이루어지는 곡면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특색이 있다.

첫째, 철근콘크리트 HP셸의 형틀은 직선재만으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형틀제작이 쉽다. 둘째, 2개의 HP셸의 접합부분을 직선으로 할 수 있으므로 여러 개의 HP셸을 합친 형태의 각종 구조물을 만들 수가 있다.

 


④ 돔(dome) : 돔은 구조물 중에서 가장 안정되고 단단한 구조물이라 할 수 있으며, 재료도 가장 적게 드는 구조물이다. 따라서 돔의 살 두께도 돔지름의 1/300~1/400이면 충분하다. 단, 결점은 형틀제작에 공사비가 많이 드는 점이다. 또 돔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에 그 하단부분이 터질 가능성이 많으므로 테두리보로 충분히 동여매어야 한다. 또한 돔은 부분적 집중하중에 약하므로 지붕 한 부분이 하중이 걸려야 하는 경우에는 돔구조를 피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⑤ 원뿔형 셸(conical shell) : 원뿔 또는 원뿔곡면을 이용한 구조물이다.

 


⑥ 막구조(membranes) : 텐트와 같은 얇은 막을 쳐서 지붕을 구성하는 방법으로서, 두 방향의 인장력(引張力)이 작용하는 현수(懸垂) 밧줄구조라고도 할 수 있다. 막구조는 바람에 흔들리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⑦ 원통상관(圓筒相貫) 셸(intersecting cylinder shell) : 직교하는 2개의 원통 셸이 상호 관통한 형태의 셸이다.

 


스케일

철강을 예로 들면 담금질. 어닐링 등의 열처리를 하기 위하여 가열할 때 스케일이 발생하는데, 보통 Fe2O3, Fe3O4, FeO의 3층구조를 이룬다. 가열온도가 낮거나 가열시간이짧으면 스케일의 두께가 얇은데, 이러한 스케일은 보통 흑피(黑皮)라고 한다. 보일러의 관석(罐石)을 스케일이라고 한다.

 


스터럽 철근

콘크리트 보에 수직하중이 가해지면 휨력과는 별도로 전단력이 발생한다. 콘크리트 두께만으로 전단력을 감당할 수 없을때는 철근으로 보강해야 하며, 전단면과 수직오로 배근해야 원칙이지만 시공편의상 수직으로 배근해도 무방하다. 이를 스터럽 철근이라 한다.

 


스테인리스스틸 창호

일반강재에 비하여 않고 알루미늄 강재창호에 비하면 강도가 크고 미려하지만 가격이 비싸다. 구조.형식.창호철물은 강재창호와 같다.

 


스톤헨지거석주(巨石柱)라고도 한다. 영국의 에브벨리, 프랑스의 엘라니크의 것과 더불어 장대한 규모의 스톤서클(環狀列石)의 유구(遺構)가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지름 114m의 도랑과 도랑 안쪽에 만들어진 제방에 둘러싸여 2중의 고리 모양으로 세워진 82개의 입석(立石)의 뽑힌 자리가 보인다. 중심부에는 2중으로 환상열석과 말발굽 모양의 열석이 둘러쳐 있다. 바깥쪽의 환상열석은 지름이 30m인데 30개의 열석이 늘어서 있고, 그 위에 순석(楯石)을 난간처럼 걸쳐 놓았으며 지름 23m의 안쪽 열석에는 순석은 없다. 다시 안쪽에는 두 개의 입석 위에 횡석(橫石)을 놓은 5쌍의 삼석탑이 중앙의 제단석(祭壇石)으로 불리는 네모난 돌을 에워싸듯 놓여 있다. 이 석조구축물의 주축이라고 할 동북부에는 바깔 도랑이 잘리어 4각형의 광장이 부설되었고, 그 중간에 힐스톤이라고 불리는 1개의 돌이 있다. 이 구축물들은 건조시기가 각각 다른데 바깥 도랑과 제방 그리고 힐스톤은 방사성탄소연대측정으로 BC 1848±275년에 건조되었고, 입석류는 BC 1700BC 1600년, 중앙의 석조물은 BC 1500BC 1400년 건조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스톤헨지가 고대의 태양신앙과 결부되고, 하지(夏至)의 태양이 힐스톤 위에서 떠올라 중앙제단을 비추었던 시기가 천문학적으로 BC 1840±200년이라고 계산됨으로써 방사성탄소연대측정의 결과와 일치하는 점으로 주목받고 있다. 1986년 세계문화유산 목록에 등록되었다

 


스트레이트 아스팔트(straight asphalt)

신도(神度)가 크고 교착력이 풍부하지만, 용융점이 높고 안정되어 있으며 질이 좋아 건축 방수공사에 많이 사용한다. 상온에서는 다소의 탄성, 가소성을 가지며 화학적으로 안정된 반고체이다.

 


스티프너

  

 


스팬

지점이 많을 때는 각 지점 사이의 간격을 말하며, 경간(徑間)이라고도 한다. 들보의 응력․휨 등을 계산하는 재료역학․구조역학에서 많이 취급된다. 핀으로 된 것도 있고, 들보와 일체로 만들어진 기둥일 때도 있다. 지점이 기둥일 때는 중심선간격(重心線間隔)을 택하는 것이 보통이며, 기둥면으로부터 잴 때는 특별히 안치수스팬이라고 한다. 스팬이 커지면 들보의 높이를 높게 하지 않으면 위험하므로, 대체로 스팬의 1/10 정도의 높이가 좋다. 아치 들보나 샐레를 사용하면 낮은 높이로도 큰 스팬을 얻을 수 있으며, 최근에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restressed concrete), 인장응력을 상쇄시키기 위하여 미리 압축응력을 가한 콘크리트 등을 사용하여 큰 스팬을 가진 구조물을 만든다. 비행기의 날개 끝에서 날개 끝까지의 거리, 전주와 전주 사이의 거리도 스팬이라고 한다.

 


스페이스 프레임

트러스로 만들어진 슬래브라고 보면 된다. 슬래브가 두 방향으로 힘이 가는 것처럼 스페이스 프레임 역시 마찬가지이다. 이것을 사용하면 트러스를 사용할 때보다 그 두께를 줄일 수 있고, 중간에 기둥을 세울 필요가 없다. 선재의 트러스보를 평면 혹은 곡면의 2방향으로 확장시키면 입체트러스가 되며, 이것으로 구성된 공간구조를 입체구조라고 한다. 입체구조는 힘의 흐름이 입체적으로 분포되므로 효율을 좋게 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골조 전체가 규칙적인 기하학적 유닛의 반복으로 구성될 수 있게 골조부재의 길이와 단면을 갖추는 것이 유리할 수 있으므로 공장에서 대량으로 생산할 경우에는 다양성과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스프링 시험

스프링 시험규격의 시험방법에 맞추어 시험을 하며, 규격외의 시험도 가능하다.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옆으로 팽창하는 정도를 측정할 수 있고 탄성계수 값을 구하며 사이클링 시험을 할 수 있다.

 


슬래브(Slab)

철근콘크리트로 만들어진 평한 바닥으로 부담되는 하중은 보로 전달되고 다시 각 기둥을 통하여 기초로 전달된다.   종류로는 1방향 슬래브, 2방향 슬래브, 플랫 슬래브, 장선 슬래브등으로 나눌 수 있다.슬래브의 분류는 철근의 배근 형태에 따라 분류되며 편의상 A~E형으로 구분 했지만 적당한 다른 명칭으로도 분류 할 수 있습니다.

① A형 슬래브 : [단순 슬래브] 복근 또는 단근형으로서 슬래브의 철근이 상하단 배근 또는 하단 배근만이 된 경우의      슬래브에 적용합니다.

② B형 슬래브: [단변보강 슬래브] 슬래브의 장.단변 길이가 다른 경우에 단변 길이 방향(장변 방향)의 철근이 보      강된 슬래브에 적용합니다.

③ C형 슬래브 : [톱바보강 슬래브] 단부의 보강을 위하여 단부의 상단에 TOP BAR를 사용하는 슬래브에 적용합니다.

④ D형 슬래브 : [장근보강 슬래브] 슬래브의 전단면을 보강하기 위하여 상단근을 보강한 형태의 슬래브에 적용합니다.

⑤ E형 슬래브 : [복합보강 슬래브] 실제 사용은 적지만 ?TOP BAR 와 상단근을 사용하여 보강한 슬래브에 적용합니다.

 


습통기(Wet Vent)

대.소변기를 제외한 기구 3개 이하의 배수도 가능한 통기관이다.

 


시각(視覺:Visual Perception)

시지각

빛-눈-뇌에 지가(물리/심리적 작용에 두뇌에서 해석)

시지각 반응

1)눈에 입사되는 복사에너지의 세기

2) 광속을 인식하는 시간

 


시멘트

넓은 뜻으로는 물질과 물질을 접착하는 물질을 말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토목․건축용의 무기질(無機質)의 결합경화제(結合硬化劑)를 의미한다. 그 중에서도 오늘날 흔히 시멘트로 불리는 것은 포틀랜드 시멘트다. 포틀랜드 시멘트의 주성분은 석회․실리카․알루미나․산화철 등이다. 이 시멘트는 이것들을 함유한 원료를 적당한 비율로 충분히 혼합하여, 그 일부가 용융․소성(燒成)된 클링커(clinker)에 적당량의 석고를 가하여 분말로 만든 것이다. 시멘트는 주요 건설자재로서 콘크리트 또는 시멘트를 주원료로 한 2차 제품용으로 사용한다. 슬레이트․기와․기포(氣泡) 콘크리트․전주(電柱)․관(管) 등 생활주변에서 시멘트 제품은 흔히 볼 수 있다.

 


시멘트 액체방수

액상의 방수제를 혼합한 모르타르를 콘크리트면에 발라 방수층을 형성시키는 방법으로 방수액 침투, 방수재 혼입, 시멘트 풀 도포, 방수모르타르 바름 등의 과정을 2~3회 거듭하여 방수층을 형성하고, 표면 보호 모르타르를 5cm이상의 두께로 발라 마무리한다. 이 방법은 시공이 간편하고 또 결함이 있을 때는 즉시 그 부분에 결과가 나타나므로 보수가 쉽다.

 


시멘트벽돌조

시멘트와 모래를 섞어 햇빛에 건조시킨 벽돌, 마감부를 치장하여야 함.

제2차 세계대전 후에 보급된 것으로 건축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블록은 구조 형식에 따라 조적블록․장막블록․거푸집블록․보강블록으로 나누어진다. 보강블록구조는 블록의 빈 속에 철근과 콘크리트로 보강하여 내력벽을 만드는 것이며, 거푸집콘크리트블록구조는 ㄴ자․T자형의 블록을 거푸집 대신 쌓고 그 속에 배근하여 만든 것인데 한국에서는 그 사용도가 적다. 장막벽식블록구조는 철골조나 철근콘크리트조에서 칸을 나누는 데에 사용하므로 큰 강도는 필요 없으며 가능한 한 경량이면 된다. 조적식블록조는 벽돌조와 같은 것으로 순블록조건축물일 경우 횡력에 약한 단점이 있으므로 벽돌조와 마찬가지로 3층까지만 건축하도록 법규상의 제한을 두고 있다. 그러므로 주택이나 연립주택, 작은 병원, 소규모의 사무소, 창고, 담장 등에 사용한다. 사용시에 주의할 점을 들면, 쌓을 때 모르타르가 잘 부착되기 위한 물주기를 지나치게 하지 말아야 하며, 외벽에 사용할 때에는 방수(防水)를 철저히 하여야 한다.

 


시멘트콘크리트제품

시멘트에 모래. 자갈. 석면. 목편. 목모 등의 골재를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 배합하여 물과 혼합, 소요의 형상으로 성형하여 경화시킨 제품이라 하며, 공장에서 제조된 콘크리트 및 철근 콘크리트의 부를 일반적으로 제품이라 한다.

지붕재 : 시멘트 기와, 슬레이트기와, 석면슬레이트(평, 골슬레이트), 조립용 콘크리트 지붕판

바닥재 : 시멘트벽돌, 시멘트블록, 테라조판, 석면슬레이트, 석면시멘트판, 목모시멘트판, 목편시멘트판, 펄프시멘트판,   경량콘크리트제품, 조립용 콘크리트 벽판, ALC(Autoclaved Lightweght Concrete)블록 및 패널

천장재 : 석면시멘트판, 목모시멘트판, 석면. 목모시멘트 합성판, 펄프시멘트판, 목편시멘트판, 펄라이트시멘트판 등

슬래브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말뚝 : 원심력 철근 콘크리트 말뚝, 프리텐션방식 원심력 PC말뚝

 


시멘트페이스트

시멘트와 물을 혼합한 것.

 


시방서

시방서를 사양서(仕樣書)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사용재료의 재질․품질․치수 등, 제조․시공상의 방법과 정도, 제품․공사 등의 성능, 특정한 재료․제조․공법 등의 지정, 완성 후의 기술적 및 외관상의 요구, 일반총칙사항(一般總則事項)이 표시된다.도면과 함께 설계의 중요한 부분을 이룬다.

 


시수직결방식

수도본관에서 급수관을 인입하고 건물 내의 필요개소에 직접 급수하는 방식이며, 제일 높은 장소의 위생기구의 필요압력이 유지되는 경우로, 2~3층 건물이나 주택 등에 사용되는 방식이다.

 


시트방수

외기에 대한 노화현상이 적은 네오프렌고무 등의 합성수지 시트를 합성수지 용액으로 아스팙트 방수와 같은 방법으로 여러 겹 붙여서 마무리하는 방수공법이다.

 


신정통기

오. 배수수직관의 상부 끝에서 배관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통기관으로서 오. 배수관의 공기유통을 원활히 하여 준다.

 


실리카시멘트

시멘트 중의 규산석회는 물과 반응하여 수산화석회가 되지만, 수산화석회는 실리카물질 중의 활성규산과 반응해서 안정성을 더한다. 화학적 작용에 대한 저항, 수밀성(水密性), 장기강도가 뛰어나므로 일반적인 포틀랜드시멘트와는 다른 특정용도에 사용된다. 반면 조기강도(早期强度)가 작고 건조수축이 크므로 초기양생(初期養生)이 중요하다.

 


실시공정표

전기공에 걸친 작업별 공정관리의 지표

 


실시설계

기본설계에서 결정된 설계의 구상을 세부적으로 명확하게 표현하는데, 구체적인 시공을 고려하여 설계도를 작성한다. 설계도는 각종 스케일을 사용하여 표현하는 것이 필요로 한다. 실시설계에는 적산이나 시공에 필요한 도면이 많으며, 각 부재의 양과 재질, 손질 방법 등을 자세하고 정확하게 표기한다. 도면에 표현되지 않은 것은 특기시방서로 보충한다.

 


실시설계도

기본설계에서 결정된 설계의 구상을 세부적으로 명확하게 표현하는데, 구체적인 시공을 고려하여 설계도를 작성한다. 설계도는 각종 스케일을 사용하여 표현하는 것이 필요로 한다. 실시설계에는 적산이나 시공에 필요한 도면이 많으며, 각 부재의 양과 재질, 손질 방법 등을 자세하고 정확하게 표기한다. 도면에 표현되지 않은 것은 특기시방서로 보충한다.

 


실용적 공간

인간의 여러 가지 생활을 담기 위한 기술․구조 및 기능을 수단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공간예술이다. 건축은 용도라는 목적성에 적합하여야 하며, 적절한 재료를 가장 합리적인 형식을 취하여 안전하게 이룩되어야 한다. 이로써 건축의 본질은 쾌적하고도 안전한 생활의 영위를 위한 기술적인 전개와 함께, 공간 자체가 예술적인 감흥을 가진 창조성의 의미를 가진다. 이 공간예술을 다루는 작가, 즉 건축가의 입장에 있어서 건축의 공간은 실용적 대상이고, 3차원의 지각적(知覺的) 대상이며, 자기인식의 실존적 대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단순한 건조기술(建造技術)을 구사하여 만들어진 결과로서의 구축물을 건물(building)이라 하고, 공간을 이루는 작가의 조형의지(造形意志)가 담긴 구축의 결과를 건축으로 표현하고 있다.

 


실존적 공간

환경에 관하여 인간에게 안정된 이미지를 형성시키는 것

 


심재

바깥쪽의 백색 또는 담색의 부분은 변재(邊材)라고 한다. 심재의 세포내강(細胞內腔)에는 고무․수지․타닌 등의 물질이 퇴적되고 복벽(腹壁)에 색소가 침착되어서 재부(材部)에 착색이 나타나며, 이들 물질 때문에 부후(腐朽)에 대한 저항력이 강해진다. 심재가 형성되는 시기는 수종(樹種)․생육조건 등에 따라서 다르다. 심재는 수종에 따라 각기 특유한 색조를 나타내며, 너도밤나무․자작나무․백양꽃나무 등과 같이 심재에 착색이 나타나지 않는 것도 있다.

 


아스팔트 플라이머

휘발성의 용재를 사용하여 액체로 만든 아스팔트액으로서, 방수시공을 하는 바탕에 바르고 잘 침투시켜 방수층의 부착이 잘되게 한다.

 


아스팔트 방수

아스팔트 펠트, 루핑 등을 용융한 아스팔트를 몇 층을 발라 붙여방수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바탕 모르타르 면이 평활, 건조하고 콘크리트와 밀착이 잘 되어야 한다. 지붕일 때는 적당한 물매를 둔다.

 


아이소매트릭

평면도에서 직접 형을 세우는 것으로 복잡한 형태도 용이하게 입방체적으로 표현할수 있다. 3축에 준하여 작도되며 분위기가 좋고 특히 설명적인 공간을 3차원적으로 설명하는 데 적합하다.

 


아자문

산스크리트의 글자에서 최초의 것이 「아」라는 글자다. 그런데 밀교(密敎)에서는 불생불멸(不生不滅)의 뜻이 「아」라는  글자에 들어 있다고 하여, 이 「아」를 관상(觀想)하는 것에 의해 온갖 사물의 불생불멸을 깨달을 수 있다고 본다. 이런 주장과 관법(灌法)을 아자문(阿字門) 아자관(阿字觀)이라 한다.

 


아치

쐐기 모양의 돌이나 벽돌을 쌓아올림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히 조적 아치라 하며 이것이 아치의 기본적인 형이다. 그 밖에 나무나 강(鋼)의 토막을 쌓아 만든 트러스 아치나 강철재 또는 철근콘크리트로 만든 것도 아치라고 한다

구조적으로는 상부하중을 각 굄돌의 접촉면에 수직인 방향의 압축력으로서 하부에 전하고, 아치 하단(下端)에 있어서는 바깥쪽으로 벌어지려고 하는 힘이 생기지만 벽을 두껍게 만들어서 안정을 유지한다. 목조건축에 있어서는 보[梁]와 같은 수평재에 의해서 상부하중을 지지하는 데 대해, 아치는 압축력에 강한 석재나 벽돌의 특성을 살린 조적조의 본질적인 구조방법이라 할 수 있다.

 


안방수

안방액․방수(房水)라고도 한다. 전안방은 평철(平凸)렌즈 모양의 강(腔)이고 후안방은 윤상강(輪狀腔)으로, 모두 림프를 함유하고 있으며, 양쪽은 홍채와 수정체를 연락하는 모세강에 의해 서로 교통하고 있다. 안방수는 림프와 비슷한 성질이 있으며, 고형성분은 식염이 0.7%, 단백질이 약 0.02%, 포도당이 약 0.1%이며, 굴절률은 1.336이다. 후안방의 모양체 또는 홍채에서 분비되며, 대부분은 모양체 정맥으로 흘러간다. 이 압력을 안압(眼壓)이라 하며, 1520mmHg이다. 혈압과 관계가 있다고는 하나, 혈압만큼 변동이 크지는 않다.

 


안장쇠

큰 보에 걸쳐 작은 보를 받게 한다.

 


안  전

위험하지 않음, 위험이 없음. 또는 그러한 상태

 


안전관리

개개의 기업이 실시하는 노동재해방지대책. 노동재해방지대책에는 국가가 실시해야 하는 것과 업계가 해야 하는 것이 있다. 안전관리는 크게 설비관리와 작업관리로 나눠지는데, 설비에 대해서는 설계․설치․사용의 각 단계에서 일관성 있는 안전관리가 필요하다. 작업관리는 정리정돈․안전점검․안전작업을 직장이 일체가 되어 통일적으로 실시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안전관리공정표

공정의 시기와 각 작업별 위험성에 따른 위험방지 대책을 기입한 공정표로서 안전관리에 활용

 


안전율

구조물 전체 혹은 그것을 구성하는 각 부재의 안전의 정도를 나타내는 계수. 탄성 설계 : 설계에  있어서 구조 각부에 파괴, 대변형이 생기지 않도록 계산 응력도가 재료 강도 ##의 1/S 이하로 되도록 형상 치수를 결정한다. S를 안전율이라 한다. S를 정하려면 재료 강도의 불균일, 상가법에 의한 강도의 변화, 응력 계산의 신뢰도 등을 고려해야 한다. 리밋 디자인 : 붕괴 하중을 기준 하중으로 나눈 몫.

 


안정성

① 골재 : 골재의 동결. 융해와 같은 기상 작용에 대한 내구성을 나타내는 단어. 황산 나트륨 포화 용액에 여러 번 담궈 그 분해 작용에 대한 저항성을 시험해서 손실 중량 백분율로 나타낸다.

② 시멘트 : 시멘트의 안정성 시험은 시멘트 팽창성의 크랙 및 휨 등을 조사하는 시험. 시멘트 중에 과잉의 유리 석회 또는 마그네시아가 존재할 경우 수화(水和)의 과정에서 이상 팽창이 생기고 이 때문에 균열, 붕괴 등을 일으킨다. 이와 같은 팽창을 일으키지 않는 성질의 것을 말한다.

 


알루미나 시멘트

알루민산칼슘을 주성분으로 한 특수 시멘트. 필요강도를 하루 만에 얻을 수 있다는 점, 화학저항성 및 내화성에 뛰어난 점 등의 장점이 있어 긴급공사용․내화물용으로 사용된다. 고온 때 물과 섞어 개면, 상승된 강도가 시간과 더불어 저하되는 현상[轉化]을 일으키는 점, 또 포틀랜드시멘트와 혼합해서 사용하면 급격히 굳어버리는 점[急結] 등에 주의 한다. 석회석과 보크사이트를 소성 또는 용융하여 만든 수경성 시멘트, 경화가 빠르고 조강성이며 화학적 내식성이 강하고 내화성도 크다. 긴급 공사용으로 사용되었으나, 오늘날에는 내열(내화)용 시멘트로 사용.

 


알루미늄 창호

알루미늄 창호의 특징은 비중이 철의 약 1/3로 경량이며 녹슬지 않아 유지관리가 쉽고 수명이 길다. 용융점이 낮아 복잡한 형상으로 밀어내기가 가능하며 기밀성도 우수하다. 내식성이 강해 부식을 막고 전정발색, 교류전정착색, 염색, 전착도장으로 자유로이 착색할 수 있어 인테리어 효과도 높다. 반면 경도가 낮고 상처나기 쉬우며 손상시 보수가 거의 불가능한 게 단점이다.  알루미늄 창호의 특징을 살려 여닫는 형식, 기능, 성능, 용도에 따라서 종류도 다양하고 보통 주택, 저,중,고층빌딩에 적용하기 쉽다.

 


알바 알토

핀란드의 건축가 알바 알토는 유기적 건축을 탄생시킨 사람들 중의 하나이다. 알바 알토 외에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를 유기적 건축의 계통으로 분류하는데, 유기적 건축은 계산된 것이 아닌 직감적으로 떠오르는 것이고, 형태에 있어 다양성을 가지고 있으며, 정적이라기보다는 동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 알바 알토의 유기적 건축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세가지로 압축해 볼 수 있다. 첫째로 무엇보다도 인간의 육체적, 정서적 요구에 관심을 가지는 인본주의(humanism)를 들 수 있다. 둘째로 목재와 벽돌과 같은 자연재료를 새로운 방식으로 이끌어냈다는 것이다. 아름답고 나무와 같은 재료가 풍부한 핀란드의 자연환경은 자연스럽게 알바 알토에게 그러한 영감을 주었다고 전해진다. 사보이 레스토랑을 위해 디자인한 꽃병만 보더라도 그의 조국 핀란드의 자연을 얼마나 사랑했는지 짐작이 간다. 또 마지막으로 가구에서 도시환경까지 모든 건조환경에 관심을 가졌다는 점이다. 그런 예로 파이미오 요양원을 지을 때는 그 요양원을 위해 자작나무를 이용해 곡선의 모양을 가지는 의자를 만들기도 했다. 이 의자의 디자인에는 그의 부인 아이노의 도움이 컸다고 하며, 두 사람은 1928년 아르텍(Artek)이라는 가구회사를 설립하기도 했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핀란드의 숲과 호수의 연속적인 패턴과 복잡한 유기체로 근대공간을 변형시키고 고유한 자연환경과 토착재료를 사용해 나타나는 그의 작품에는 건축이 자연환경과 인간생활에 어떻게 조화되어져야 하는가에 대해 많은 지침을 남기고 있다. 알바 알토는 20세기의 기능주의, 합리주의, 기계주의 들이 가지고 있는 형식적인 정확성에 크게 반발하고 온화함과 인간을 디자인의 중심에 둔 디자인으로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르 코르뷔지에 등과 함께 현대 건축의 거장으로 불리고 있다. 알바 알토의 디자인의 이론적인 체계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그가 말한 이 짧은 한마디 말에 다 함축되어 있는 듯하다. "나는 지을뿐입니다(I build)."

   

 


압력수조 방식

수조본관에서의 인입관에 의해 물을 일단 저수조에 저장하고, 급수펌프로 압력탱크로 물을 보내,  압력탱크 내의 공기를 압축․가입시켜 그 압력에 의해 물을 건물 내의 필요 개소로 급수하는 방식이다. 수도직결방식으로는 필요압력이 얻어지지 않고 고가탱크를 설치하기 어려운 경우에 사용되는 방식이다.

 


압축력

축방향으로 작용하여 물체를 압축시키는 힘.

 


양식지붕틀

양식지붕틀은 될 수 있는 대로 지상에서 완전히 조립하여 Gin pole?Chain block 등으로 달아 올려 깔도리 위에 걸고 처마도리․중도리․용마루대 또는 가새․대공밑잡이 등으로 연결하며 버팀대․당김줄 등을 사용하여 고정한다.

 


양판문

울거미 안에 널 또는 유리 등을 끼워 넣는 문

 


엔타블레이처

건축에서 고대 그리스․로마 건축물의 기둥의 바로 위에 위치하며 그 기둥에 의해 지지되는 수평의 쇠시리와 띠장식의 집합체. 비고전적인 건축물에서는 기둥과 비슷한 구조지지 부재 위에 위치한다. 엔타블레이처는 아키트레이브․프리즈․코니스의 3가지의 중요 부분으로 나뉜다. 가장  낮은 부분의 띠장식인 아키트레이브는 원래 지주와 지주 사이를 잇는 보의 형상을 지녔고, 중간 부분의 띠장식인 프리즈는 장식이 있거나 혹은 장식이 없는 소벽(小壁)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엔타블레이처의 맨위에 있는 띠장식인 코니스는 프리즈의 가장자리에서 돌출된 일련의 쇠시리로 만들어져 있다. 엔타블레이처의 초기 양식들은 도리스식․이오니아식․코린트식의  양식에 부합되고, 이 3가지의 주된 기둥양식 중 하나에 해당된다. 이러한 3가지 양식과 관련되지  않은 대부분의 엔타블레이처는 이러한 3가지 양식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다.

 


역압작용

기구 위의 수직관에서 많은 양의 물이 배수되면 이 물이 피스톤 작용을 일으켜 배관 내의 공기를 압축하므로 트랩의 봉수가 실내로 배출되는 현상이다.

 


연결보

마룻대 근처에 위치한 상대편 지붕서까래를 서로 연결하는 공정. 1, 2인치 두께의 부재. 연결보는 지붕구조에 강성을 부여한다.

 


연  성

재료가 파괴될 때까지 변형될 수 있는 소성변형량. 여러 재료를 비교하기 위해서는 변형 방법이나 시험편을 엄밀하게 정의할 필요가 있다. 인장․휨․비틀림 등 재료마다 각각 다른 시험법이 있다. 유리․목재․암석 등 경도가 큰 물질은 일반적으로 연성이 작지만, 금속은 가는 선으로 늘이기 쉽다.

 


연성시험

아스팔트를 일정 온도의 물 속에 일정 속도로 인장하여 절단할 때까지의 길이를 cm단위로   나타내어, 아스팔트의 연신에 대한 적성을 조사하는 시험.

 


연속기초

띠 모양으로 연속해 있는 기초로, 띠 기초( 基礎)라고도 한다.

 


연속보

2스팬(경간) 이상에 걸쳐 연결되어 있는 보. 받침의 상태에 따라 고차(高次)의 부정정으로 된다. 그림은 1차 부정정을 나타낸 것이다.

 


연  철

탄소 함유량이 0.45% 이하의 쇠를 반복 단련함으로써 대부분의 C, Si, Mn, P 등의 성분을 제거한 것. 철골 구조의 초기에 사용되었다.

 


열관류율

열관류는 열이 벽과 같은 고체를 통하여 공기층에서 공기층으로 열이 전하여 지는 것을 말하며,  단위시간에 1㎡의 단면적을 1℃의 온도차로 있을 때 흐르는 열량을 열관류율이라 합니다.

 


열반사유리

유리 표면에 반사막으로 태양에너지의 입사를 4050%로 감소시킨다.

 


열섬현상

인구와 건물이 밀집되어 있는 도심지는 일반적으로 다른 지역보다 온도가 높게 나타나는데,  이처럼 주변의 온도보다 높은 특별한 기온현상을 나타내는 지역을 열섬이라 한다.

건물이나 도로․콘크리트로 덮인 지표면은 수분을 포함한 흙보다 더 많은 태양열을 흡수․저장하고 태양에너지를 반사하는 반사체의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도시의 기온특색인 열대야도 대부분 열섬에서 나타난다. 도심부에는 고층건물이 많고 요철이 심해서 환기가 어렵다는 점 등이 열섬의 원인이 되고 있다.

콘크리트와 아스팔트가 많은 도시는 인접한 교외 지역에 비하여 평균기온이 높은데 이를 열섬현상이라 한다.  열섬현상은 고층건물의 냉난방시설에서 나오는 인공열,  자동차의 배기가스열이  주 원인이며, 낮에 콘크리트와 아스팔트 등이 태양으로부터 대량으로 열을 받아 밤에 내뿜게 되므로 열섬현상은 밤에 더 크게 나타나게 된다.

일반적으로 열섬 현상은 여름보다 겨울이 더 크고, 최고 기온보다는 최저 기온에서 더 크다.

 


열용량

물체의 온도를 단위온도만큼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 이 과정을 정압(定壓)하에서 하면 정압열용량(heat capacity at constant pressure)    , 라 하여 이 2가지를 구별한다. 단위질량에 대해서는 비열, 1mol당에 대해서는 몰열용량이라고 한다. 열용량 자체는 시량성(示量性)이지만 질량을 한정하면 시강성(示强性)의 양이 된다.  정적(定積)하에서 하면 정적열용량(heat capacity at constant volume)

 


열원설비

열원설비는 57℃의 냉수를 생산하는 냉동기, 온수 또는 증기를 생산하는 보일러, 증기로서 온수를 만드는 열교환기 등이 있으며, 만들어진 열배를 수송하는 각종 펌프와 이 열원기기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연결된 냉각탑, 보일러의 연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열의 단위

주울(joul : J) : 모든 형태의 에너지를 측정하는 단위로서, 주울은 에너지에 대한 표준 SI단위이다.

 


열의 법칙

열역학의 제1법칙은 에너지본존 법칙으로, 에너지는 창조될 수도, 소멸될 수도 없으며, 다만 형태 변화만 있다. 열과 일은 상호전환이 가능하며, 어떤 시스템에서도 축열의 요소가 없다면 출력에너지는 입력에너지와 같게 된다. 열역학의 제2법칙은 열(또는 에너지)은 한 방향으로만 전달된다는 것이다. 즉, 더운 물체에서 찬 물체로 달리 표현하여 높은 상태에서 낮은 상태로 이동한다.

 


열전도율

열전도란 물질내부의 두점사이의 열의 이동을 열전도라합니다. 이는 열역학 제2법칙에 의한것이고 즉 열은 높은곳에서 낮은곳으로 흐른다. 열전도는 1kcal의 열이 1시간동안 1m를 이동하는것을 말한다. 공학기호로는 λ(람다)로 표시하고 단위는 λ= kcal/m h ℃ 로 나타낸다. 열전도는  열저항의 반대개념으로 열전도율이 높으면 그만큼 열의 이동이 빠르다. 열전도가 가장높은것은 아마도 백금(420) 동(320) 알류미늄(195) 철강(45)나무 0.075) 공기 0.02정도순입니다.

 


열처리유리

열처리유리에는 두 가지가 있는 강화유리와 강호유리문이 있다. 성질은 강도가 보통유리의 35배이며, 파괴 될 때도 안전한 성질은 가지고 있다.

 


열팽창계수

열 팽창이란 온도가 증가하면 물체를 구성하고 있는 원자와 분자들 간의 평균 간격이 변화하기 때문에 물체의 부피가 증가하는 것을 말한다.은 온도가 변하기 전 물체의 처음 길이, L은 온도가 변한 후의 물체의 길이라 하고, 온도의 변화 동안의 길이 변화은 물체의 처음 길이에 비례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열흡수유리

적외선을 잘 흡수하며, 가시광선의 투과율은 보통유리보다 1020%낮다.

 


오  수

가정 하수(수세 변소. 주방. 욕조 기타의 배수), 공장으로부터의 폐수, 가로 세척의 폐수 등 빗물  이외의 배수. 이것은 공설 하수도로 유도된다.

 


오수정화

오수정화시설은 오수․분뇨 및 축산폐수의 처리법률에서 규정하고 있는 특별 청소지역과 주택건설촉진법에 의하여 공동주택을 건설하는 지역에서 건축연면적 1,600㎡ 이상인 건물에 적용하고 있다.

 


오수처리설비

오수는 액체성 또는 고체성의 더러운 물질이 섞이어 그 상태로는 사람의 생활이나 사업활동에 사용 할 수 없는 물로서 사람의 일상생황과 관련하여 수세식화장실, 목욕탕, 주방 등에서 배출되는 것을 말한다.

오수정화시설은 하수종말처리장이 설치되지 아니한 지역의 일정규모 이상의 건축물, 시설물에 설치하도록 하는 소규모 가정하수 처리시설이다. 현행 ■■오수 .분뇨 및 축산폐수의처리에 관한벌 법률■■ 에는 일정크기 이상의 시설물에는 오수정화 시설의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다.

시설규모의 산정기준은 급식시설의 경우는 오수 발생량 15 /급식인원과 BOD(생화확적산소요구량 350mg/  , 주택시설은 오수 발생량 200 / 인과 BOD 200mg/ 이며, 숙박시설은 오수발생량 300mg/  인와 BOD는 200mg/  이며, 의료시설은 오수발생량 1000 / 병상과 BOD는 300mg/  이며, 학교시설은 오수발생량 30~40  /인와 BOD 100mg/  등이다.

 


오토 와그너

19세기적인 창작자세와 근대를 잇는 위치에 선 사람(제자로 호프만과 올브리히가 있다)으로, 그의 저작은 각국어로 번역되어 폭넓은 영향력을 끼쳤다. [1.목적의 파악, 2.재료의 선택, 3.단순하고 경제적인 구조, 4. 위와 같은 결과로 나타날 형태] 라는 명괘한 요약은 건축사의 문헌에 종종 인용된다. 마찬가지로 양식적 방법에서 출발하여 방향 전환한 빅토르 오르타, 루이스 설리반, 안토니오가우디와 비교하여도 훨씬 연장자였다. 최후까지 장식, 고전적인 3층 구성, 대칭성을 선호여 20세기 초에도 예스러움을 가졌다. 그러나 극히 보수적입면서 근대 양식을 확실히 선취한 면이 동시에 존재하였다. 작품은 그러한 독특하고 복잡한 성격에서 40대 중반부터 생애에 걸쳐 계속된 다음 2가지 특징으로 집약된다.

 


온난기후

지구온난화란 대기 중 이산화탄소, 메탄가스 등 온실가스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이른바 온실 효과가 발생하여 지구 표면의 온도가 점차 상승하는 현상이다. 온실가스는 대부분 화석연료의 연소에서 발생되거나, 프레온가스 같은 합성화확물질을 사용활 때 발생된다.

 


온도하중

열응력해석시 사용되며 온도변화하중과 온도구배하중 가 있으며 초기온도와 나중온도의 변화를 열변형율과 그에 따른 부재내력으로 치환하여 해석한다.

 


온수난방

보일러에서 끓인 물을 건물 안의 각 방열기로 보내어 실내를 덥게 하는 난방방식, 일반적으로는 40-80 의 온수를 사용하나, 지역난방과 같이 대규모인 경우에는 100~150 의 고압, 고온수를 사용한다. 강제순환식의 2관방식과 자기연순환식의 1관방식이 있는데, 한국에서는 2관방식이 일반적이다.

 


온수온돌바닥

온돌 밑으로 온수가 흐르는 관을 지나게 하여 난방하는 효과를 가지구 있음

 


온실 효과

행성 대기의 영향에 의하여 그 펴먄 부근의 온도가 상승하는 효과, 즉 대기는 태양 가시광선부의 단파 복사선을 통과시키는데, 이렇게 대기를 통과한 복사선은 지면에 흡수된다.이에 대하여 지표나 해면에서 방출되는 장파복사선(열선)의 일부는 대기에 흡수되고, 다시 대기가 장파를 방출하여 일부가 지표로 되돌아온다.

 


온통기초

같은 기초의 춤으로 한다면 인장을 받는 철근의 양이 4배(휨모멘트가 경간의 제곱으로 늘어남)가 되어야 하며, 철근양만 증가시켜 기초를 설계할 수 없으므로 기초의 춤을 증가시키는 것은 당연하다 하겠다.

 


와플슬래브

와플 모양을 가지고 있는 슬래브 구조

 


완자

건물의 내부와 바깥을 통하도록 설치된 창이나 문의 총칭, 창호는 쓰이는 재료에 따라 목재와 금속제로 나뉘고. 종류는 다양하다, 열고 닫는 데 따라 문에는 외여닫이문, 쌍여닫이문, 미닫이문, 미세기문, 자재문,회전문, 접문 등의 종류가 있고, 창에는 붙박이창, 외여닫이창. 쌍여닫이창. 미세기창. 오르내리창 .회전창. 미들장 등이 있다.

 


외장수

외장수는 침엽수와 활엽수로 나뉘는데 침엽수에는 적송,흑속,삼송,전나무,잣나무.낙엽송등 이 있고 활엽수에는 오동나무,밤나무,느티나무,단풍나무,박달나무,참나무 등이 있다

 


외적 평형

구조시스템과 외부 하중과의 평형

 


용접

서로 분리된 금속재료를 열,압력 또는 열과 압력을 동시에 가해서 접합하는 기술의 총칭.

 


우수

24절기의 하나, 빗물

 


우수 배수설비

건물 지붕이나 대지에 내린 빗물을 하수도나 하천에 방류하기 위한 설비

 


워커빌리티

즉, 채 궅어지지 않은 콘크리트의 중요한 성질로서 콘크리트를 혼합한 다음 운반해서 다져넣을 떄까지 시공성의 종고 나쁨을 나타내는 성질을 말한다, 시공성의 좋고 나쁨은 작업의 용이한 정도 및 재료의 분리에 저랑하는 정도로 나타난다.단 위수량 이 많은 부드러운 콘트리트를 사용하면 작업(예를 들면 거푸집을 구석이나 철근의 주위에 콘크리트를 충전하는 작업)은 쉽게 되나 분리가 두드러져서 균질한 콘크리트를 얻을 수가 없고 자국과 균열 밑 기타 결함이 생기게 된다.

 


원가

재료비, 노무비,경비로 구성되며, 이를 원가의 3요소라고 한다 그것은 다시 각 제품에 직접 부과할 수 있는 직접비와 여러 제품의 생산에 대하여 공통으로 쓰이는 간접비로 세분된다. 직접비에 제조에 소요된 간접비를 포함한 것을 제조원가라하고, 일반적인 상품은 여기에 관리비용과 판매비용을 더하여 총원가라고 한다. 원가의 측정 기분과 내용은 산출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로 나누어지는데, 공통되는 것은 급부단위마다 각 가치희생을 집약하여 인신하다는 점이다.

 


원가관리

계약에 근거하는 입금조건과 지출에 관계하는 엄정함과 동시에 적절한 실행예산서를 작성하고 공사중 항상 공사원가 산출서와 비교 검사하고 효율적인 시공에 따른 적정한 이익을 만들어 내도록 노력하는 것

 


원심적 접근

내부에서 외부로 전개시키면서 구성시키는 방법

 


원추형 공간

원추모양을 하고 있는 공간 구성을 의미한다

 


웨브

면적을 적게 배분시킨 경우

 


위계

대부분의 건축구성에서 형대와 공간 사이의 차이

 


위생기구

건물에서 급수,급탕 및 배수에 필요한 기구

 


위생설비

위생기구 및 물이 필요한 장소에 물을 공급하도록 하는 설비

 


워플 슬래브

철근콘크리트구조에서는 기초의 부동침하를 막기 위한 것과 기둥 밑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땅 속에 기둥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기초보(지중보)가 있다. 또 기둥간격이 큰 구조물에는 기둥과 기둥은 큰 보로 연결되고 각각의 큰보의 중간에 단면이 작은 보를 십자로 건너질러서 상부 바닥인 슬래브를 형성한다 또한 작은 보의 수를 증가시켜서 형성한 리브드 슬래브, 작은 보를 격자형으로 형성한 워플슬래브 등이 있다.

 


유기재료

천연재료와 합성수지로 그 양이 한정되어 있는 것

 


유리

산스크리트 바이두릉냐를 음여한 비루리 베이루리의 약어이다 청석 보석 이라고 하지만 여러 가지 빛깔이 있는 것으로 보아 묘안석의 일종으로 생각된다.광물학적으로는 녹주석이라고 한다

 


유리벽돌

유리별록보다 성능이 떨어지는 유리가공품

 


유리블록

단련,차음 효과가 크다, 중공 블록의 한 종류

 


유리섬유

단열, 흡음성이 좋다, 용융한 유리를 섬유 모양으로 한 광물섬유

 


응력

물체에 외력이 작용하엿을 때, 그 외력에 저랑하여 물체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려고 물체내에 생기는 내력

 


응력도

어떤봉에 힘을 가했을 때 이힘을 단면적으로 나눈값

 


응력도-변형도 곡선

응력도와 변형도의관계를 그래프로 그린 것

 


이동지점(롤러지점)

수평이동과 회전(모멘트)이 가능하고 수직이동이 구속된 시점

 


이오니아식

오더의 한 양식으로서 우아함이 있다

 


이음

2개의 재를 1개의 부재로 사용하는 것을 이음이라고 하며, 목조건축에서는 기둥이나 보 등에 여러 가지 이음법을 사용한다 직각 또는 각도를 주어 접합시키는 것을 이음매하고 하며 이음매에는 못이나 볼트, 꺽쇠 등의 칠물을 사용하여 고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금속을 사용하지 않는 이음 방법도 많이 사용한다

 


이중 덕트 방식

냉풍 온풍의 두 개에 공급덕트와 한 개의 환기덕트로 구성

 


이형벽돌

특별한 모양으로 제작된 벽돌

 


이형유리

특별한 모양으로 제작된 유리

 


인공재료

금속재료,요업재료, 석유제품등

 


인방

기둥과 기둥 사이에 가로대어 창문틀의 상하벽을 받고, 하중을 기둥에 전달하며 창문틀을 끼워 대는 뼈대가 되는 것으로 상인방, 중인방(중방), 하인방(지방), 창대, 문지방 등이 속한다.

 


인방보

건물의 출입구나 창문 위를 가로질러 상부에서 오는 하중을 좌우의 벽으로 분산시키기 위해 대는 보. 인방보는 여러 재료로 만들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철제인방보․철근콘크리트제인방보․석제인방보․보강벽돌인방보 등이 있다. 철제로는 구부림쇠인방보․앵글인방보․아이빔(I-beam)인방보 등이 있다. 구조상으로는 통인방보․2중인방보․ 복철근인방보․유(U)블록인방보․앵글인방보 등이 있다.

 


인성

재료가 외력을 받아 변형을 나타내면서도 파괴되지 않고 견딜 수 있는 성질을 인성이라 한다. 극한 강도와 연신성이 큰 재료일수록 인성이 크다.

 


인식적 공간

물리적 세계에 대한 공간이다. 인간이 공간에 관하여 사고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인장력

부재를 잡아 늘리는 힘이 인장력이다.

 


인장접합

 


일반판유리

가시광선의 투과율이 크고 자외선 영역을 강하게 흡수하는 유리로써 보통판유리, 무늬유리, 플로트유리, 연마판유리, 망입판유리 등이 있으며 채광투시용의 창, 문짝용 등에 쓰인다.

 


일사

태양 방사선이 건물 또는 실내환경에 미치는 열적 효과이다.

 


일조

볕이 쬐는 것으로, 일조시간에 의해 평가되며, 주거환경의 평가지표가 된다.

 


일조환경

 


일체식 구조

구조체의 주형을 만들고 형틀에 타설하여 만드는 것으로, 철근콘크리트조는 보, 기둥, 바가, 벽식 방법에 연속성을 가지는 구조체이다.

또한 쉘을 사용한 얇은 지붕의 장스팬구조와 같은 일체식이 있다. 철골구조에서도 전체를 용접으로 강접합을 한 것은 일체식으로 생각할 수 있다. 요구되는 각부가 연속성을 지닌 일체화가 되는 것이 구조의 특징이다.

 


입면도

건물을 무한원거리에서 본 외관도로 일반적으로 동, 서, 남, 북 4면을 포함한다. 입면도에는 외벽의 마감재와 창, 출입구, 처마, 발코니, 지붕, 옥탑층 등을 기입한다. 건물의 외관디자인상, 매우 중요한 도면이다.

 


입체트러스

거의 동일한 소단위 부재를 조립하여 구성함으로써, 대 스팬이 가능한 골조로 부재를 3차원에 구성하는 트러스이다.

 


ㅈ허귤

 


자기사이폰 작용

트랩의 봉수가 파괴되는 원인중 하나이다. 만수된 물이 일시에 흐르게 될 때에 트랩내의 물이 자기사이폰 작용에 의해 모두 배출되는 일이 자주 일어난다. 이 현상은 S트랩의 경우에 특히 심하다.

 


자연형 조절 방법

기계를 사용하지 않는 건축적 수법

 


자재문

자유경첩을 달아 안팎 자유로 열리게 만든 것이다.

 


잡배수

세면기, 욕조, 싱크, 주방기구 등에서의 배수

 


장 피아제

장 피아제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아동 심리학자이자 저술가이다. 유아기부터 사춘기까지 인간의 사고가 어떻게 발달해 가는지 상세하게 연구한 그는, 내면화된 행동으로서의 지능 이론을 내세우면서, 인간의 마음이 환경에 의한 상호작용에 반응하는 자기조절 구조체계로 이루어져 있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그의 연구는 당시 인습에 젖어 있던 심리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끼쳤을 뿐만 아니라, 학교 교과과정과 교실 운영에 급진적인 변화를 가져오게 했다. 오늘날까지도 그의 연구 기록은 교육학 분야에서 필독서가 되고 있다.

 


장선바닥판구조

 


장식용유리

장식할 때 쓰이는 유리. 스테인드글라스(Stained Glass) 같은 장식용 유리

 


장식용재

장식할 때 쓰이는 재료

 


재래식(절충식)지붕틀

지붕보와 처마도리를 걸고, 그 위에 동자기둥, 대공을 세우며 중도리, 용마대루를 걸어 고정하고 서까래를 중도리 위에서 빗이음 또는 맞댄이음으로 하고 못을 박아 고정한다.

 


재료시험

재료 시험의 목적은 그 재료가 사용목적 및 사용조건에 적당한가를 시험하고, 또한 안전한 하중의 한계와 재료의 변형능력을 검토하는 데 있다. 보통 재료시험이란 넓은 의미에서 생각할 때 기계적,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시험하는 것이다. 그러나 좁은의미에서의 재료시험이란 공학적 재료시험을 말한다. 이것은 재료의 기계적 성질들을 시험하는 것을 의미한다.

 


재료역학

기계․건축물 등의 구조물을 이루는 재료를 연구대상으로 하는 공학의 기초분야의 하나. 넓은 뜻에서 열역학․유체역학․진동학 등과 함께 응용역학의 한 분야이다. 여러 가지 공업재료로 만들어진 기계나 구조물 및 그 구성 부재(部材)가 여러 가지 외력을 받을 때의 역학적 작용, 즉 변응력․변형․강도 등을 탄성학․소성학(塑性學)․재료강도학 등을 기초로 하여 이론과실제의 2가지 면에서 연구하고 실제 설계에 활용할 수 있도록 공학적 근사(近似) 및 간소화한 것이다. 공업재료를 그 특성에 따라 목적에 맞게 적절히 사용하여, 기계나 구조물의 각 부분의 강도나 강성(剛性)을 합리적으로 조절하고 그 기능을 안정되게 완수하도록 하며, 경제적으로도 가장 유리하게 설계하는 것이 재료역학의 주된 목적이다.

 


저열포틀 랜트시멘트

낮은 수화열을 유지하고 균열, 건조수축이 적고 장기강도가 높은 시멘트이다. 대형 콘크리트 공사에 쓰인다.

 


저집기

배수 중의 여러 가지 유해물질이나 회수를 해야 하는 물질을 저집하는 장치로서 구조상 트랩형식이어서 트랩의 일종이라 생각하고 있으나 그 목적은 트랩과는 다르다.

 


저탕식 급탕

저탕식 급탕방식은 소규모의 중앙식 급탕방식으로서 필요개소에 배관을 설치하여 급탕을 한다. 고급주택, 대식당의 전용급탕, 중규모의 욕실급탕, 중규모 이상의 공장세면소 급탕 등, 단시간 내에 상당량의 탕을 소비하는 경우에  채용된다. 일반적으로 설비의 건설비는 순간식보다 높게 되고, 사용개시 전에 예열시간을 30분에서 1시간정도 취하도록 한다. 상시 가열하여 두는 것은 비경제적이다.

 


적산

적산이란 건설물을 생산하는데 소요되는 비용 즉, 공사비를 산출하는 공사원가계산 과정을  말하는 것으로서 공사설계도면과 시방서, 현장설명서 및 시공계획에 의거하여 시공하여야할 재료 및 품의 수량  즉, 공사량과 단위단가를 구하여 재료비, 노무비, 경비를 산출하고 여기에 일반관리비와 이윤 등 기타 소요되는 비용을 가산하여 총 공사비를 산출하는 과정을 말한다.

 


적재하중

구조체 내에 있는 사람이나 차량, 가구 등 이동할 수 있는 하중을 말한다. 고정하중은 정해진 것이어서 금방 계산이 되지만 적재하중은 상황에 따라 변한다.

 


전공기방식

전공기방식이란 지하실이나 옥상 등에 설치하는 중앙 공조기로 소정의 조정공기(냉풍 또는 온풍)을 만들고 덕트로 각 실에 공급해서 공조하는 방식으로, 실내에서 발생하는 부하는 모두 공기로 처리된다.

 


전단력

단면을 위아래로 끊으려는 힘을 전단력이라 한다.

 


전단벽

고층건물에서는 계단, 엘리베이터, 샤프트 등이 들어 있는 코어를 철근 콘크리트 벽으로 만드는 경우가 많은데 이 때 벽은 횡하중에 저항하는 부벽 역할을 하고 전단력을 받기 때문에 전단벽이라고 한다.

 


전단접합

기계적 접합에 속하며 리벳접합과 볼트접합으로 나뉜다.

- 리벳접합 ; 소음규제로 현재 사용 안함

- 볼트접합 ; 주요 구조부재 접합으로 부적합

(반복하중으로 인한 볼트 풀림)

 


전도

물체 내의 분자가 그 기분 위치를 바꾸지 않으면서 이루어지는 물체를 통한 열에너지의 전달을 말한다.

 


전성

압력이나 타격에 의해서 파괴됨이 없이 판상으로 되는 성질을 전성이라 한다. 금속재료의 일반적 성질로 금, 은, 알루미늄, 구리 등은 전성이 큰 대표적인 재료이다.

 


전수방식

팬코일 유닛(unit)이라는 냉온수 코일, 송풍기, 에어필터 등을 케이싱(casing)안에 넣은 소형 공조기를 각 실에 배치, 이 팬코일 유닛까지 난방시에는 온수를 냉방시에는 냉수를 중앙기계실로부터 직접 공급하여 실내공기를 강제순환 시키면서 냉방, 난방을 하는 방식이다.

 


전일사량

보통 일사량 -> = 직달일사 (26%) + 확산일사 (25%)

 


절곡구조

쉘구조의 절충안으로 많이 사용되는 구조로 원리는 한장의 종이를 그대로 들고 있으면 자기  무게도 주체하지 못해 고개를 숙이나, 반으로 접는 순간 오히려 상당히 강한 구조가 된다는 것이다. 콘크리트로 절곡형 지붕을 만들 경우 거푸집과 철근 배근에 들어가는 품도 절약할수 있으며  프리캐스트 패널로 조립을 하면 더욱 비용을 절감을 할수 있어 절약적이다.

 


절대적 프로포션

프로포션 (Proportion)은 비례. 인형이나 물체의 전체적인 비례를 표현할 때 쓰는 용어이다. 그러므로 절대적 프로포션이란  절대적인 비레, 물체의 절대적인 비례라 할수 있겠다

 


절수식

물을 아끼다는 형용사격의 말

 


절  점

부재와 부재가 만나는 점

- 활절점 : 회전이 자유로운 절점

- 강절점 : 각 부재가 서로 강하게 연결된 절점

 


절판구조

평판을 접어서 휜 형상의 절판으로 만든 형식으로 외력을 면내응력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대공각 구성이 가능한 구조형식이다.

 


점  성

유체의 움직임에 대한 저항. 액체뿐만 아니라 적지만 기체에도 있는데 이것은 유체 특유의 성질이다. 기체가 들어있는 두 부위를 약한 압축하면 변형하지만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원상태로 돌아오는  성질이 있다. 운동하는 액체나 기체 내부에 나타나는 마찰력이므로 내부마찰이라고도 한다. 이 마찰력은 유체 각 부분이 서로 다른 속도로 운동할 경우에 그 속도가 균일하게 되도록 작용하는 힘으로 나타난다. 예를 들면 물 분자가 상대적인 운동을 할 때 분자간 또는 물 분자와 고체경계면 사이에 마찰력을 유발시키는 물의 성질을 말하며, 이것은 물 분자 간의 응집력 및 물 분자와 다른 분자 간의 점착력 등 상호작용에 의하여 나타난다. 물 내부에 상대운동이 있으면 점성 때문에 경계면에서 운동에 저항하는 내부마찰이 작용하여 상대운동은 차차 감소한다. 이처럼 유체의 점성 때문에 나타나는 힘을 점성력이라 한다.

 


점  토

지름이 0.004mm 이하인 미세한 흙입자. 점토광물은 운모와 같은 구조를 가졌는데, 2층구조 또는 3층구조인 것도 있다. 전자는 카올린류, 후자는 몬모릴로나이트․일라이트 등이며, 층 사이에 물․칼륨․철․마그네슘 등이 들어가 여러 가지 점토광물을 이룬다. 석영 SiO2 이외의 조암광물은 모두 분해하여 점토광물이 된다. 점토는 모래나 실트에 비해서 단위무게당 표면적이 훨씬 넓으므로 토양 중에서는 부식(腐植)과 함께 가장 활동적인 부분이며 수분 및 양분의 보유력이 강하다. 점토 함량이 높은 토양을 식토(埴土)라 한다

 


점토소성

점토 소성제품은 점토를 주원료로 하여 소요의 용도에 맞는 형상 으로 물로 비벼 성형시킨 후 소성한 제품으로 벽돌, 기와, 타일, 토관, 도관, 테라코타 등이 대표적인 제품이다.

 


접  문

여러장의 문짝을 서로 경첩으로 연결하여 한 면으로 열어붙이게 된 것.

 


정산견적

건물의 기초, 버림 콘크리트, 여러가지 등등등.. 견적을 경제성을 생각해 견적을 뽑는것.

 


정적평형

구조체에 힘이 가해지면 각 부분은 변형이 되고 외부의 힘은 이 변형안에 같히면서 평형상태를 이룬다.

 


정적시험

정적하중을 가하여 시험하는 것으로 정하중시험 이라고도 한다. 정하중 시험을 이장, 압축, 전단, 굽힘 및 비틀림등의 강도시험을 총칭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같이 긴 시간이  필요한 정적시험도 있다

 

 

 

제1종환기

급기와 배기를 모두 팬에 의하여 환기하는것.(1종환기 : 강제급기, 강제배기)

제2종환기 : 급기에만 팬을 사용하고 배기는 자연 배기구에 의하여 환기하는것.(2종환기 : 강제급기, 자연배기)

제3종환기 : 배기에만 팬을 사용하고 급기는 자연급기구에 의하여 환기하는것(3종환기 : 자연급기, 강제배기입니다.)

- 환기 방식

(1) 자연환기 : 공기의 압력차 또는 온도차에 의한 자연력을 이용한 환기방식

(2) 기계환기 : 강제로 기계의 힘에 의하여 환기를 하는 방식

   ① 제 1종 기계환기법 : 급기→송풍기, 배기→송풍기

   ② 제 2종 기계환기법 : 급기→송풍기, 배기→자연

   ③ 제 3종 기계환기법 : 급기→자연, 배기→송풍기

 


제물반자

바닥판 밑을 직접 바르는 방식으로 철근콘크리트 건축의 반자와 한식의 고미반자가 속함 (천장의 마감부분의 재료와 건물의 구조 재료가 서로 틀린데 이를 상호 연결해 주는 구조가 필요하다 하겠다. 이를 반자라 하는데.. 제물반자는 반자의 영역에 속한다.)

 


젬  퍼

독일의 건축가.

- 국적 : 독일

- 활동분야 : 건축

- 출생지 : 독일 함부르크

- 주요저서 : 《공학 및 공학기술적 예술에 있어서의 양식》(18601863)

- 함부르크 출생. 처음에 괴팅겐대학교에서 법률을 공부하였으나, 후에 고고학과 건축학으로 바꾸었다. 이탈리아․      시칠리아․그리스 등지를 여행하고 나서, 베를린에서 K.F.싱켈에게 사사하여 그에게 인정을 받고, 1834년 이후     로는 드레스덴 아카데미의 건축학 교수가 되었다. 작풍은 르네상스 양식을 기저로 한 절충주의로서, 드레스덴가     극장을 비롯하여 런던과 빈에서도 박물관과 극장 설계를 맡았으며, 로마에서 죽었다.

   변화가 많은 일생을 보냈기 때문에 설계작품은 많이 남아 있지 않으나 《공학 및 공학기술적 예술에 있어서의     양식 Der Stil in den technischen und tektonischen Kunstner》(18601863) 같은 저서에서 시대를 앞질러가는      이론을 해명하였다. 과거의 건축에서 기둥의 의장․장식 같은 모든 것을 건축구조와 기술의 심벌로 간주하였으며,     그 점에서 당시의 미술사 연구에 큰 영향을 끼쳤다

 

 


조강 포틀랜트 시멘트

종류로 써는 포틀랜드 시멘트(3종)에 속하고 저온에 사용하고 단기에 높은 강도를 발현할 수 있다. 쓰이는 곳은 긴급공사 등에 쓰인다.

 


조  도

일정한 면(面)이 일정한 시간에 받는 빛의 양. 비침도. 조명도(照明度).

 


조르겐 조딕

‘건물은 공간으로 이루어지며 따라서 건축공간은 존재한다’ 라고 말했다.

 


조립식패널구조

벽식 철근콘크리트 구조와 같이 생각할 수 있는 것으로, 구조각부를 현장 타설하던 것에서 공장제작(프리패브)하여 현장반입을 통해 직접 조립하는 공법이다.

 


조적구조

돌, 벽돌, 콘크리트 블록 등을 쌓아서 만든 건축구조. 철근으로 보강된 보강 콘크리트블록 구조 등의 보강조적구조에 대하여, 보강재를 사용하지 않은 벽돌구조․석조(石造)․콘크리트블록   구조를 순조적구조(純組積構造)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내구성(耐久性)이 우수하고, 특히 석조는  오래 전부터 사용되었던 구조이다.

구조적으로도 지진이 적은 서유럽 등에서는 각종 구조법이 사용되고 의장적(意匠的)으로도 뛰어난 아치나 돔 등이 오래 전부터 완성되어, 현재도 벽돌구조 등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지진 등에 의한 수평방향의 외력(外力)에 대하여 약점을 지닌 이들 조적구조는 지진이 빈번한 지역에서는 서유럽의 양식 그대로는 적합하지 않다. 오늘날 내진성능(耐震性能)을 요구하는 건물의 구조부에는 별로 사용하지 않는다.

 


조  화

자연의 생화(生花)를 모방해서 만든 꽃. 조화는 실내장식․제식용(祭飾用)․복식용(服飾用)으로서 고대부터 세계 각국에서 만들어다가장 오래된 것은 BC 3500년경 지중해 동부의 크레타섬 및 기타 지방에서 번영한 문화의 유품 중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보다 후대인 BC 1700년경의 고대 이집트 중왕국시에는 장신구로 쓰였던 것 같으며, 가장 우수한 유품은 아메넴헤트(Amenemhet) 2세의 딸 크누메트가 관(冠)에 장식하기 위하여 썼다는 다섯 잎으로 된 금제소화(金製小花)로서 매우 화려하였다. 브라질이나 동남아시아 여러 나라의 미개민족도 오래 전부터  조화를 사용하였고, 고대 그리스나 고대 로마에서 한층 성행하여 훌륭한 것이 많이 만들어졌다. 고대 로마에서는 전공을 세운 용사에게는 화관(花冠) 코로나를 머리에 씌워 축복하였으며, 이것에서 연유하여 연회석에서는 끈으로 꽃 모양을 만들거나 화환을 만들어 머리에 얹는 풍습이 생겼고, 이것을 연락(宴樂)의 코로나라 불렀다.

르네상스 시대에 와서는 그 제작기술이 진보하여 생화로 잘못 볼 만큼 섬세하고 사실적이며 또한 색조가 풍부하고 아름다운 것이 만들어졌다. 귀족의 사교계에서는 그 아름다움을 서로 다투었고 민간인 사이에서도 널리 사용되었다. 근세에 와서는 신부의상에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적인 장식품이 되었으며, 부인이나 여아(女兒)의 모자에도 달고, 또 야회복에는 반드시 조화를 가슴에 달아야 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조화는 처음에 종이․헝겊․실․금속 등으로 만들었으나, 각종 공예기술의 진보와 더불어 뿔․대모갑(玳瑁甲)․도기(陶器)․유리․피혁․목재 등을 사용하고, 또 자연의 과실․종자․수피류(樹皮類)도 사용하였으며, 현대는 플라스틱으로 만든다.

조화는 현실에 입각한 사생조화(寫生造花)와 실재화(實在花)에 구애받지 않고 작자가 의도하는 대로 만드는 창작조화, 자연에 입각한 것 같으면서도 반드시 그렇지는 않은, 작자의 창의를 가미한 중생조화(中生造花)의 세 종류로 대별된다. 이들 조화는 머리장식․가슴장식․모자장식․쇼윈도 장식, 일반가정의 실내장식, 향연(饗宴)의 식탁장식, 무도회나 음악회의 무대장식 등에 사용된다.

 


종교건축

교회, 성당 같은 종교적인 건축물을 만드는 건축

 

 


좌우대칭

평면․선․면 등에 의하여 같은 부분으로 나누어지는 대칭 중 한 평면에 의하여 몸이 좌우로 똑같이 나누어지는 경우를 말한다. 이때 몸을 통과하는 축을 몇 가지 생각할 수 있는데, 정중면(正中面)을 지나 몸의 전단에서 후단에 이르는 축을 두미축(頭尾軸) 또는 전후축(前後軸), 두미축에 직각이고 정중면 안에 있는 축은 몸의 등배를 연결하므로 배복축(背腹軸)이라고 한다. 좌우대칭의 대칭면은 하나이다.

 


주각부

건축에서 주체적부제의 각 부분을 일컷는 통칭인것 같다.

 


주  철

1.7% 이상의 탄소를 함유하는 철은 약 1,150℃에서 녹으므로 주물을 만드는 데 사용할 수 있으나, 이 중에서 3.03.6%의 탄소량에 해당하는 것을 일반적으로 주철이라고 한다

 


중도리

천장(지붕)을 구성하는 부재

 


중앙식 급탕방식

보일러나 온풍로(溫風爐) 등으로 증기․온수 또는 더운 바람을 만들어, 이것을 배관이나 덕트(duct)를 통해 여러 방에 분배하는 난방 방식.

 


증용열 포틀랜드 시멘트

수화열(水和熱)이 낮고 수축량(收縮量)이 적으며, 내황산염성(耐黃酸鹽性)이 풍부한 포틀랜드시멘트.

 


증기난방

보내는 증기의 압력에 따라 증기난방을 구분하며, 고압식(24kg/cm2, 저압식(1.051.2kg/cm2)․진공식(1.02kg/cm2이하, 160mmHg의 범위로 변화시킨다)의 세 가지로 구분된다. 고압식은 방열기 온도가 높고, 쾌감도가 나쁘나, 공장 등의 난방에 사용된다. 진공식은 증기압력을 바꾸어 그 온도를 10487℃의 범위에서 조절함으로써 방열기의 방열량을 가감하고, 아울러 쾌감도의 향상을 꾀하는 방법이다. 배관방식으로는 방열기에 보내는 증기와 되돌아 나오는 드레인(drain)을 동일한 관으로써 처리하는 단관식(單管과 별개의 관으로써 처리하는 복관식(複管式)이 있다.

 


증  발

액체 또는 고체의 표면에서 물체가 기화(氣化)하는 현상. 고체가 증발하는 것은 승화(昇華)라고 하는 경우가 많으며, 또 액체의 기화가 내부에서 일어나는 경우를 비등이라고 하여 구별한다. 증발은 온도가 일정하면 포화증기압에 이를 때까지 계속 진행된다. 비등은 기체 상태의 전체압력이 포화증기압보다 낮거나 같을 때 일어나는 기화현상이다. 증발할 때 흡수되는 열은 기화열 또는 증발열이라 하며, 숨은열[潛熱]의 일종이다. 또 자연계에서는 바다․호수․강․토양․초지(草地)․논․산림 등 여러 장소에서 물의 증발이 이루어진다. 이 증발량을 정하는 일은 기상현상을  예측하거나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지각적공간

인간이 지각하는 공간

 


지구온난화현상

지구온난화를 일으키는 물질에는 이산화탄소 외에 메탄․아산화질소․염화불화탄소(프레온)․수증기 등이 있다. 이중 이산화탄소에 의한 영향이 55%이며, 염화불화탄소 24%, 메탄 15%, 아산화질소가 6%의 영향을 미친다.이중 메탄과 아산화질소는 많은 양이 자연계에서 방출되기 때문에 배출을 억제하기가 어려우나 이산화탄소․염화불화탄소 등은 산업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특히 염화불화탄소는 오존층을 파괴하는 물질로 잘 알려져 있다.

지구의 기온이 상승하면 바닷물이 따뜻해져 팽창하고 남극 및 북극의 빙하와 고산지대의 만년설이 녹아 해수면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육상 및 해양 생태계가 파괴되고, 농작물의 수확량이 감소하는 등 지구 전역에 광범위한 피해가 예상된다. 얼음이 녹을수록 지구 표면이 태양 에너지를 많이 흡수하여 지구온난화가 촉진되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

지구의 온난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대체 에너지 개발과 이산화탄소 고정화기술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무엇보다 개개인의 에너지 절약을 위한 노력과 국제간의 협력이 중요하다.

 


지구풍압대

지표면이 받는 일사량의 변화에 의한 기압변화와 더운 공기의 상승작용으로 인한 풍압대의 형성으로 바람이 부는 대규모 기후를 말한다.

 


지내력

땅이 견디는힘을 지내력이라 한다. 단위는 1m2 당 톤 입니다.(t/m2) 지반의 종류에 따라서 지내력 순서는 암반 ㅡ>자갈층 ㅡ>모래층 ㅡ>점토층 ㅡ>진흙층

 


지  붕

건축물의 제일 위 상부, 건축물을 사람으로 친다면 머리라 할 수 있다

 


지붕면

지붕의 면. 나무 그늘이 우산과 같은 구조로 공간을 감싸는 것처럼 지붕면 또한 자신과 지평면 사이의 공간을  규정한다 천장면의 가장자리는 이영역의 경계를 설정하므로 그것의 모양. 크기. 기준면에서의 높이는 그 공간의 질을 결정한다고 볼 수 있다.

 


지붕물매

지붕틀의 물매는 강우량의 다소 및 지붕재료의 성질이나 잇는 방식에 따라 결정하며 ,수평거리 10cm에 대한 직각 3각형의 수직높이로 나타낸다. 여기서 10cm물매, 즉 45도경사를 되물매라 하며, 그 이상을 된물래라 한다.

 


지점

독립된 영업소라는 점에서 매점이나 출장소와는 다르다. 지점은 법률상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① 지점만을 독립적으로 영업양도의 대상으로 할 수 있다. ② 지점영업에 관해서만 지배인을 선임․등기할 수 있다(상법 10?13조). ③ 상업등기의 효력을 결정하기 위한 독립적 단위가 되고, 지점의 등기가 없는 이상 본점의 등기를 지점거래에 채용할 수 없다(34?38조). 또한 독립한 법인격(法人格)을 전제로 하는 능력, 예를 들면 소송능력 같은 것은 없다.

④ 지점의 거래로 인한 채무의 이행 장소가 그 행위의 성질 또는 당사자의 의사표시에 의하여 특정되지 아니한 경우, 특정물의 인도 이외의 채무이행은 그 지점을 이행장소로 본다(56조). 또 본점의 소재지에서 등기할 사항은 다른 규정이 없으면 지점 소재지에서도 등기하여야 한다(35조).

 


지정(地釘)

1) 말뚝지정의 간격- 말뚝 직경의 2.5배

  ① 나무말뚝 - 60cm 이상

  ② 기성 콘크리트 말뚝 - 75cm 이상

  ③ 제자리 콘크리트 말뚝 - 90cm이상

  ④ 철제 말뚝 - 90cm 이상

2) 나무 말뚝의 기초 끝과 말뚝과의 거리- 말뚝 직경의 1.25배

3) 말뚝에 대한 설명

  ① 말뚝지정의 종류: 나무말뚝, 콘크리트 말뚝, 철재 말뚝

  ② 말뚝은 성능에 따라 지지말뚝과 마찰 말뚝으로 나뉜다

  ③ 나무말뚝은 소나무, 낙엽송 등의 생나무를 껍질을 벗겨 사용한다.

  ④ 나무말뚝은 상수면 아래까지 박아야 썩지 않는다.

4) 지정의 종류

  ① 모래지정 ② 자갈지정 ③ 잡석 지정(콘크리트 지정은 존재하지 않는다)

 


지지말뚝

말뚝의 선단이 단단한 지반까지 도달하여 지지되는 것을

 


지진하중

① 내진설계를 하는 건축물은 지진하중에 의한 밑면 전단력, 층지진하중, 층전단력, 수평비틀림모멘트, 전도모멘트      등에 저항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야 하며, 기타 층간변위와 건물분리 등을 검토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해야한다.

② 제1항의 규정에 의한 밑면전단력은 다음의 산식에 의하여 산정합니다...

   여기서 V : 밑면전단력

A : 지역계수

B : 중요도계수

C : 동적계수

R : 반응수정계수

W : 건축물의 전중량

※ 동적계수는 다음의 산식에 의하여 산정하되, 1.75를 초과할 경우에는 1.75를 적용합니다...

여기서, T : 건축물의 기본진동주기 (초)

S : 지반계수

③ 중요도가 특 또는 1에 해당되는 구조물이 다음 중의 하나에 해당 되는 경우에는 동적해석법을 사용하

여야 합니다...

1. 높이 70미터이상 또는 21층이상의 건축물

2. 높이 20미터이상 또는 6층이상으로서 비정형 건축물

 


지질조사

자원의 개발, 국토의 합리적인 이용, 지질계통의 확립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목적이 있다. 야외조사와, 야외에서 채취한 시료에 대한 실험 등 두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야외조사에서는 지질도의 작성이 주업무가 되며, 여러 지질현상을 파악하게 된다. 지질도의 작성은 지형도상에 조사지점을 표시한 후, 그 지점에서의 암석 및 지층의 생성상태를 야외조사노트에 기록하고 시료를 채취한다. 그리고 노두(露頭)를 추적하여 지질경계를 긋는다. 지층의 생성상태에 의해 지질구조를 파악하고 지층의 주향(走向)과 경사 등을 도면에 기재하여 지질구조를 표시한다.때로는 시추(試錐)에 의해 지층의 두께, 암석의 변화와 지질구조 등을 조사한다. 또 유용광물(有用鑛物)이 집합되어 있는 광상(鑛床)의 징후 등을 조사하여 지하자원을 찾기도 한다. 최근에는 항공사진에 의한 조사와 물리탐사에 의한 조사가 병행되기도 한다. 야외에서 채취된 암석시료는 지질현상의 규명을 위해 실내에서 현미경관찰?화학분석?형광분석?X선분석 등에 의해 치밀하게 조사된다. 또 지층에 들어 있는 화석은 지층의 지질시대 규명과 퇴적환경을 밝히는 데 도움이 된다

 


지형기후

각 지역의 지형은 그 지역의 기후조건에 대응한 특색 있는 형태를 나타낸다. 빙식기후(氷蝕氣候) 지역에서의    카르․퇴석 등의 빙식지형, 주빙하기후 지역에서의 구조토(構造土) ?유토계단(流土階段), 건조기후 지역에서의 페디먼트․인제르베르크 등은 그 기후지역 이외에는 형성되지 않는 지형이다. 기후변화가 일어났을 경우에도, 이전의 기후의 영향을 받은 지역이 어느 기간 동안 유지되므로 과거 기후의 추정이 가능하다.

 


직달일사

직접태양으로부터 지구에 이른 방사 에너지.


쪽매

얇은 나무쪽을 모아서 여러 가지 모양으로 만든 물건. 목기 등을 꾸미는 데 씀. 

 


차단재료

서로 통하지 못하게 가로막거나 끊는재료

 


차양(遮陽)

- (볕을 가리거나 비를 막기 위하여) 처마 끝에 덧대는 조붓한 지붕.

- (학생모나 군모 따위에서) 모자의 앞에 대어 이마를 가리거나 손잡이 구실을 하는 조각. (준말)챙

 


차음

시끄러운 소리를 막음. 방음

 


척도

- 자로 재는 길이의 표준.

- 무엇을 평가하거나 판단할 때의 기준

 


천구

천문학에서, 지구상의 관측자를 중심으로 천공(天空)을 공 모양으로 여기고 이르는 말.

 


천장재

일반적으로 지붕 밑 또는 위층의 바닥 밑을 가린 부분을 말한다. 천장은 건물의 종류와 규모에 따라 그 구조를 달리하지만, 천장을 갖춘 건물에 있어서 그 부분에서 요구되는 방음?흡음 ?단열 ?질감 ?미관 등에 대한 여러 가지 성능이 요구되므로 재료의 범위가 다소 넓다고 볼 수 있다. 대부분 모르타르 위에 수성페인트를 칠하거나 모르타르 또는 합판 위에 도배지 바르기로 마감하는데, 이에 사용되는 도배지는 종이제품, 견직물이나 모직물을 이용한 포제품, 갈포제품, 비닐벽지류의 합성수지 제품, 특수가공 벽지 등 여러 종류가 있다.

또한 목재를 가공한 널천장, 준불연성․단열성 ?흡음 등의 성능이 좋은 석고플라스터와 공장생산품인 석고보드판․나무라이트․밤라이트천장판 등이 많이 사용되며, 펄라이트․버미큘라이트 등을 원료로 한 질석(蛭石)보드 등과 암면(岩綿)․석면을 이용한 판형재료와 철재․알루미늄재로 된 천장재료 등이 있다.

 


철골구조

H-beam등의 철골재로 기둥과 보 등을 구성하여 건물을 올리는방법. 특성-공기단축, 횡력(지진)에 강함

 


철골구조접합 방법

기계적 접합

1.전단접합

1) 리벳접합 ; 소음규제로 현재 사용 안함

2) 볼트접합 ; 주요 구조부재 접합으로 부적합

(반복하중으로 인한 볼트 풀림)

2.마찰접합

3) 고력볼트 ; 마찰면, 장력관리가 필요함

장력관리를 위한 TC,TS볼트

 


야금적 접합

4) 용접접합 ; 전기 아크 용접이 대표적임

 


철근콘크리트 구조

현대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구조로 철근과 일체로 결합하여 콘크리트는 주로 압축에 철근은 주로 인장력에 유효하게 작요시켜 양자의 장점을 발휘하는 이상적 구조체를 구성하는 일체식구조입니다.철근과 콘크리트의 결합은 콘크리트가 경화하여 그 내부에 넣은 철근과 견고히 부착되고 피복되어 철근의 내화력이 약한점, 녹슨는 점 등을 방지 합니다. 그리고 철근과 콘크리트는 열에 대한 팽창수축률이 거의 일치하므로 온도변화에 대해서 유리 합니다.

설계가 자유롭고, 사용재료에 따라 고강도, 내구성을 실현시킬 수 있습니다. 단점은 건물의 자중이 크고 철골에 비해 공사비가 비싸며 전문적인 재료 및 품질, 시공관리가 필요합니다.

 


초속경시멘트

시공 후 2~3시간이면 실용강도를 나타내므로 장기간에 걸쳐서도 안정된 강도발현이 지속되며 저온에서도 뛰어난 성능을 발휘하는 동절기용이 따로 있어요. 칼슘 알루미네이트계 광물을 다량으로 함유, 물과 반죽하면 '에트린자이트'라는 수화광물을 형성하여 급속한 강도 발현 및 수화열을 발생하기 때문에 저온에서도 안정된 강도 발현을 할뿐 아니라 포틀랜트 시멘트의 주광물인 '알라이트'의 반응으로 강도가 초조강으로 발현됩니다.

 


추력

프로펠러는 앞쪽에서 접근해 오는 기류를 뒤쪽으로 가속하고, 분류추진장치(噴流推進裝置:가스분사장치)는 연료의 연소로 생기는 고에너지의 가스를 노즐에서 분출?가속시키는데, 이때 생기는 반력(反力)

 


회전운동 또는 직선왕복운동에 의해 동력을 떨어져 있는 곳에 전하는 막대 모양의 기계부품이다. 보통 중실환축(中實丸軸)이 사용되며, 지름이 클 때나 가벼워야 할 때는 중공환축(中空丸軸)이 사용된다. 축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① 차축(axle) : 2개의 바퀴 사이에 사용되며 차체를 지탱하는 축이다. 철도의 객차에 사용되고 있는 것처럼 바퀴와      함께 회전하는 것과 자동차의 앞차축처럼 정지하고 있는 것이 있다.

② 전동축(傳動軸, transmission shaft) : 전동기나 원동기와 같은 동력원에서 작업부(作業部)에 동력을 전달하는      축이다. 이 축은 주로 비틀림 작용을 받는다.

③ 아버(arbor) : 공작기계의 작업축이며, 주로 밀링머신의 공구를 지탱하는 축이다. 선반의 심축(心軸) ?커터축을      말한다. 이 축의 정밀도가 공작물의 정밀도에 영향을 주므로 정밀도 ?내마모성(耐磨耗性) 등이 중요하다.

④ 크랭크축(crank shaft) : 내연기관 ?증기기관 등의 크랭크 부분에 사용되는 축이다.

⑤ 가요성축(flexible shaft) : 운동방향을 자유롭게 바꾸면서 회전할 수 있는 축이다. 가느다란 철사를 코일 모양으로      촘촘하게 감은 것이 사용된다.

⑥ 저널(journal) : 축은 베어링으로 지지되며, 지지되는 축부(軸部)를 저널이라고 한다. 하중이 축심(軸心)에 직각으로      작용하는 가로저널,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피벗(pivot)저널, 축의 방향을 자유로이 바꿀 수 있는 구면(球面)저널      등이 있다.

 

 

 

축조 구법

철골조의 축조 구법은 각종 형강등을 사용해서 기둥과 보에 의한 입체적인 격자상의 골조를 형성하는 구법

 


충격시험(衝擊試驗, Impact Test)

노츠재의 인성(靭性)을 판정하는 시험방법으로 노츠가 있는 시험편에 무거운 추의 낙하에 의한 충격휨을 가해서 부재가 파괴할 때 필요한 에너지 혹은 이 에너지를 노츠재의 단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노츠재의 인성을 표시한다. 시험방법에는 시험편의 지지형식에 따라 charpy식과 izod식이 있다.

 


취성(脆性, Fragility)

여리게 파괴되는 성질. 외력의 작용에 의해 파괴에 이르기까지의 변형 능력이 적은 재료의 성질.

 


취성 재료(脆性材料, Brittle Material)

주철, 유리 등과 같이 탄성 한도를 넘어서 심한 변형이 생기는 일 없이 파괴에 이르는 재료.

 


취성 파면(脆性破面, Brittle Fracture Surface)

금속이 취성 파괴를 일으켰을 때의 파면. 은백색의 결정상을 나타낸다.

 


취출식

작은 분출 구멍에서 강력한 물을 분출시켜 오물을 배수로로 취출시키는 방식

 


측면 채광

 


층높이(層高, Height of Story, Floor Height)

한층의 바닥면에서 바로 위층의 바닥면까지의 높이.

 


층도리(層桁, Girth)

철골 또는 목조건물의 2층 이상의 마루바닥 곁에 있어 기둥을 연결하는 가로재.

 


치수계획

일반적으로 구성재의 치수를 정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침엽수(針葉樹, Needle-Leaf Tree, Coniferous Tree)

잎이 바늘모양으로 가늘고 긴 종류의 나무. 일반적으로 상록교목이며 구과(毬科)를 맺는 나자식물중의 삼송류(杉松類)에 속하는 수목. 연재(軟材)이고 일반적으로 곧은 성질이 있으므로 대재를 얻을 수 있다.

 


침하하중

 


캐필탈

 


캔틸레버(Cantilever)

한 끝이 고정 지지되고, 다른 끝이 자유로운 보

 


커튼월(Curtain Wall)

- 적재하중이나 다른 부재의 구조적인 [하중]을 분담하지 않는 칸막이용 벽체. 

- PC강재를 접속하는 기구. 커플러식과 쐐기방식 등이 있다. 

 


케이블구조

케이블 지붕은 휨에 저항할 수 있는 기둥과 케이블로 구성되며 케이블은 보나 건물과 같은 구조 요소를 지지하기 위한 인장기둥이나 현수부재로 사용된다.

 


- 코린트식(CORINTHIAN ORDER) : BC 4세기에 들어서서 비로소 나타난 건축미술의 새로운 기법이다. 기둥머리[柱     頭]는 원뿔형을 가운데서 잘라 뒤집어놓은 모양이며, 그 표면에 아칸서스의 잎과 덩굴이 얽힌 모양을 조각했다.

그 이외의 부분의 구성은 이오니아식과 거의 같으며, 비교적 자유로운 변화가 보인다. 전체로서는 이오니아식에 비해 한층 더 우아하고 화려한 것이 그특징이다.

아테네의 아크로폴리스 가까이에 있는 올림피에이온은 가장 현저한 코린트식 신전으로, 전면 8주(柱), 측면 20주의 이중주주식(二重周柱式)이며, 약 17 m 높이의 열주가 l04개나 늘어선 최대의 신전이다.

아테네의 리시크라테스의 합창대 우승기념비도 순수한 이 양식의 유일한 작품으로서, 사각형의 높은 대좌(臺座) 위의 코린트식 기둥 사이에 원당(圓堂:torus)을 두고, 원뿔형 지붕의 정점에는 상품인 삼각배(三脚杯)를 장식한 소박하나 아름다운 건물이다.

이러한 호사스러운 신전 건축과는 반대로 아르카이크 시대에서 고전시대 전기(前期)에 걸쳐, 본토에서 우세했던 도리스식은 점차 그 모습이 사라져갔다.

신전에는 이런 직사각형의 모양 이외에 원당도 건축되었다. 헬레니즘 후기에는 이오니아식과 코린트식을 배합한 혼합식도 생겼다.그리스의 극장은 오르케스트라․ 테아트론․스케네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오르케스트라는 중앙이 원형 평면으로 된 무대이며, 테아트론은 관람석으로서 반원형인 언덕 사면에 있는 동심원(同心圓)의 돌계단에 마련되었고, 스케네는 테아트론 맞은편에 있는 준비실이나 분장실이며 그 뒤에 열주랑(列柱廊)이 부설되어 있다.

 


아테네의 아크로폴리스 남동쪽의 벼랑 밑에 펼쳐진 디오니소스극장은 현재 남아 있는 최고(最古)의 것으로, 관람객 수용 인원은 1만 4000명에 이른다.

에피다우로스의 극장은 가장 완전한 모습을 오늘날까지 보여준다. 스타디움은 긴 U자형 평면을 둘러싼 3방향에 관람석을 계단식으로 마련한 경기장(競技場)이다. 그 중 올림피아의 스타디움은 유명하지만 관람석이 흙으로 된 사면(斜面)뿐이며, 돌로 만든 관람석은 없었다. 아테네의 스타디움은 1896년에 재건되어, BC 4세기의 원형을 거의 그대로 전한다. 신전이나 극장 외에는 시(市)의 중심부인 공공광장(公共廣場)에 시민회장(市民會場)인 브레우테리온이나, 그 집행 기관의 건물인 프리타네이온, 시민의 휴식처인 동시에 물건을 사는 점포인 스토아 등의 공공건물이 죽 늘어서 있었다.

 


∘ 건축 실례

  - 바사에(BASSAE)신전(B.C 420)

  - 아테네의 라스크라테스(LYSICRATES)의 기념탑(B.C 335)

  - 아테네의 올림피에이온(OLYMPIEION)신전(B.C 174)

  - 아테네의 풍탑(B.C 100)

 


코린티안 식(Corinthian Order)

BC 4세기에 들어서서 비로소 나타난 건축미술의 새로운 기법이다. 기둥머리[柱頭]는 원뿔형을 가운데서 잘라 뒤집어놓은 모양이며, 그 표면에 아칸서스의 잎과 덩굴이 얽힌 모양을 조각했다. 그 이외의 부분의 구성은 이오니아식과 거의 같으며, 비교적 자유로운 변화가 보인다. 전체로서는 이오니아식에 비해 한층 더 우아하고 화려한 것이 그 특징이다.

주두에 아칸더스 (akanthus)나뭇잎을 화려하게 장식한 형식으로 주신의 길이는 밑퉁의 10~10 1/2배이다. 주초와 주신은 이오니아 식에 가까우며 최초로 바사에 신전에 사용되었으며 그후 그리스의 후기 모라시대에 주로 사용

 


∘ 건축 실례

  - 바사에 (Bassae)신전 [B.C 420]

  - 아테네의 라스크라테스 (Lysicrates)의 기념탑 [B.C 335]

  - 아테네의 올림피에이온 (Olympieion)신전 [B.C 174]

 


코오

 

 

 

콘크리트

시멘트가 물과 반응하여 굳어지는 수화반응(水和反應)을 이용하여 골재(骨材)를 시멘트풀(시멘트를 물로 개어 풀처럼 만든 것)로 둘러싸서 다진 것.

 


크기

크리프, 크리프 현상 (-現象), 크리프 파괴 (-破壞) creep (1) 일정한 크기의 지속 하중에 의해서 변형이 시간과 더불어 증대하는 현상. (2) 과대하지 않은 일정 하중 이상이 가해지면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변형이 증대하여 결국에는 파괴하는 현상.

 


크린룸바닥

 


크 비에(퀴 비에)

프랑스 생물학자.

비교해부학과 고생물학의 창시자이다. 슈투트가르트의 카롤리레(카를수루에)의 경제학부를 졸업한 후, 해산동물을 연구하여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파리 자연사박물관의 비교해부학 교수(1795), 콜레주 드 프랑스의 박물학 교수를 지냈다(1799). 나폴레옹의 신임을 얻어 장학관으로도 근무하였고, 제국대학 총장도 역임하였다. 그는 연체동물․어류․화석 포유류의 동물계 전반에 걸쳐 연구하였다. 주요저서인 《동물계》(1817)에서는 동물을 척추동물․연체동물․관절동물(關節動物)․방사동물(放射動物)의 넷으로 나누고, 동물계 전체를 한 형(型)으로 보는 E.G.생틸레르와 과학 아카데미에서 논쟁을 벌였다(1830). 그는 실증적 생물학의 확립자이며, 그 입장에서 진화론에 반대하여 라마르크설을 비판하고 천변지이설(天變地異說)을 주장하였다

 


클로아트로

열주 같은 것으로 둘러싸인 안뜰의 형태를 가리킬 뿐 만아니라, 이안에서 공동으로 사는 인간의 집합, 즉 공동체 그 차체를 의미

 


클로이스터(Cloister)

중세기 사원건축의 수도원 안뜰 둘레에 있는 화랑.

뉴매틱 콘크리트 타설기 (-打設機) pneumatic concrete placing 이동 대차 위에 콘크리트 펌프를 설치하여 공사의 콘크리트 라이닝을 하는 기계.

 


타피스트리

고도의 감각과 기술이 어우러진 섬유예술 기법의 한 장르로, 경사(Warp)가 위사(Weft)에 의해 감추어진 평직을 기본으로 한다.

이 기법은 수직의 대표적 기법으로서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는데 유럽 최초의 타피스트리인 곱틱 타피스트리 (기원전 5세기부터 6세기 말)는 이집트의 크리스찬들이 사용하였던 장식용으로서 성서의 내용이 담겨있고 종교적 성향이 매우 강하였고 또한 고블랭 타피스트리 (기원전 8세기부터 14세기)는 역사적 기록에 필요한 사실과 전설을 주제로 하였다.

과거의 타피스트리는 내구성이 강하여 외부와의 공기 차단에 유용한 기능과 장식성을 겸비한 주요 생활용품이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섬유공예품이 기법의 다양함과 새로운 소재사용에 의해 발달함에 따라 점차 생활용품으로서보다는 예술품으로서 그 존재가치가 바뀌게 되었다. 그래서 장식물로서가 아닌 순수 조형물로서의 회화적인 성향이 두드러진 작품이 많이 출현하기도 하였다.

타피스트리 작품들은 기존 회화에서 느낄 수 없는 독특한 질감을 갖고 있으며 따뜻하고 부드럽기 때문에 다른  장르보다 친밀하고 인테리어 감각을 반영해주는 영역으로 자리잡고 있다. 하지만 요즘은 타피스트리라는 장르가 널리 인식되어 건축가와 인테리어 전문가들에 의한 주문제작이 활성화됨에 따라 본래의 역할을 되찾고 있다.

 


탄성

외부 힘에 의하여 변형을 일으킨 물체가 힘이 제거되었을 때 원상태로 되돌아가려는 성질.

 


탄성계수

탄성체가 탄성한계 내에서 가지는 응력과 변형의 비.

탄성계수라고도 한다. 임의 재질의 탄성특성을 나타내는 척도로서 재질 내 임의의 공간위치와 시간에 대하여 응력과 변형률 사이의 비례계수이다. 비례한계 상태에서 물체에 가한 힘과 그것에 의한 변형량은 비례관계에 있는데, 어떤 종류의 변형에 대해서는 양쪽의 비가 물체의 모양이나 크기에 따르지 않는 물질 고유의 상수가 된다. 영률․체적탄성률․강성률 등이 그 예이며, 이들을 일반적으로 그 물질의 탄성률이라 한다.

 


탄성 한도(彈性限度), 탄성 한계(彈性限界)

물체가 탄성을 나타내는 것은 재질에 따라 다르나 어떤 응력도(應力度) 이하의 범위이다. 그 한도의 응력도 또는 응력 변형 곡선상사의 그 한계점을 말한다.

 


탄소강(炭素鋼, Carbon Steel)

탄소를 0.05~1.7% 범위로 포함하는 철과 탄소의 합금. Si 0~0.35%, Mn 0.2~0.8%, P 0.02~0.08%, S 0.02~0.08%, Cu 0~0.4% 정도를 포함한다. Si, Mn은 탈산제로서 제강할 때 첨가하고, 그 밖은 광석에 따라 오는 유해 원소이다.

 


탱크리스 부스터 방식

수도 본관에서의 인입관에 의해 물을 일단 저수 탱크에 저장하고,급수 펌프만으로 건물내의 필요개소에 급수하는 방식

 


테두리보(臥梁, Wall Girder)

- 조적조의 벽체 중간, 마루 바닥부분, 상부에 철근 콘크리트보를 일체식으로 연결되게 하는 보.

- 건축물이 지진력을 받으면 벽 위가 흔들려 벽이 갈라지게 된다. 벽 위를 일체적으로 연결시켜 갈라짐을 방지하고     수직 하중을 받도록 하기 위하여 벽체의 맨 위에 설치한 철근 콘크리트조의 보.

- 벽돌벽(조적조)의 맨 위에는 철근 콘크리트의 테두리보를 설치한다.

 


플레이트텍토닉스(Plate-Tectonics)

지구상의 표면이 플레이트라고 불리는 두께 70~100km의 일매암의 지각으로이루어져 있으며, 그것이 상대적으로  운동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학설. 지진의 발생이나 산맥. 해구의 성인을 설명하는 데 쓰인다.

 


텍톤(Tecton)

텍토닉의 어원. 직조나 결합을 의미하는 어원 ■■tecth-"에서 유래.

 


토대

기둥으로부터의 상부하중이 기초에 고르게 전해지도록 하기 위한 목적과, 기둥의 하단부(下端部)를 연결하여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구조물이다. 구조내력상(構造耐力上) 주요한 기둥에는 기초 위에 토대를 설치하여야 하며, 단층건물 등은 호박돌 기초 위에 토대를 짜맞추어 놓기도 한다. 기초 위에 고정설치하는 토대는 지진이나 바람 등의 수평외력에 견딜 수 있도록 앵커볼트를 약 2 m 간격으로 설치하여 기초와 고착시켜야 한다.

토대와 기둥의 고착에는 감잡이쇠 등으로 토대와 기둥을 고착시키는 방법과 기둥 밑을 짧은 장부맞춤으로 못을 치는 방법이 사용되는데, 토대의 모서리는 비틀어지지 않도록 귀잡이를 볼트나 꺾쇠로 토대에 고정시킨다. 토대는 지면에 가깝기 때문에 빗물에 의한 부식이나 곤충에 의한 해를 받기 쉬우므로, 재질은 내구성이 있는 경질의 재목이 좋으며 높이도 지면에서 20~50 cm 정도로 하는 것이 보통이다. 부식방지를 위하여 방수제 처리를 하는 수도 있다. 토대의 이음은 주먹장이음․제혀쪽매․반턱이음 등을 사용한다.

 


토속건축

아버지와 아들이 각각 살 두개의 주택으로서 1930년대에 설계된 빌라 사보이와는 조금 다른 개념으로 설계된 주택이다. 1930년대의 순수주의 흰색 페인트는 기후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었기 때문에 르꼬르뷔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매숑 자울에서 해결하고자 하였다. 순수주의자들은 프리미티비즘과 regionalism을 추구하였다. 프리미티비즘은 형태의 단순성과 자연과의 공존을 추구하는 사조이다. 또 지역주의는 그 지역의 기후를 고려하거나 그 지역에서 생산되는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건축을 만들 수 있다는 사조이다.프리미티비즘과 지역주의가 결합된 것이 토속건축이다. 매숑 자울은 이러한 토속 건축의 개념을 반영한 주택이다.

 


토스카나식

에트루리아건축에 유래한 것 : 토스카나식 주두

- 아치형식과 궁륭을 채용

- 교차 궁륭과 돔 채용

기념비적 건축 + 실용적 건축

로마의 건축은 국가 생활의 표현으로서 확고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로마는 정복자로서 그리스와 소아시아 지역으로부터 수많은 조각, 구조물, 대리석기둥 등을 약탈하여 그들의 호화스러운 맨션을 장식하였다. 원수정 초기 제국을 에워싸고 잇는 국가적 영광의 분위기로 인해 비약적인 성장과 라틴적인 특징을 발전시키게 되었다. 이리하여 로마의 권력과 영광을 기념하기위한 거대한 구조물들이 주를 이루었다. 또한 로마인들이 대규모의 토목 건축(예컨대 도로, 교량, 댐, 저수지, 항만, 상하수도 시설 등)을 영위하게 된 동기는 광범한 제국의 통치상의 필요라든가 하는 실제적 필요에 의해서이다. 건축 양식은 그리스, 에트루리아 혹은 메소포타미아 등의 양식들을 모방하였으나, 그 구조가 견고하며 착상의 규모가 크며 장식적인 특색이 았다. 로마인들은 에트루리아로부터 배운 원형 아아취를, 기둥에는 그리스의 세양식을 사용하고, 로마인 독자적인 것으로는 도옴, 특히 궁륭(穹?)을 독특한 교차형으로 발전시켰다. 건축의 주재료는 석재, 콘크리트, 벽돌, 대리석 등이었다. 로마인이 처음 시작한 콘크리트법(이탈리아 지질이 화산질 지형으로 주위에 흔한 화산재와 석회석을 혼합)은 건축물을 매우 견고하게 하는 공법이었으며, 근세에 부활되었다. 로마인이 만든 교량이나 도로는 전대의 어떠한 민족도 능가하는 것이었는데, 예를 들면 스페인의 세고비아의 水道라든지 로마의 아피우스路는 오늘날까지도 아직 사용되고 있다. 그외 신전, 포룸, 극장, 투기장, 경마장, 욕탕, 기념 건조물, 바실리카와 같은 대규모 공공 건물이 있다. 로마의 대표적인 신전은 돔 양식의 판테온 신전(아그리파 건축, 하드리아누스 개축)인데, 직경 43.2미터의 거대한 원형 신전으로 북쪽 입구 부분에 코린트 양식의 기둥을 붙박은 돌출부를 갖추었다. 내부는 천장에 있는 직경 9미터의 天窓에서 원형의 공간에 쏟아지는 빛이 대리석 바닥의 구석구석까지 비추고 있으며, 주위에는 일곱 개의 커다란 벽감(壁龕)이 있어, 마르스, 비너스 등의 신상이 세워져 있다

  

 


통기관

배수관내의 압력변화로 인해 트랩의 봉수가파괴 되지않도록 하며 배수의 흐름을 원활히 하고,배수관 내에 신선한 공기를 유입하여 관의 환기 및 청결을 유지하기 위하여 설치한다

 

통기설비

배수의 흐름을 원활하게하고 배수관 내를 jcdruf하게 하기 위한 시설을 통기설비라고 한다

 


통기수직관

통기의 수직관으로서 여러 곳의 배수 계통의 통기를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설치한다

 


투과율

투과계수라고도 한다. 빛인 경우 엄밀하게는 평면의 경계면에 수직으로 평행광선이 입사했을 때, 그 입사강도(에너지)를 l0, 경계면을 투과한 후의 강도를 lt로 하여 (lt/l0)×100을 투과율이라 한다.

 


투시도

투영도의 일종으로 중심투영도라고도 한다. 원근법은 이 투시도를 응용한 것으로 보통 눈은 제1사분면에, 대상은 제2사분면에 놓고 눈과 대상을 연결한 선분이 V평면과 만나는 점에 의해 그려진다. 제1사분면에 있는 눈을 S라 하고, 제2사분면 내의 점 A와 S를 연결할 때 선분 SA와 V평면과의 교점 A0이 점 A의 투시도이다. 이것을 투영도로부터 그리면 점 s-s'와 a-a'를 연결하는 직선 sa-s'a'와 V평면과의 교점, 즉 V평면상의 자취 A0을 구하는 작도가 된다. S, 즉 s-s'를 시점(視點)이라 하고 특히 s'를 시심(視心)이라 한다. 또 SA를 시선(視線)이라 하고 V평면을 투시면이라 한다. 모든 투시도는 이 1점의 투시도가 기초가 된다.【소실점과 전투시도】 선분 AB에 평행한 시선(S를 지나는 직선)이 투시면과 만나는 점 V를 AB의 소실점이라 하고, 이때 AB와 시선은 무한원점에서 교차되므로 V는 이 무한원점의 투시도라고 생각해도 좋다. 따라서, AB의 투시도 A0B0은 V를 통과한다. 또 AB와 평행한 직선은 모두 V가된다. AB와 SV는 평행하고 V가 AB의 소실점이며, AB의 투시도 A0B0이 V를 지나는 모양을 나타낸다. 여기서 sv//ab, s'v'//a'b'에서 v, 즉 V가 구해진다. AB의 자취를 C0이라 하면 물론 A0B0은 C0을 통과한다. 이때 C0V는 직선 AB의 투시면에서 무한원점까지의 투시도가 된다. 이를 전투시도(全透視圖)라 한다.

 


【소실선과 지평선】 하나의 직선에 소실점(消失點)이 있는 것과 같이 한 평면상의 소실선을 생각할 수 있다. 평면 P의 소실선은, 시점 S를 지나 P에 평행한 직선의 소실점의 자취로 되어 있다. H평면의 소실선은 S를 지나 H평면에 평행한 평면의 자취이므로 시심 s'를 지나 기선(基線) XY에 평행한 직선이 된다. 이 소실선을 S의 지평선이라 한다. H평면상에 있는 직육면체의 투시도에서는 H평면과 평행하고, 또한 서로 평행하게 되어 있는 2조의 변의 소실선은 함께 지평선 위에 나타난다.

 


  

 

 


툴르즈 로오트레끄

빛의 효과를 그림으로 잘 표현한 화가이다

 


트랩

뱃전사다리라고도 한다. 하역작업에 지장이 없는 위치의 선측 양현(兩舷) 또는 편현(片舷)에 설치하고, 갑판의 선측에 튀어나온 상부의 층계참에서 선측을 따라 밑으로 내려 맨 밑에 하부 층계참을 만들고, 사다리의 중간은 선외로 튀어나온 대빗으로 매단다. 사다리의 길이는 60°정도의 경사로, 최소항해흘수선 위 약 1m의 높이에 하부층계참이 위치하도록 결정한다

뱃전사다리에는 고정식․자재식(自在式)․자동수평계단식․회전식 등 여러 종류가 있다. 고정식은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것이고, 자재식․자동수평계단식은 경사가 달라져도 발판이 기울어지지 않게 되어 있으며, 회전식은 상부 발판 아래에 턴테이블장치를 달고 그 축을 중심으로 하여 사다리를 자유로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비행기 승강용 사다리도 트랩이라고 한 다

 

 


트러스

교량이나 지붕처럼 넓은 공간에 걸치는 구조물의 형식으로서는 돌의 특징을 살린 아치 형식, 강(鋼)의 높은 인장강도를 이용한 현수 형식 및 보 형식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보 형식에서는 하중이 걸리면 보의 윗부분은 서로 밀고 아랫부분은 서로 당겨서 보가 휜다. 이때 보를 구부리는 힘은 상하단이 가장 크고 중간은 작다. 즉, 보의 중간에는 아직 여력(餘力) 또는 낭비가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래서 이 낭비 부분을 빼는 것이 좋다. 또 보에 기둥을 세우고 선을 치서 보를 보강해서 커다란 지간(支間)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를 보강해서 낭비를 없애려는 것이 트러스의 시초이다.

곧은 막대를 조합해서 만든 삼각형은 안정된 형태이지만, 사각형은 변형하기 쉬우므로 보의 중간을 도려내어 생긴 형태인 삼각형이 좋다. 즉, 트러스란 곧은 강재(鋼材)나 목재(이것들을 部材라고 한다)를 삼각형을 기본으로 그물 모양으로 짜서 하중을 지탱하는 구조방법으로, 부재의 결합점[節點]은 사람의 관절처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고, 또 하중도 절점에 작용하도록 공작되어 있으므로 트러스의 부재는 인장력이 작용하는 것과 미는 힘이 작용하는 것뿐이며 휘는 경우는 없으므로 재료의 낭비가 적다. 또 짧은 막대를 조합해서 지간이 큰 공간을 걸치는 이점도 있다.

트러스를 용도별로 구분하면 교량트러스․지붕트러스․마루귀틀트러스․지주(支柱)트러스 등이 있다. 입체적으로 조립된 것과 평면적으로 조립된 것으로 구분되어 각기 입체트러스․평면트러스라 한다. 그러나 설계하기 편리하다는 면에서 입체트러스를 몇 개의 평면트러스로 나누어서 생각하는 경우도 많으며, 트러스교(橋)도 보통 이와 같이 생각해서 설계하고 있다. 평면트러스에는 그 부재를 조립하는 방법에 따라 킹포스트트러스․퀸포스트트러스․하우(howe)트러스․프랫(pratt:교차)트러스․워런(warren)트러스 등이 있다. 또 지간이 짧은 트러스교는 그 높이가 낮아도 되므로 위쪽이 개방된 교량이 된다.

  

 


트러스구조

단순보에 수직하중이 생기면 인장과 압축에 주응력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주응력선에 따라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각 부재가 인장력 및 압축력을 받을 수 있도록 제작하여 전체가 하나의 커다란 보 역할을 할수있게 한 구조체이다

  

 

 


트러스보

상현재 및 하현재에 휨모멘트가 작용하고 웨브재에 전단력이 작용한다.전단력이적거나 콘크리트로 피복할 때 주로 사용됨

 


특수건축구조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구조, 쉘구조, 절판구조, 입체트러스, 현수구조 등이있다

 

 


특수바닥

특수한 목적으로 시공되는 바닥으로, 하부층의 채광을 위한 유리블록바닥, 방음 및 보온성을 향상시킨 바닥, 내방사선 전도바닥, 내산바닥등이 있다 특히 업무의 전산화로 인하여 전선이나 파이프, 덕트등의 설비를 효율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프리 액세ㅡ 바닥은 인텔리전트 빌딩 등에 사용된다

 

 

 


특수시멘트

알루미나 시멘트, 팽창 시멘트, 초속경 시멘트, 메슨리 시멘트 등이있다

    

 


특수유리

특정한 목적을 위해 만든유리

  

  

 


특수천장

천장에서 방음, 방서, 방한, 보온 등의 특수 목적으로 코르크판, 연질섬유판 등을 사용하여 마감하거나 반자들 속에 톱밥이나 질석등을 깐다.

 


틸트업공법

수평으로 지상에서 제작한 큰 벽체나 뼈대를 수직으로 일으켜 세워서 건축하는 공법

 


파괴

건물이나 기물․조직 따위를 부수거나 무너뜨림

   

 


파괴점

파단점에서 강도점보다 저응력도를 나타낸다

 


파르테논신전

그리스에 온 관광객이 반드시 들르는 아크로폴리스 최대의 신전. 파르테논이란 '처녀의 집'이라는 뜻이라고 한다. 아테네 시의 수호신인 아테나를 모신 곳으로, 아크로폴리스에서 가장 높은 곳에 지어졌다. 이 신전은 두가지 목적으로 지어졌다고 한다. 하나는 페리클레스에 의해 아테네의 수호신 아테나를 모시기 위한 것이고, 또 하나는 델로스로부터 가져온 조공품들을 보관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한다.

이 신전은 페이디아스(Pheidias)의 감독하에 익티누스(Ictinus)와 칼리크라테스(Callicrates)에 의해 디자인되었다. BC447년에 건조되기 시작하여 BC438년에 완성되었다. 이 신전 역시 1687년 베네치아 침공 때 폭발되는 피해를 입었다. 그 잔해 중 가장 위대한 부분이 현재 대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파르테논신전의 천장은 파란색으로 칠해져 있었으며, 별모양의 금박장식이 되어 있었다고 한다. 이 신전이 지어질 당시 있었던 조각상이 있다. 즉 이 파르테논신전의 중앙에 있었던 아테나상(Athena of the City)으로, 페이디아스에 의해 디자인되었으며, BC432년에 완성되었다. BC426년에 이 조각상은 콘스탄틴노플로 옮겨졌으며, 여기에서 사라져버렸다고 한다. 이 상의 로만 카피(Roman Copy)가 현재 국립고고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파르테논 신전은 얼핏 보아 부자연스러운 느낌을 준다. 바닥 중앙이 약간 솟아 있고 기둥과 기둥 사이의 간격도 일정하지 않다.   그러나 이것은 당시의 기술자들이 사람 눈의 착시현상까지 계산하여 멀리서 바라보도록 설계, 축조한 것이라고 하니 놀라지 않을 수 없다.

1687년 베네치아 군의 포격으로 파괴된 것을 후에 부분적으로 복원하여 오늘날의 모습이 된 것이다. 도리스 양식 최고의 건물이라는 평을 받고 있다.

 

 


판구조

라멘구조가 기둥과 보라는 선 부재로 이루어진다면 판구조는 면부재로 이루어진다. 즉 2차원식 구조인 것이다. 슬래브는 보에 비해 힘을 두 방향으로 보낼 수 있어 훨씬 얇은 두께를 가진다. 그렇지만 2방향으로 힘을 보내기 때문에 2방향으로 철근을 배근한다.

 


판돌, 구들장

- 판돌 : 두께에 비하여 넓이가 큰 돌

- 구들장 : 방고래 위에 깔아 방바닥을 만드는 얇고 넓은 돌. 구들돌.

 

 


판반자

섬유질 보드류, 합판, 도장합판, 석고보드, 플라스틱보드, 석면슬레이트, 금속판 등을 붙인 것으로 음향효과를 내기 위해 잔구멍을 뚫는 것을 음향효과판이라 한다

 


판벽

널판재를 기둥과 셋기둥에 수평으로 못을 박아 고정한 것이다

 


판테온

원형 본당(本堂)의 안지름과 천장의 높이 43.2m, 벽의 두께 6.2m. 북측 입구에 코린트식 8주 전주식(前柱式)의 돌출랑(突出廊)이 있으며, 기둥 높이는 12.5m이다.

본당 내부에는 7개의 벽감(壁龕:神像을 안치한 작은 방)이 설치되어, 제우스․아폴론․아르테미스․헤르메스(메르쿠리우스) 등의 일곱 지상신을 모신 것으로 생각된다. 돔의 내측은 원개 천창(天窓) 부분을 제외하고는 28열의 방사상 격간(格間)으로 덮여 있고, 각각의 격간은 5단으로 되어 있다. 채광은 돔 정상에 설치된 지름 9m의 천창뿐이며, 벽면에는 창문이 없고, 거대한 본당의 외형에는 전혀 장식이 없다. 그 수적 비례의 미와 강대한 내부 공감의 창조라는 당시의 경이적인 토목기술로서 서양건축사상 불후의 명작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판테온은 7세기 초, 그 소유권이 교황에게로 넘어가 그리스도교 사원이 되었다. 라파엘로 등의 유명인 외에 근대 이탈리아 왕들이 매장된 국가적인 묘묘(墓廟)이다. 더욱이 판테온의 명칭은 오늘날 국가적 영예가 있는 자에게 바쳐지는 건물이라는 뜻으로 사용되며, 이런 종류의 예로 파리의 판테온이라고 할 수 있는 성마들렌성당이 있다.

   

 


팔라디오

비첸차 출생. 처음에는 석공․조각가로 활약하였으나 동향 시인 토리체노의 비호를 받아 로마로 유학하고, 고대 로마의 건축가 비트루비우스와 로마의 유적을 연구한 후, 고향에 돌아와 수많은 궁전과 저택을 설계하였다. 이 기간의 대표작으로 빌라 로톤다(15501553)가 있다. 1546년 이래 베네치아를 중심으로 활약하였고, 산 지오르지오 마조레(1566 착공:사후에 스카모치에 의해 완성)와 이루 레덴토레 등 그 도시의 뛰어난 건축물의 조영에 공헌하였다.

만년의 작품으로는 비첸차의 테아트로 올림피코(사후 스카모치에 의해 완성)가 중요 작품이다. 《로마의 유적 Antichita di Roma》(1554) 《건축 사서(四書) I Quattro Libri dell■■ Architettura》(1570) 등의 저서도 있으며, 18세기 영국의 신고전주의 건축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팜 하우스

일종의 유리온실

  

 


팽창시멘트

특수시멘트로서 주로 도로긴급 보수공사에 쓰임

 


페롤

텍토닉의 개념이 구체적으로 표현될수 있게 재료와 수학적 원리에 관계된개념을 말한 사람이다

 


평강

절단한 나비가 좁은 강판

 


평면계획

가족수․생활양식․대지․예산에 따라 주생활이 안전하고 쾌적하게 영위될 수 있도록 방의 배치나 방위등을 정하는 것

 


평면구성

평면에 점, 선, 면, 의 형태와 색채, 질감 등으로 답게 구성하는 것

 

 


평면도

각 실의 배치를 평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평보

보의 종류로서 평평하게 생긴 보

 


평형

원래는 천칭이나 대저울로 물체를 칭량(秤量)할 때, 무게가 같아서 대가 수평으로 되는 데서 생긴 말이다. 예를 들면 물체가 힘을 받고 있을 때 물체에 작용하는 힘의 합력(合力) 및 물체의 각 점에 관한 힘의 모멘트의 합이 모두 0이면 물체의 운동상태는 변하지 않는다.

 


포스트텐션구조

포스트텐션은 프리텐션과 원리는 같은데 구조체는 완성되엇으나 적재하중이 아직 걸지 않았을때 잡아당기는 방법이다. 이를 위해서는 보나 슬래브에 미리 인장 와이어를 위한 파이프를 심어놓아야 한다 콘크리트가 굳은 후 와이어를 집어놓고 양쪽에서 유압잭으로 당긴 후 끝을 원추형 접합구로 고정시킨다 그러면 보나 슬래브는 위로 약간 배가 부를 것이며 이는 추가 하중에 의해 가라앉아 평형을 이룰 것이다.

 


- 포스트텐션공법

포스트텐션(post-tension)공법이란 콘크리트 경화 후에 스트랜드(strand)에 인장력을 주고 그 강재를 콘크리트에 정착시켜서 프리스트레스를 부여하는 공법이다. 콘크리트에 포스트텐션을 가하여 효과적으로 내구성이 좋고 유효한 구조물을 만들 수 있다. 고장력강(高張力鋼)으로 만든 스트랜드로 부재를 압축시켜 포스트텐션을 가한다. 부재의 한쪽 끝에서 스트랜드를 긴장(緊張)하며, 긴장시 쉬스관과 그리스(grease)가 스트랜드를 잡아당겨 콘크리트를 압축시킴으로써 장래에 사용하중에 의한 인장응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하고, 콘크리트내에 발생하는 인장응력을 감소시켜 인장균열이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줄인다.

포스트텐션공법 관련 특허의 세부기술분야별 출원동향을 살펴보면 장치 및 방법에 관련된 특허가 63.9%, 재료에 관련된 특허가 36.1%로 장치 및 방법에 관련된 기술이 많이 출원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3.1-7-5] 포스트텐션공법의 기술분야별 특허출원 동향

 


포스트텐션공법은 PS강재를 인장항 때 PS강재와 콘크리트가 부착해 있으면 안되므로 콘크리트 부재 속에 긴장재를 배치할 구멍을 미리 뚫어 놓아야 한다. 이 구멍을 덕트(duct)라고 한다. 포스스텐션공법은 새로운 공법이 아닌 기존의 프리스트레스공법의 한 분야로서 지금껏 내부텐던(internal tendon) 방식을 주로 사용해 왔기 때문에 국내에 잘 알려져 있지 않을 뿐이다. 따라서 포스트텐션 보강방법의 역사적 배경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193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외부텐던을 이용하여 보강의 개념을 갖는 최초의 포스트텐션 특허는 1934년 독일의 디슁거가 독일 특허를 획득하면서 처음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최초의 기존 구조물에 대한 보강 차원의 포스트 텐셔닝 공법 적용사례는 스위스의 아방겐에 있는 Aare 강을 건너는 2경간 트러스교로서 1889년에 시공된 교량이 근래의 중형화된 교통하중을 지지할 수 없어 1976년 극한강도 13.7t/cm, ø63의 2연선 2가닥에 의하여 보강되어진 것이다.

 


외부텐던방법은 휨 내하력의 증진이나 손상된 프리스트레스 스트랜드를 대체할 수 있는 공법이다. 다양한 형태로 하중을 가할 수 있으며, 부식보호를 위해 여러 가지의 강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직선형태의 보강에는 고강도의 나사식 강봉(thead bar)이 사용되며, 만곡되는 부분이 있는 곳에 대해서는 스트랜드(strand)를 사용하고 있다. 외부텐던방법은 사하중이나 활하중을 즉각적이고 능동적으로 분담한다. 프리스트레싱에 앞서 압축응력의 균등한 분배를 위해 균열부위에는 에폭시를 가압하여 주입하여야 한다.

 


포스트텐션공법에 관련된 주요 특허 출원동향을 살펴보면 긴장력을 조정할 수 있는 방법과 손상된 강재의 재긴장 방법을 중심으로 특허가 출원되고 있다.

 


[그림 3.1-7-6]은 PC 케이블을 기존 슬래브 아랫부분에 설치하며, 긴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프리스트레스 방법 및 정하여 을 적용함으로서 슬래브의 항복강도를 증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슬래브는 압축력을 받게되며, 균열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항복강도가 증가하며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림 3.1-7-6] 슬래브 아랫부분에 PC 케이블 설치방법(2161074, 일본)

 


[그림 3.1-7-7]은 손상받은 텐던을 제거하여 그 위치에 새로운 포스트텐던 콘크리트를 형성함으로서, 손상받은 포스트텐던 및 프리텐던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수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림 3.1-7-7] 포스트텐던 및 프리텐던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방법(5044139, 미국)

 


기존 구조물에 외부 포스트텐션 기자재를 설치 할 때는 전단력 전달장치와 단부장치(end bearing assembly)를 필요로 한다. 전단력 전달장치는 항상 휨부재의 측면에 설치되거나 부재의 하부면(soffit)에 설치되며, 전단력의 전달을 충분하게 될 수 있도록 볼팅을 하기도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스트랜드를 중간지점에서 새들(saddle)을 사용하여 만곡시키기도 한다. 외부에 설치한 스트랜드나 강봉을 화재나 침식성 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나 숏크리트로 둘러싸거나 또는 대형의 쇼트랜드 덕트를 설치하여 그라우팅을 한다.

 


[그림 3.1-7-8]은 비긴장 강선을 긴장시켜서 교량의 내하력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추후에 상기 접속부재에 고정된 상기 비긴장 강선의 긴장력을 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력 조정이 가능한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거더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림 3.1-7-8] 교량의 처짐 또는 균열을 보완하기 위한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거더(한국, 30143)

 


[그림 3.1-7-9]는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에 처짐변형이 발생하였을 때 본래의 장력 상태로 복원 고정시켜주는 재긴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차 시공된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의 처짐발생시 압력계에 의해 즉각 확인하여 응력손실이 발생된 강연선을 재긴장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시공이 매우 간편하고 용이하며 소요 공사기간 및 공사비를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고, 구조물의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의 재긴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림 3.1-7-9] 프리스트레스 구조물의 재긴장장치(한국, 실용209297)

 


[그림 3.1-7-10]은 내력이 부족한 보강대상부재의 양 단부에 다수개의 나비형 PS강선 정착장치를 이용하여 PS강선을 유압 잭으로 긴장하킨 후 정착하여 포스트텐션을 도입하고 유지함으로써, 종래의 보강대상부재의 양 단부의 상부에서는 장애물 때문에 효과적인 포스트텐션을 가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양 단부의 하부에서 포스트텐션을 가할 수 있게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내력이 부족한 보강대상부재를 부강할 수 있는 방법이다.

 

[그림 3.1-7-10] PS강선 정착장치를 및 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방법

 


품질(品質, Quality)

주어진 요구 사항을 만족시키는 능력을 가진 생산품이나 서비스의 전체적인 특징과 성격. 

 


품질관리

제품품질의 유지․향상을 위하여 각종 과학적 원리를 응용하는 관리. 약칭 QC. 소비자 요구에 맞는 품질의 제품을 경제적․효율적으로 생산하고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 설계․제조․판매․서비스 등 각 단계에 체계적인 관리수법을 종합적으로 응용․활용하는 것이다. 동일제품이라도 수명․외관․호환성․안전성․내구력 및 사용상의 난이도(難易度) 등을 다를 수 있으므로 제조기준이 되는 규격 설계품질을 정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설계품질이 정해지고 시험제조가 끝나면 출하품질을 정해야 하는데, 이것은 제조공정을 거쳐 나가는 과정에서 정해진다. 즉 품질관리는 표준과 규격의 설정을 전제로 투입자재․생산품․공정 등을 통하여 소비자가 요구하는 품질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사람과 설비를 관리하는 것이다. 사람관리는 품질표준에 따른 운전방법을 지도․훈련하여 그 수행의 양부(良否)를 생산품의 품질이나 공정조건의 기록으로 확인하고, 불량품이나 불합격품의 원인을 밝혀내는 것이다. 초기 품질관리는 전제품에 대하여 치수․중량․부피 및 재료의 화학적 성분 등을 측정하여 사전에 행해진 품질표준과 비교하여 적부(適否)를 판정하였으므로 과학성이 낮았으며, 전품검사를 하는 비용면에서도 부담이 컸다. 이에 1926년 벨전화연구소 W.A. 슈하트가 품질에 관한 측정치를 시계열적으로 상한과 하한의 관리한계선으로 나타내어 불량원인을 발견하는 관리도(管理圖)를 발명하는 등 통계학을 품질관리에 응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져, 근대적 품질관리로서의 통계적 품질관리(statistical quality control;SQC)가 대두되었다. 그러나 현재는 품질수준의 유지․향상을 위한 통계적 품질관리만으로는 부족하여 사회적 품질을 포함하는 종합적 품질관리(total quality control;TQC)가 요구되고 있다. 이는 경영자의 자세, 종업원의 마음가짐 등도 품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되므로 회사 전체가 품질관리에 관심을 기울이고 이를 실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기업은 이러한 중요성을 인식하여 기업 전체적 관점에서 품질관리를 한다.

 


풍하중

구조물에 미치는 풍하중의 영향은 바람의 속도와 방향, 공기의 밀도, 구조물의 형상 및 강성, 그리고 평면의 형태 등에 따라 변화한다. 여기서 풍속의 설정은 각 지역 기상대의 풍속기록에 근거를 두고 통계적으로 유도한 통상 50년 재현기간의 지상 특정 고도에서의 최대풍속을 나타내며, 구조물이 높으면 높을수록 더 큰 풍하중이 작용하게 된다.

 


퓨진

영국 건축가․건축이론가․작가. 런던 출생. 건축가인 아버지 O.C. 퓨진으로부터 고딕건축 제도(製圖)를 배웠다. 1836년 《대비(對比)》를 출간하여 한 사회의 속성과 건축적 수준과의 연관성을 규명하였다. 3740년 가톨릭교도들과 성직자로부터 건축설계 업무를 위촉받고 로마 가톨릭 부흥운동과 고딕 복고양식 운동에 참여하게 되었다.

 


영국 건축가․건축이론가․작가. 런던 출생. 건축가인 아버지 O.C. 퓨진으로부터 고딕건축 제도(製圖)를 배웠다. 1836년 《대비(對比)》를 출간하여 한 사회의 속성과 건축적 수준과의 연관성을 규명하였다. 3740년 가톨릭교도들과 성직자로부터 건축설계 업무를 위촉받고 로마 가톨릭 부흥운동과 고딕 복고양식 운동에 참여하게 되었다. 찰스 배리의 국회의사당 내부를 디자인하고 세인트채드대성당과 세인트조지 대성당 등 많은 교회당을 설계, 수리하였다. 특히 세인트오즈월드교회는 영국과 외국의 고딕 복고 교구교회의 표본이 되었다. 41년 쓴 《정확한 그리스도교 건축의 참된 원칙》은 J. 러스킨의 자기비평 기초가 되었다. 후기 작품인 세인트오거스틴교회, 롤가(家) 예배당, 세인트에드먼드 칼리지예배당 등은 우아하고 학문적이면서 초기 고딕 양식이 잘 드러나 있다. 한편 문학적 재능도 뛰어나 건축적 풍자만화와 삽화를 그리기도 하였다.

 


프레스코

회반죽 벽에 그려진 일체의 벽화기법

본래의 뜻은 회반죽 벽이 마르기 전, 즉 축축하고 '신선'(이탈리아어로 프레스코)할 때 물로 녹인 안료로 그리는 부온 프레스코(buon fresco) 기법 및 그 기법으로 그려진 벽화를 가리킨다. 이에 대해 회반죽이 마른 후 그리는 기법을 세코(secco), 어느 정도 마른 벽에 그리는 것을 메초 프레스코(mezzo fresco)라고 부르지만 이들 기법이 함께 쓰이는 경우가 많아 확실하게 구별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제작과정은 회반죽으로 미리 벽에 초벌질을 하고, 그 위에 시노피아(sinopia)라고 하는 실제치수의 소묘를 그린다. 시노피아를 그릴 수 없는 경우에는 인토나코(intonaco) 다음에 스폴베로(spolvero)나 카르퉁(판지) 방법을 쓴다. 채색할 때에는 아침에 완성 가능한 예정부분(조르나타:giornata)에만 마무리칠의 회반죽을 칠한다. 이어 내(耐)알칼리성 토성안료를 물에 개어 그림을 그린다. 정해진 시간에 조르나타가 다 채워질 수 없을 때에는 말라버리므로 그 부분의 회반죽을 긁어내고 다시 인토나코 단계부터 시작해야 한다. 수정이 불가능하므로 숙련을 필요로 하는 기법이다.

고대 로마의 벽화가 참다운 프레스코인가에 대해서는 아직도 논란이 많다. 소규모 작품에서는 전체가 프레스코 기법으로 사용된 경우가 많지만, 규모가 큰 벽화에서는 프레스코와 세코기법이 함께 쓰인 경우가 많다. 13세기 후반에는 화면을 분할 채색하는 조르나타가 행해졌다. 참 프레스코의 등장은 13세기 말이며, 14~16세기를 프레스코의 황금기라고 할 수 있다. 조토․마사초․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미켈란젤로 등 많은 거장들이 명작을 남겼다.

 


프로포션

프로포션 이란 머리크기에 대한 키의 비율을 말합니다

 


프로필리아

외부에 도릭양식을 사용하고 내부에는 이오니아양식을 사용했다. 특이할만한 것은 박공으로 전통전인 모양으로 부터의 탈출을 시도했다.

 


프리액세스바닥

프리액세스 플로어는 이중바닥구조로 되어 있으며 아래의 바닥에는 먼지 또는 띠끌이 쌓여 있으므로 1년에 한번은 프리액세스 플로어의 바닥을 올려서 청소 할 필요가 있다.

프리액세스 플로어 또는 OA플로오는 바닥의 허용내력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향후 기기류를 증설하는 경우에는 허용내력 범위내 에서 계획하여야 한다.

 


프리즘 유리

프리즘유리는 강화 처리한 유리블돌로서 천장(TOP LIGHT)으로 쓰입니다. 두껍고, 강하면서 내충격성이 높기 때문에 바닥 재료로도 사용되어 그 위를 걸을 수 있습니다. 주철재 틀에 조힙되어 지하실 등의 채광용으로 사용하면 투광율이 높아 매우 효과가 좋습니다.

 


프리텐션공법

프리텐션(pre-tension)공법은 적은 지름의 PS강선 또는 PS 스트랜드(strand)를 긴장하여 고정한 후 콘크리트를 치고 콘크리트가 굳어서 PS강재와의 부착저항이 충분한 때에 PS강재를 절단하여 부착저항에 의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공법이다. 프리스트레스는 장기간에 걸쳐서 작용하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크리이프, 건조수축 및 PS강재의 릴렉세이션 등에 의하여 시간의 경과와 함께 변형이 증대한다. 또한 콘크리트의 품질이 균일하지 않으면 뒤틀림이 생기는 수도 있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구조

주어진 하중에 의해 부재에 일어나는 응력의 크기와 분포를 가상하여 이를 상쇄할 수 잇는 힘을 부재에 미리 인공적으로 준 콘크리트를 말함

 


프리 패브리케이션 공법

현장에서 조립하기 전에 미리 만들어 두는 일. 부분 생산이나 부품 생산의 뜻. 구체적으로는 공장 에서 부재의 가공. 생산을 하고, 현장에서 정해진 장소에 갖다 맞춘다. 정밀도의 향상, 질의 균일 화, 생산성의 향상 등을 목적으로 한 기술 혁신의 하나로서, 주로 건축과 가구 생산에서 볼 수 있 다. 일품 생산의 경우에도 프리 패브리케이션이 적용되는 일이 있으므로 프리 패브리케이션이 곧 대량생산이라고 할 수는 없다. 이것을 채용한 구조법을 프리 패브리케이션 공법이라 하는데, 건축 계에서는 프리 패브리케이티드 빌딩(pre-fabricated building), 푸리 패브리케이티드 하우스(p. house) 가 계획, 설계의 큰 과제이며, 프리 패브리케이티드 하우스나 그 부품과 생산, 판매를 업으로 하 는 기업도 시대의 각광을 받고 있다

 


플라이애시시멘트(Fly Ash Cement)

플라이애시는 미분탄을 연료로 하는 보일러의 연도(煙道) 가스로부터 집진기(集塵器)로 채취한다. 여기에 포틀랜드 시멘트의 원료인 클링커와 적당량의 석고(石膏)를 가하여 미분쇄하거나, 시멘트와 플라이애시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만든다. 플라이애시의 혼합비율에 따라 몇 가지로 분류된다

 


플라이애시를 혼화재(混和材)로 사용한 시멘트.

플라이애시는 미분탄을 연료로 하는 보일러의 연도(煙道) 가스로부터 집진기(集塵器)로 채취한다. 여기에 포틀랜드 시멘트의 원료인 클링커와 적당량의 석고(石膏)를 가하여 미분쇄하거나, 시멘트와 플라이애시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만든다. 플라이애시의 혼합비율에 따라 몇 가지로 분류된다

 


플라잉 버트레스

외벽면에서 바깥쪽으로 튀어나와 벽체(壁體)가 쓰러지지 않도록 지탱하는 부벽(扶壁).

 


고대의 메소포타미아․이집트․그리스의 신전이나 궁전에서 볼 수 있는데, 로마 시대 이후 아치와 볼트(궁륭) 형식의 지붕이 생긴 뒤에는 지벽(支壁)의 중요한 구조 요소가 되었다. 특히 로마네스크 건축에서는 리브볼트(rib vault)의 발달에 따라서 버트레스는 벽체의 특징이 되었다. 또한 고딕성당 건축의 플라잉 버트레스(flying buttress:飛梁)는 주벽(主壁)과 떨어진 독립된 벽이 되어, 주벽의 횡압력을 아치 모양의 팔로 지탱하면서 아름다운 건축양식을 이루고 있다.

 


플라톤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형이상학의 수립자.

국적 : 그리스

활동분야 : 철학

출생지 : 고대 그리스 아테네

주요저서 : 《소크라테스의 변명》《파이돈》 《향연》 《국가론》

 


아테네 출생. 명문(名門) 출신으로 젊었을 때는 정치를 지망하였으나, 소크라테스가 사형되는 것을 보고 정계에 대한 미련을 버리고 인간 존재의 참뜻이 될 수 있는 것을 추구, philosophia(愛知 : 철학)를 탐구하기 시작하였다. BC 385년경 아테네의 근교에, 영웅 아카데모스를 모신 신역(神域)에 학원 아카데메이아(Akademeia)를 개설하고 각지에서 청년들을 모아 연구와 교육생활에 전념하는 사이 80에 이르렀다. 그 동안 두 번이나 시칠리아섬을 방문하여 시라쿠사의 참주(僭主) 디오니시오스 2세를 교육, 이상정치를 실현시키고자 했으나 좌절되었다. 그러나 그러한 시도는 그의 철학의 방향을 잘 말해준다.

 


생전에 간행된 거의 30편에 이르는 저서는 그대로 현재까지 보존되었는데, 1편을 제외하고는 모두가 일종의 희곡작품으로서 여러 가지 논제(論題)를 둘러싸고 철학적인 논의가 오간 것이므로 《대화편(對話篇)》이라 불린다. 소크라테스가 주요 등장인물이다. 연대에 따라 ① 소크라테스를 중심으로 주로 '덕(德)이란 무엇인가?'를 논하고, 대체로 아포리아(aporia)에 빠진 채 끝나는 전기 대화편(前期對話篇:《소크라테스의 변명》 《크리톤》 《메논》 《프로타고라스》 《고르기아스》 《라케스》 《카르미데스》 등), ② 영혼의 불멸에 관한 장려(壯麗)한 미토스(mythos:神話)로 꾸며지고 소크라테스에 의해 이데아론(論)이 펼쳐지는, 문예작품으로서는 가장 원숙한 중기 대화편(《파이돈》 《파이드로스》 《향연》 《국가론》 등), ③ 철학의 논리적 방법에 대한 관심이 농후하고, 영혼과 이데아설이 소크라테스의 모습과 함께 점차 사라지는 것처럼 보이는 후기 대화편(《파르메니데스》 《테아이테토스》 《소피스테스》 《폴리티코스》 《필레보스》 《티마이오스》 《노모이》 등)으로 나눈다.

 


플라톤에게 필로소피아란 소크라테스의 필로소피아이며 소크라테스야말로 진정한 '철학자'였다. 전기에서 중기에 걸친 대화편의 대부분이 소크라테스의 추억을 간직하고, 소크라테스 속에 구현(具現)되는 '철학자'를 변호․찬양하려 한 것도 그 때문이다. 그리고 소크라테스의 재판 장면을 적은 《소크라테스의 변명》, 죽음에 직면한 철학자의 태도를 묘사한 《파이돈》은 말할 나위도 없고, 《향연》이나 《국가론》도 또한 그와 같은 뜻에서 가장 뛰어난 작품의 하나이다. 소크라테스에게 필로소피아란, 가장 중요한 것을 모른다는 자신의 무지(無知)를 깨닫는 데 있었다. 이 '무지를 깨닫는 일' 속에 머물며 아포리아 속에 있으면서 근원으로부터의 물음에 스스로를 맡기는 일이 바로 필로소피아이다. 전기 대화론에서, 대화가 항시 아포리아에 수렴(收斂)되고 무지의 고백으로 끝나는 것은 이와 같은 사실을 말해 준다. 아포리아에서 빠져 나오기 위해서가 아니라 아포리아에 머물기 위한 필로소피아의 술책이 미토스와 디알렉티케(dialektike:問答法)이다. 시간과 더불어 변하는 일 없이 동일한 것으로서 머무는 영원불변한 것을 플라톤은 이데아(idea:形相)라 불렀다. 이데아는 생성(生成)에 대한 존재, 다(多)에 대한 하나, 타(他)에 대한 동(同)이며, 육체의 감각으로 파악할 수 없고, 영혼의 눈[目]인 이성에 의해서만 관찰할 수 있다. 생성의 세계 가시계(可視界)는 존재의 세계(불가시계)를 분유(分有)하며, 모방하는 데에서만 이에 입각하여 존재하고, 두 세계 사이에는 실물과 그림자, 실물과 모상(模像)의 비례가 있다(《국가론》의 선분(線分)․동굴․태양의 비유, 《티마이오스》의 우주창성론(宇宙創成論) 등).

 


인간이 탄생과 죽음에 의해서 한계지어진 '이 세상(여기)'과 '저 세상(저기)'의 구별을 플라톤은 이 두 세계를 따로 상대하는 것으로 구상하였고(《파이돈》 《파이드로스》 등), 이 양계(兩界)를 편력하는 불멸의 영혼에 관한 광채육리(光彩陸離)한 미토스로써 이를 장식하였다. 영혼은 원래 천상(天上)에 있으면서 참 실재(實在)의 관조(觀照)를 즐겼으나 사악한 생각 때문에 지상에 전락하고 땅(육체) 속에 매몰되어 생물이 되었다('육체=묘표(墓標)'설). 애지는 영혼이 지상의 사물 속에서 천상의 사물과의 유사점을 발견하고, 참 실재를 상기하여('상기설(想起說)'), 이를 간절히 소망하는 일이다('에로스설')라고 설명할 수 있다(《파이드로스》 《향연》 《메논》). 그러나 미토스를 도그마로 하고 거기에서 고정된 철학설을 구성하는 일은 플라톤이 뜻하는 것이 아니다. 미토스는 오히려 아포리아에 있는 자가, 자기가 놓여 있는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아포리아 밖에 내던진 자기 존재의 겨냥도이며, 아포리아로서 응축된 '근원에의 관련'을 형상으로 하여 우주론적인 규모 속에 틀을 만들고 투영하는 것이다. 아포리아에 있는 자가 미토스의 형상을 거부 배척하고, 아포리아에서 묻고 있는 존재 그 자체에 대해서 그 '무엇인가'를 '말'속에서 질문하는 데에 디알렉티케가 성립된다.

 


아포리아 속에 있는 자는 질문 속에 놓이게 된다. 질문은 사물이 '무엇(A)인가, 아닌가'를 질문하나, 그것은 그 무엇인가(A)를 그것과 다른 것(A가 아닌 것)으로부터 분리하게 됨으로써 가능하며, 이 질문에 대답함으로써 인간은 이 양자(A와 A가 아닌 것)를 포괄하는 전체와의 관계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 전체와 부분과의 뒤얽힘에서 다(多)를 꿰뚫는 하나를 보는 것이 애지자(愛知者)이다(《소피스테스》 《폴리티코스》). 플라톤은 지식을 고정된 체계로서 문자로 표시할 수 있다는 것을 믿지 않았다. 근원을 묻는 애지의 진행에서 이 물음을 묻게 하고, 이 진행을 배후에서 떠받치는 것이 이데아이다. 이데아는 애지의 진행(흐름) 속에 어느 때 갑자기 보이게 된다.

 


플랜지

-形鋼 H-steel 단면이 H형인 형강(形鋼). 건축물․선박 등 대형 구조물의 골조나 토목공사에 널리 쓰이는 구조용 강재(鋼材)인데 열간압연(熱間壓延)에 의해 제조된다. H 중앙의 가로부위를 웨브(web), 양쪽의 세로부위를 플랜지(flange)라 한다

 


플랫슬래브

보가 사용되지 않고 슬래브가 직접 기둥에 지지되는 구조

 


플러쉬도어

합판에 무늬목을 입히고 크리어 랙커도장으로 마감한 것이며,MDF에 염화비닐 멤브레인을 입히고 크리어 랙커도장으로 마감한 경우도 있다. 필름을 입힌 경우는 원목의 질감을 최대한 재현할 수 있다는 것이며 고급문의 분위기 연출이 가능하다.

 


플러쉬밸브

세정밸브(변기 물내릴때 내리는 손잡이)

 


플러쉬 문

합판에 무늬목을 입히고 크리어 랙커도장으로 마감한 것이며,MDF에 염화비닐 멤브레인을 입히고 크리어 랙커도장으로 마감한 경우도 있다. 필름을 입힌 경우는 원목의 질감을 최대한 재현할 수 있다는 것이며 고급문의 분위기 연출이 가능하다.

 


피로하중

피로하중이란 규칙적이든 불규칙적이든 상관없이 물체에 연속적으로 응력 또는 변형률의 변화를 주는 하중을 말한다

 


피막(皮膜)

(거죽을) 덮어 싸고 있는 막.

 


피타고라스

고대 그리스 철학자․수학자․종교가. 사모스섬 출생. 사모스섬의 참주 폴리크라테스와 사이가 좋지 않아 그의 지배에서 벗어나기 위해 이탈리아 남부 크로톤(지금의 크로토네)으로 이주하여 활동하였다. 크로톤에서 오르페우스교의 교의(敎義)를 일부 받아들여 교단을 조직하였는데, 그 교의는 영혼불멸․윤회․사후의 응보 등으로서, 영혼의 정화 및 구제를 중요시하였다. 단원은 피타고라스를 정점으로 긴밀히 단결하였고 금욕적인 생활을 하였다. 재산을 공유하고, 또한 그것을 학문 연구의 결과에도 적용, 피타고라스의 이론은 그의 제자들 및 후계자들에 의하여 보완된 이론과 전혀 구별되지 않는다. 피타고라스 및 그의 학파는 수학․음악․천문학 분야에서 많은 업적을 남겼으나, 그들에게 있어서 연구의 목적은 교의를 추구하기 위한 보조적인 것이었다. 그들에게는 이오니아학파로부터 비롯된 원질에 관한 문제가 중심문제로서 주어졌는데, 만물의 근원을 수(數)로 보았다. 천문학 연구에 몰두한 까닭도 이들에게는 천체가 수학적인 질서를 명확히 보여주기 때문이었다. 그들은 이미 태양과 행성을 구형으로 생각하였으며, 이것들이 지구의 둘레를 돌고 있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천체의 움직임은 거대한 화음(和音)을 발생하고 있으나,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계속 들어오고 있으므로 그 화음이 들리지 않는 것이라고 하였다. 음악에 있어서 일정한 음의 높이가 현악기의 일정한 현의 길이에 상응한다는 것을 발견하고 더욱 우주의 화음을 주장하였으며 오르페우스교의 의식(儀式)에서 매우 큰 역할을 하였던 음악도 수적인 관계로 환원시켰다. 이렇게 수에 대한 믿음이 확대되었고 수들 사이의 놀라운 관계가 확인되었으며, 이 관계에 신비스러운 상징적 가치가 부여되었다. 그들은 세계를 기초하는 최상의 대립인 한정된 것과 한정되지 않은 것 사이의 대립을 홀수와 짝수의 대립으로 파악하였다. 그러나 이 대립을 세계 전체의 차원에서 조화롭게 균형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보았다. 우주를 장식이라든지 질서의 뜻을 가진 코스모스라 이름지은 것도 그에게서 시작되었다. 10을 완전수, 화음의 비(比)의 수 또는 신성한 수로 보았는데, 유명한 <피타고라스의 정리>에서 정사각형의 한 변과 그 대각선과의 관계가 로 나타나, 자연수만을 수로 생각하는 이 학파로서는 인정하기 어려운 발견이 되어, 이를 무리수(無理數, alogos)라 부르고, 이 비밀을 학파 밖에서는 입 밖에 내지 말도록 하였다고 한다. 피타고라스는 저술을 남기지 않았고, 이론은 제자들의 저술 속에 담겨 있는데, 뒤에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에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수학과 서양의 합리주의 철학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필립존스(PHILIP JOHNSON, 1906)

미국의 현대 건축 흐름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건축가이며 다양한 시도를 통해 참신한 형식의 건추 활동을 했던 중요한 근대 건축가들 중 한사람이다. 그는 본래 하버드 대학에서 고전학을 공부하고 1930년부터 36년까지 뉴욕 근대 미술관에서 <용어>큐레이터/미술</용어>로 경력을 쌓았다. 그후 1940년경 하버드 대학에서 건축가 <용어>월터그로피우스/미술</용어>(1883-1969)와 <용어>마르셀 브로이어/미술</용어>(1902-1981)로부터 건축 수업을 받고 1942년부터 프리랜서 건축가로 활동하였다. 1947년 그가 독일 여행 중 접했던 건축가 <용어>미스반데어로에/미술</용어>(1886-1969)의 건축전을 뉴욕 근대 미술관에서 주최하면서 그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은 작품이라 할 수 있는 <<용어>글라스하우스/미술</용어>>(1949)를 비롯해 <시그램빌딩>(1958) 계획에 참여하는 동안 <용어>기능주의적 건축/미술</용어>에서 <용어>매너리즘/미술</용어>적 <용어>건축/미술</용어>성향을 강조함으로써 <IDS 센터>(1973), <펜조일 플레이스>(1970-76)와 같은 유리의 마천루 건축을 선보이기 시작하였다. 필립 존슨은 1976년 이후 존 버기와 함께 활동하면서 <<용어>AT&빌딩/미술</용어>>(1979-84), <<용어>PPG 플레이스/미술</용어>>(1979-84), <<용어>가든 그로우브 커뮤니티교회/미술</용어>>(1977-80)등 새로운 재료와 고전적 수법이 다양하게 혼합된 참신한 건축 할동을 하면서 많은 후배 건축가들에게 커다란 영향을 끼치고 있다.


필요환기량

산업보건사업을 크게 대별하면 1) 작업환경관리, 2) 건강진단, 3) 보건교육과 지도, 4) 복지후생으로 나눌 수 있다.1) 이중에서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사업은 건강진단사업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우리나라의 산업보건은 의학을 공부한 의사들로 부터 일본의 산업보건사업을 거의 그대로 받아들이면서 출발하게 되었는데 일본에서와 마찬가지로 정기적인 건강진단으로 인해 생기는 수입은 어느 진료 못지 않게 많은 수입을 가져다주기 때문에 자연히 다른 사업들보다 건강진단사업을 더 강조하게 되었고 따라서 산업보건사업은 곧 건강진단이라는 등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러나 모든 보건사업이 그렇듯이 산업보건사업의 긍극적인 목적도 근로자가 질병에 걸리지 않도록 예방하고 건강을 유지시키며 쾌적한 환경에서 일의 능률을 높혀주는 것이 1차적인 목적이기 때문에 작업환경관리사업이 가장 우선적이어야 하며 질병이 이미 발생하였거나 진행되는 근로자를 찾아내어 작업부서나 작업조건을 변경시킨다거나 격리시키는 데 그 주된 목적을 둔 건강진단사업은 그 다음 순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1)

다행히 우리나라에서도 1980년 후반부터 민주화의 열풍과 더불어 근로자들의 자기몫 찾기에 대한 입김이 거세지면서 임금상승도 중요하지만 작업환경 및 조건의 개선에 대한 목소리도 거세게 일어 서서히 작업환경개선의 중요성이 확산되게 되었다. 따라서 과거와 같이 단순히 건강진단에만 의존하던 것이 산업보건사업은 근본적으로 작업환경개선이라는 본래의 모습을 조심씩 찾아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면 작업환경 개선사업이란 무엇인가? 작업환경 개선사업의 일반적인 원칙은 대치(substitution), 격리(isolation) 그리고 환기(ventilation)라고 할 수 있다.2) 이중에서 환기는 작업장의 유해물질이나 고열을 자연적인 혹은 기계적인 방식에 의해 작업장 밖으로 제거하는 공학적인 기법으로서 대치나 격리로서는 도저히 불가능한 고농도의 유해물질을 기준치 이하의 낮은 농도로 유지시킬 수 있어 쾌적한 작업환경 유지를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공학적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환기는 산업위생분야에서 작업환경측정과 더불어 가장 중요한 분야중의 하나로서 현재 산업위생기사 시험중에서 2차 실기시험을 작업환경측정과 산업환기 두 분야에서만 출제하는 것만을 보더라도 산업환기분야가 산업보건사업에서 얼마나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지를 쉽게 알 수 있다.

그러나 산업환기분야는 이렇게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각 산업장의 환기시설은 매우 낙후되어 있는 실정이다. 그 이유는 우선 산업환기에 대한 교육에서 찾을 수 있다. 기계공학분야에서 다루는 공조시설과는 달리 산업위생분야에서 다루는 산업환기에 대한 국내의 교육이 대학수준에서 이루어지기 시작한 지는 기껏 10여년에 불과하다. 그러다보니 기존의 시설들은 산업위생을 전문으로 공부한 사람들에 의해 만들어지지 않아 산업보건적인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 많은 산업위생기사들이 환기시설업체에 종사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설계 및 시설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만큼의 인력수급과 전문적인 지식이 부족하다는 점도 한 원인이 될 수 있다. 낙후된 환기시설을 사업주가 개선하려는 의지도 중요하지만 낙후된 시설에 대해 점검해 줄 수 있는 전문가가 부족하다는 점과 그 중요도에 비해 산업환기의 점검 및 개선에 관한 연구가 드물다는 점도 하나의 원인이 될 수 있다.3~5) 따라서 여러 가지 복합적인 원인으로 인하여 작업장의 환기시설은 그 중요도에 비하여 매우 낙후되어 있기 때문에 앞으로 산업환기시설에 대한 연구 및 점검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안동공단을 비롯하여 김해시에 소재한 영세 유기용제 세척작업 및 도금작업장을 대상으로 환기시설을 점검하여 성능을 평가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줌으로서 이들 작업장들에 대해 쾌적한 작업환경을 만들어 궁극적으로 근로자들의 건강을 보호하고 환기시설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올바른 사용방법을 작업자와 사용주에게 인식시켜 주어 차후 개선시 참고자료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하강된 기준면

수평면이 지표면 아래로 내려앉아 잇다 모서리의 수직면이 공간을 한정한다

 


하이탱크

- 자유로운 용량설계

  다양한 Size의 패널을 사용하여 수평 수직의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는 구조로 대형용량의 지하 저수조에 적합합니다.

 


- 최고의 위생성

  뛰어난 내식성 재질의 판넬로 부식이 없고 표면이 평활하여 앙금이 끼지 않으며, 외부의 빛을 완전 차단하여      박테리아 및 잡균의 증식을 억제하므로 오랜시간 위생적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 수밀성

  내후성 및 복원력이 우수한 PVC 발포물인 Tape형상의 실링재를 사용하여 완벽한 수밀을 유지합니다.

 


- 저면 배수구조

  저면부에 물을 집수, 배출할 수 있는 형상의 드레인 패널을 사용합니다

 


하항복점

급히 변형도가 증대하는점

 


하향 공급방식

위에서 아래쪽으로 향함요구나 필요에 따라 물품 따위를 제공함어떤 일정한 형식이나 방법. 법식

 


한계상태 설계법

파괴, 사용, 피로의 3가지 한계상태를 상정해서 검토하는 설계방법이 있다.

 


한랭기후

1년중 거의 모든 계절을 통하여 주변환경에서 받아들일 수 있는 열량은 적으며, 인체에서 방산되는 열량이 과다한 문제점이 있다.

 


함수율

재료 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의 중량을 그 재료의 건조시의 중량으로 나눈 값이다.

 


합성수지 창호

연탄가스나 해안지역 등에 견딜 수 있는 내식성이나 단열성, 방수성, 방음성이 있는 창호이다. 창호용 재료는 염화비닐 중합체를 주원료로 하고 양질의 안정제, 충격 완화제를 첨가하여 압출성형으로 제조한다. 열전도율이 매우 낮아 단열성이 좋고 밀폐성이 우수한 특징을 갖고 있다. 아코디언 커튼이나 아코디언도어의 비닐, 무테아크릴문의 아크릴과 일반적인 플라스틱창호 등이 속한다.

 


항복점

- 상항복점 : 내부조직에 탄성이 발생하여 급히 응력도가 하강하는 점

- 하항복점 : 급히 변형도가 증대하는 점

 


허니콤(H-beam)

보의 종류중 하나. 강재량에 비해 단면성능이 좋으며 개구를 덕트배관등에 이용가능하다.

 


허용응력도 설계법

부재를 탄성한도보다 적은 응력만을 받도록 설계하는 방법 여기서 하중은 계수를 곱하지 않는다.

 


허용응력 설계법(W.S.D, Working Stress Design Method)

재료의 파괴응력에 안전율을 곱한 허용응력을 사용하여 부재의 설계응력 이내로 되도록 하는 방법(재료를 탄성체로 봄)

 


헌치

보와 기둥이 만나는 곳이 둔각이 아닌 직각인 경우에 보나 기둥의 단부를 조금 두껍게 해주는데, 기둥이 두툼해지면 캐피탈, 보가 두꺼워진 부분을 헌치라고 한다.

 


현수구조(Suspension Structure)

강봉이나 케이블 등을 사용하여 지지점에서 주요한 구조부재를 매달라 지지하는 구조방식이다.

 


현휘(眩輝, Glare)

시야내에 순응할 수 있는 휘도 보다 현저하게 높은 휘도 부분이 있거나 휘도 대비가 큰 부분에서 눈부심 현상이 일어나서 보이지 않거나 불쾌감을 느끼게 되는데, 이것을 현휘라고 한다.

 


형강

1200℃까지의 열간압연강재이며, 종류는 형상에 따라 등변앵글, 부등변앵글, ㄷ형강, I형강, H형강으로 구분한다. 여기서 I형강은 작은보 등에 사용되며 H형강은 주요구조부에 사용된다.

 


형상(Figure)

감각적․직관적으로 주어지는 구체적인 상(象).

 


형태

사물의 생긴 모양. 생김새.

 


형태 작동적 구조

힘이 가련는 방향에 따라 구조체의 형태가 이루어진 구조물.

 


호박돌

석재중의 하나. 지름 150~250mm의 둥근돌.

 


호화로운 콤포지트 식

 


혼합시멘트

시멘트를 여러 가지 다른 물질과 섞어 만들어 쓰는 것이다.

 


혼화재

사용량이 비교적 많아서 그 자체의 부피가 콘크리트 배합계산에 고려되며, 시멘트 중량의 5% 이상, 경우에 따라 50% 이상 다량을 TM며 콘크리트를 반죽 할 때나 시멘트에 미리 섞어서 사용한다.

 


혼화재료

시멘트, 물, 골재 이외의 재료로서 비빔시 필요에 따라 모르타르나 콘크리트에 그 한 성분으로 첨가하는 재료를 말하며, 굳지 않은 콘크리트나 경화한 콘크리트의 제 성질을 개선, 향상시킬 목적으로 사용된다.

 


혼화제

사용량이 비교적 적어 그 자체의 부치가 콘크리트의 배합계산에서 무시되는 것으로 콘크리트 속의 시멘트 중량에 대해 5% 이하, 보통은 1% 이하라는 극히 적은 양을 사용한다.

 


화학경화성

 


화학저항성

재료가 산, 알칼리, 기름 등의 작용에 대해 저항하는 성질을 화학저항성이라고 한다. 화학저항성은 재료의 내구성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

 


환기방식

환기는 크게 자연환기와 기계환기로 구분된다. 자연환기는 자연의 풍향, 풍속, 건물 내외의 온도차에 따르는 부력을 이용한 방식이며, 기게환기는 급기팬, 배기팬 등의 기계력을 이용한 방식이다. 자연환기는 기온, 풍속, 풍향의 변화로 인해 일정한 환기량을 유지할 수가 없으나, 기계환기는 건물 내에 급․배기구나 급․배기팬을 설치하여 강제적으로 실내의 오염공기를 배출하고 신선공기를 도입함으로써 일정한 환기량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기계환기에서도 소규모건물에서 사용되는 압력이 높지 않은 환기팬은 외기의 풍압에 의해 그 성능이 저하되거나 원활한 배기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도 있으며, 초고층건물에서는 건물 내외의 온도차에 의한 굴뚝효과로 인하여 기계환기의 성능이 영향을 받는 경우도 있다.

 


환기설비

탁한 공기를 빼주고 새 공기를 넣어주는 장치

 


환상통기(Loop Vent)

수평배수관의 상부에 설치하여 2개 이상의 트랩의 통기를 하는 것으로, 수평배수관에 연결되어 있는 최상부 기구 바로 앞에서 통기관을 설치한 후 배수 또는 오구구직관에서의 통기관 즉 신정통기관(stack vent)에 연결한다.

 


활엽수

평평하고 넓은 잎이 달리는 나무이다. 분류상은 속씨식물 중에서 쌍떡잎식물류에 속하는 나무를 가리킨다. 꽃은 다양하며, 화려한 것도 많이 있다. 활엽수는 상록성인 것과 낙엽성인 것의 두 가지가 있는데, 각각 상록활엽수․낙엽활엽수라고 한다. 침엽수림은 주로 아한대에 발달하지만, 상록활엽수림은 대개 열대 또는 난대에 많고, 낙엽활엽수림은 온대의 특징이다.

 


활절점

부재와 부재가 만나는 절점 중에서 회전이 자유로운 절점을 말한다.

 


황도

지구에서 보아, 태양이 지구를 중심으로 운행하는 것처럼 보이는 천구(天球) 상의 대원(大圓) 궤도. 적도에 대하여 23°27′쯤 기울어져 있으며, 태양이 남에서 북으로 적도를 가로지르는 점이 춘분점임.

 


회전문

큰 건물의 출입이 잦은 출입구에 설치하는 회전식으로 된 문. 외풍을 막고 기밀한 내부공간과 난방효과를 높임.

 


회전지점

회전만이 가능하고 수평, 수직이동이 구속된 지점.

 


회전창

문틀 중앙에 가로나 세로로 굴대 따위를 장치하여 아래위나 좌우로 회전시켜서 여닫게 된 창.

 


횡선식공정표

횡선식 공정표는 기본공정표로서 작업과 전체 공사명을 종축에, 날짜를 횡축에 잡아 막대그래프로 표시한다.

 


휘도(輝度, Luminance or Brightness : L)

표면 밝기의 척도. 어떤 면적의 광원이나 반사면이 어느 정도 밝은 느낌을 줄 수 있는가의 척도이다.

 


휨모멘트

회전시키려는 힘. 이론적으로는 점을 회전시키는 힘이지만, 실제로는 그 점에서 일정 정도 떨어진 곳에 가해진 힘에 의해 회전이 일어난다. 인장력과 압축력과는 달리 휨력은 대부분 그것에 직각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생긴다.

 


흙벽돌조

진흙 + 짚(방한, 보온, 방음이 큼, 수분에 약함)

 


흡수율

재료를 일정시간 물속에 넣었을 때 재료의 건조중량에 대한 흡수량의 비율이며 중량 백분율로 표시한다.

 


흡음률

재료가 어느 주파수의 음에 대하여 음의 에너지를 흡수하는 효율을 그 주파수 에서의 흡음률이라 하며, 입사음파에너지에 대한 흡수 에너지의 비율로 표시한다.

 


흡인작용(Withdrawing Action)

배수직관 가까이에 기구가 설치되어 있을 때, 기구 위의 수직관에서 일시에 많은 양의 물이 배수되면 수직관과 수평관과의 연결배관 부근에 순간적으로 진공이 생겨 트랩의 봉수가 빠져나가게 되는 현상이다.

출처 : 김형돈의 건축 시설개론이야기
글쓴이 : akidon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