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초가집의 구조(용어) 초가집의 구조(용어) 기단 : 토단(土壇) 혹은 토단의 끝부분에 막돌로 마무리 높이는 3촌(9-10cm)정도 초석 : 일반적으로 호박돌주춧돌로 다듬지 않은 돌을 사용 기둥 : 지름 4촌정도의 통나무를 껍질만 벗겨사용. 보.도리 : 보와 도리는 기둥머리에 사괴마춤으로 결구됨. 도리는 모두 납도리 벽체 : 흙과 .. 전통가옥 2008.05.28
[스크랩] 맞배지붕건물 맞배지붕건물 맞배지붕은 건물의 앞뒤에서만 지붕면이 보이고 용마루와 내림마루로만 구성되었으며 책을 엎어놓은 것과 같은 형태의 지붕이다. 맞배지붕은 측면에는 지붕이 없기 때문에 추녀라는 부재가 없으며 측면가구가 노출되기 때문에 비바람을 막기 위해 조선시대에는 풍판을 사용했다. 도면.. 전통가옥 2008.05.28
[스크랩] 합각(팔작)지붕건물 합각(팔작)지붕건물 팔작지붕은 용마루와 내림마루, 추녀마루가 모두 갖추어진 지붕으로 가장 화려하고 장식 적인 지붕이라 할 수 있다. 팔작지붕은 맞배지붕에 비해 내부에서 가구가 복잡하게 혼란 스럽기 때문에 우물천장을 가설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팔작지붕은 조선시대 다포집에서 많이 사.. 전통가옥 2008.05.28
[스크랩] 전통건축용어(기와관련) 기와용어 ▶ 한식기와 관련용어 암키와 오목한 곡면으로 된 장방형의 기와, 바닥기와 수키와 반원형으로 되고 끝에 언강이 달린 기와 내림새 드림판이 달린 암키와 = 암막새 막새 드림판이 달린 수키와 = 수막새 망새 지붕마루 끝에 엎어대는 내림새 모량의 기와, 바래기기와 = 망와 수망새 수망와, 지.. 전통가옥 2008.05.28
[스크랩] 전통건축의 세부구조(기단,창호,기둥,지붕) ▣ 기 단 ■기단이란 우천시에 빗물이 튀는것과 땅으로부터 올라오는 습기를 피하고 동시에 건물의 권위를 높히기 위하여 건물 밑부분에 돌을 쌓거나 다른 자재 를 써서 쌓아 올린 단인데, 돌로만 쌓기도 하며 기와와 벽돌을 또는 돌과 벽돌을 섞어 쌓기도 한다. ■기단의 유형 ⊙ 토축 기단 토축 기단.. 전통가옥 2008.05.28
[스크랩] 우리의 건축 양식인 [모임지붕]의 다양한 유형 ** 우리의 건축 양식인 [모임지붕]의 다양한 유형 ** 모임지붕은 서까래가 양쪽으로 걸리는 일반적인 지붕과는 달리 지붕의 꼭지점 한 군데에서 추녀와 서까래가 걸려나가는 형식인데 그 구조하는 방법에도 여러가지 다양한 유형이 있다. 사진을 통해 그 유형을 살펴보자 진천보탑사 수각(水閣) 지붕상.. 전통가옥 2008.05.28